•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9초

잇꽃의 수집종간 생육특성 및 기름함량변이 (Oil Conten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Safflower varieties)

  • 박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3-129
    • /
    • 2003
  • 국내 홍화 수집종의 재배적 특성과 지방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수집종의 파종 후 발아기간은 12∼13일로 수집 종간 차이가 없었으며, 발아율은 87.5%이상으로 양호하였다. 지상부 생육특성에서 초장은 파종 후 84일 이후부터는 더 이상 자라지 않았고, 엽수는 파종 후 70일 이후부터 는 증가되지 않았다. 수집종간 엽수는 17∼23매로 수집종간 6매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개화기는 파종 후 79∼90일 경으로 수집종간 11일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수집종 중에서 장성종이 79일로 가장 빨리 개화되었다 결실특성은 주지를 포함한 가지수가 4.7∼8.8개로 두상화수 4.8∼8.9개 와 같은 경향이었으며, 두상화당 종실수는 29.3∼49.1개 이였다 100립중은 2.9∼3.9 g으로 나타났다. 기름함량은 조지방 함량이 21. 8∼33.9%이고 , 지방산은 리 놀 렌 산 이 66.6∼77.6%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올레산이 9.2∼16.5%였으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닌산 및 아라키돈산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11개 수집종 중에서 개화기가 가장 빠르고 종실수가 많으며 조지방 함량이 3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장성 수집종이 품종 육성에 이용할 가장 유망한 종으로 판단된다.

홍화(紅花) 종실(種實)의 볶음 조건에 따른 성분(成分)의 변화(變化)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Component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

  • 박준홍;김기재;김재철;김세종;박소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4-200
    • /
    • 2000
  • 홍화종실의 볶음처리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고 볶음처리 후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홍화씨의 볶음처리에 따른 수율의 변화에서 볶음온도 및 시간이 증가 할수록 수율이 감소하였다. 홍화의 볶음온도 및 시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에서 볶음온도가 높고 볶음시간이 길수록 명도(L)값은 감소하고 적색도(a) 값과 황색도(b) 값은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색차인 ${\Delta}E$ 값은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의 결과에서는 홍화종실의 적정 볶음조건은 $190^{\circ}C$ 20분 이었다. 홍화종실에서는 raffinose와 sucrose만이 분리 확인되었다. 이들 유리당은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홍화종실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과산화 물가 (POV, meq/kg)를 측정 해 본 결과 볶음처리직후에는 거의 과산화물이 생성되지 않았지만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물값이 높아짐을 보였다. 특히 $150^{\circ}C$를 제외하고는 10개월 이상 저장하는 것은 부적절하였다.

  • PDF

n-3 및 n-6계 다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비율이 다른 유지가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지단백 지질성분 및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with Various Levels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Lipid Components and Fatty Acid Metabolism of Serum Lipoprotein in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김성희;정효숙;강정옥;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51
    • /
    • 1993
  • n-3계 EPA와 DHA의 함유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linoleic acid의 함유비율이 높은 홍화유의 혼합급여가 고지질 식이 흰쥐의 지단백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주에 버터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정어리유 및 홍화유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유지를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 지단백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혈청 지단백 성분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LDL에서 가장 높았으며 VLDL, HDL, chylomicron 순이었다. 한편 중성 지질 농도는 chylomicron>VLDL>LDL>HDL 순이었으며, 인지질 농도는 HDL>LDL>VLDL>chylomicron 순이었다. 혈청 자단백 성분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전 실험군에서 대체로 낮았으며, 특히 n-3계 PUFA의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려유와 n-6계 PUFA 함유 비율이 높은 홍화유를 동량 혼합 급여한 5군에서 더욱 낮게 나타난 바, 혈청 지단백의 지질개선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시험유지의 P/S비 0.85, n-6/n-3P 비가 2.85로서 적정한 혼합비용로 인한 것이라 추정된다. 혈청 지단백 성분중 chylomicron의 지방산 조성에서 EPA 함유 비율은 여타 지단백성분의 지방산 조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chylomicron, VLDL, LDL 및 HDL의 지방산 조성은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반영된 것로 나타났다.

  • PDF

홍화의 작물학적 특성에 의한 품종군 분류 (Classification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Collections by Agronomic Characteristics)

  • 방경환;김영국;박희운;성낙술;조준형;박상일;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01-309
    • /
    • 2001
  • 홍화 수집종들의 작물학적 특성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밝히고, 품종군을 분류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일수는 $74{\sim}88$일 분포로 평균 83일이었고, 80일 이하의 조숙성을 가진 수집종은 21개 이었으며, 1차분지수와 2차분지수는 각각 $3.8{\sim}14.8$개와 $0{\sim}26.9$개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다분지형의 특성을 가진 품종은 IT201434, IT202723 등 이었으며, 생육특성 중 2차 분지수의 변이가 켰다. 수량구성 요소로서 두상화수는 $5.0{\sim}40.7$개, 두상화당 종실수는 $25{\sim}68$개, 100립중 및 주당 종실중은 각각 $2.9{\sim}5.4g,\;3{\sim}47.5g$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종실중 > 두상화수 > 두상화당 종실수 순으로 변이가 큰 경향이었다. 수집종들은 작물학적 특성에 따라 11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I군은 25%, II군은 33%, III군은 14%, IV군은 8%, VI군은 3%, IX군은 2%, X군은 1%, ?군은 1%가 속하였으며, III군은 모두 국내재래종 이었다. 분류된 군중 X군은 출아소요일수가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길었으나 수량 구성 요소인 두상화수, 주당 종실중 및 두상화당 종실수가 가장 우세한 군으로 분류되었다. 수량구성요소인 두상화수와 주당 종실중은 경직경, 제1차분지수, 제2차분지수, 엽수 및 엽장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버터, 정어리유 및 홍화유를 혼합 급이한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of the Butter, Sardine and Safflower Oils on Fatty Acid Metabolism of Serum and Liver in Rats)

  • 김한수;김성희;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17-626
    • /
    • 1992
  • n-3계 EPA와 DHA의 함유 비율이 높은 정어리유와 n-6계 linoleic acid의 함유비율이 높은 홍화유의 혼합급여가 고지질 식이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쥐에게 버터 식이를 대조군으로 하고 정어리유 및 홍화유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유지를 급여하여 4주간 실험 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혈청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은 홍화유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n-3계 지방산 및 EPA/AA 비율은 감소되는 반면, n-6계 지방산 및 AA/PUFA 비율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 지질중 중성지질의 조성 지방산 중 DHA 함유 비율이 가장 높았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에서는 linoleic acid의 함유 비율이 높았다. 혈청 및 간장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황시용(硫黃施用)이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및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ulfur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yield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 박준홍;김기재;박소득;박만;이동훈;최충렬;최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78-385
    • /
    • 2000
  • 유황시용(硫黃施用)에 따른 토양(土壤) 및 홍화(紅花)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에 따른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및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유황시용후(硫黃施用後)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확기(收穫期)에 토양(土壤)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토양(土壤)의 pH와 유효인산(有效燐酸)의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었다. 유황처리후(硫黃處理後)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유황(硫黃)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과 $SO_4^{2-}$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중(乾物重)이 증가하였으며, 홍화종실수량(紅花種實收量)은 증가(增加) 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유황(硫黃) 20 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화재배지(紅花栽培地)의 유황처리(硫黃處理)는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측면(側面)에서 20 kg/10a 처리(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파종기 추동 및 질소비료수준차이가 홍화의 생육,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ifting Planting - time and Different Nitrogen Level on the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박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6-102
    • /
    • 1981
  • 본 실험은 홍화에 대한 파종기 7수준(3월 17일부터 5월 16일까지 10일 간격)과 질소 비료 5개 수준(무배비, 0.5배비, 표준비, 1.5배비 및 2배비)으로 각각 파종하여 알맞는 파종 적기 및 시비량 수준에 따른 형질간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지대학 농학과 실습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고 발아세는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증가하였다. 발아 최감기는 위의 결과와 반대로 반종기가 늦어질수록 단축되였다. 발아 소요 기간도 파종기가 늦어갈 수록 단축되었다. 2.초장, 분지수, 치경에서도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 수록 초장 및 분지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꼬투리와 1,000입중도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감소되었고 1,000입중은 파종기가 이를 수록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꼬뚜리수와 수량에서토 현저한 증가를 보여 주었다. 4. 파종기 차이에 따른 등황색 및 등홍색 꽃의 중량은 4월 상순 파종구가 가장 무거웠다. 그러나 질소 시비량의 증가는 개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5. 본 실험의 결과로서 파종 적기는 4월 상순이라고 믿어졌고 홍화 재배에서는 다비의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PDF

잇꽃 재배지대에 따른 개화 소요일수 추정 및 파종시기별 생육 특성 (Estimation of Days to Flowering according to Various Altitudes and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Safflower)

  • 최영민;문정섭;정동춘;유은애;송희경;이승윤;이진재;최소라;김홍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0
    • /
    • 2024
  • 본 연구는 잇꽃(Carthamus tinctorius) 4자원(재래종, IT323225, IT333473, IT333482)의 유효적산온도를 기반으로 개화 소요일수 추정과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잇꽃 4자원은 3월 29일, 5월 3일, 5월 13일, 5월 24일, 6월 2일에 각기 파종하였으며, 생육기간 동안 기상정보수집과 생육단계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파종시기별 잇꽃 4자원의 평균 개화 소요일수는 재래종(61.0일)이 가장 짧았고, IT333482 (73.2일), IT323225 (74.0일), IT333473 (74.2일) 순이었다. 평균온도를 근거로 산출한 잇꽃 4자원의 기준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재래종 6℃, 579℃, IT323225 11℃, 766℃, IT333473 11℃, 768℃, IT333482 10℃, 750℃이었다. 산출한 유효적산온도와 최근 5년간(2019-2023년)의 일평균기온을 이용하여 재배지대(평야지, 중산간지, 산간지)와 파종시기(4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15일 간격, 10수준)별로 적용한 결과, 잇꽃 4자원은 모두 7월 15일 파종까지 개화 소요일수가 감소한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대별 소요일수는 평야지 < 중산간지 < 산간지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수량 특성 중 초장, 분지 수, 주당 화기 수, 화기당 종자 수, 백립중, 주당 종자량은 4자원 모두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

한국(韓國) 전통복색(傳統과 염채(染采)에 관한 연구(硏究) (A Research on Dye and Color in Korean Traditional Colors of Clothing)

  • 소황옥
    • 복식
    • /
    • 제6권
    • /
    • pp.161-171
    • /
    • 1982
  • The idea of King Hungdok's prohibition of clothing was to restrict the use of chinese-made cloth on the one hand and to compell his people to use Korean-made cloth for their apparel on the other. The prohibition of clothing sprang from King Hungdok's aspiration to restore his dynasty that had been falling due to the repeated drought disaster and luxurious living of the aristocracy. Safflower, Rubeaceae roots and Sapan wood are well known as some of the earliest natural red-dyes, exhibiting beautiful red-color in our anciet cultural tradition. The color yellow was considered from ancient time to the Chosun Dynasty as the central color. Thus, this color became the royal color for the costumes in the palace. Those plants used to make the color yellow are: Gardenia, phellodendron amurense, Turmeric, coptis, safflower, Arthraxon hispidus, Styphnolobium japonicum. Shikon, root of violet plant, is well known as one of the earliest natural days. By repeating the difficult process of making various dyes constantly during many centuries, the Korean people developed the marvelous technique of making natural color.

  • PDF

천연염직물을 이용한 작품디자인 연구 (The Use of Natural Dye Fabrics to Design of Works)

  • 정진순
    • 복식
    • /
    • 제52권2호
    • /
    • pp.91-101
    • /
    • 2002
  • In order to development of culture goods I made works with various color's silk fabrics dyed with water extract or methanol extract of plants. The Plants used for dyeing as dyeing material were indigo, safflower, amur cock tree, onion's Peel, citrus peel, mugwort, gromwell, sappan wood. Each of Plants were extracted by each of temperature and time. The mordants used for various color chanties are aluminium sulfate, cupric acetate mono hydrate, ferrous chloride. With fabrics of various color dyed like this I made works which give expression to an easy and natural image of the Korean nation of fabr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