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 seed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6초

홍화씨 분획 추출물이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와 MC3T3-E1 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fflower seed fraction extract o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 and MC3T3-E1 cell in vitro)

  • 허지선;강정화;유윤정;김창성;조규성;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833-846
    • /
    • 2001
  • Recently, use of natural medicine is getting more attention, and some of them are believed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Among them, the seeds of safflower(Carthamus tinctrorius L.) have been proven to be effective through its use in bone diseases such as fracture and osteoporosis. During the last few years, studies using the seeds of safflower gown in Korea have been active,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safflower seed extract increase the proliferation and the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hPDLF), osteoblast, and that they promote the mineralization process. In animal studies, when safflower seed extract were administered orally new bone formation was promoted. Recently, in an effort 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osteogenic components, among many components of the safflower seed, various safflower seed fraction extracts were obtained by multistep extraction of the safflower components using various solvents. Among these, saf-M-W fraction extracted by methanol and water was most effective in increasing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blast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afflower seed fraction extract, saf-M-W,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PDLF and MC3T3-E1 cell was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saf-M-W on both cells was measured using M'IT(3-(4,5dimethylthiazol-2-y1)-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test, and ALP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colorimetric assay of hPDLF. In addition, in MC3T3-El cells, the expression of ALP, bone sialoprotein(BSP) mRNA was observed using Northern blot, and the mineralized nodule formation Was observed using von Kossa stain and phase-contrast microscope. 1. In concentrations below $10{\mu}g/ml$, saf-M-W didn't show any toxicity on hPDLF and MC3T3-El cell. 2. The change in saf-M-W concentration had no effect on the ALP activity of hPDLF. 3. In MC3T-E1 cells, mRNA expressions of ALP and BSP were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10{\mu}g/ml$ concentration of saf-M-W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In MC3T3-El cells, abundance of mineralized nodules were 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10{\mu}g/ml$ Concentration of saf-M-W, while no mineralized nodule was formed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fflower seed fraction extract, saf-M-W. didn't show any toxicity on hPDLF and MC3T3-E1 cell at concentrations below $10{\mu}g/ml$ and effectively enhanced the differentiation and osteogenic potential of MC3T3-El cell.

  • PDF

가식성 필름 코팅에 따른 홍화씨 가공제품의 품질 변화 (Changes on the Quality of Safflower Seed Products Coated with Edible Films during Storage)

  • 김남우;주은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2
    • /
    • 2005
  • 본 연구는 홍화씨 가공제품의 산패방지 및 품질 향상을 위하여 가식성 필름을 코팅하여 저장 중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 L 값과 적색도 a 값은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황색도 b 값은 감소하였다. 코팅한 홍화정의 수분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의 증가보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산가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의 산가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점 증가를 보였으나 저장 30일째에 $25^{\circ}C$$50^{\circ}C$의 sodium caseinate와 k-carraggenan으로 코팅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 50\%$낮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는 두가지의 가식성 필름 용제로 코팅한 홍화정이 대조구에 비해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도 k-carrageenan으로 코팅한 홍화정이 sodium caseinate로 코팅한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관능검사와 유지 산패 측정의 주요 인자인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홍화정의 산패취를 방지하고 품질의 보존을 위한 방법으로 가식성 코팅제인 caseinate와 k-carrageenan 용제로 코팅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Anticancer Activity of the Safflower Seeds (Carthamus tinctorius L.) through Inducing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 Park, Gwang Hun;Hong, Se Chul;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7-304
    • /
    • 2016
  • The seed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has been reported to suppress human cancer cell proliferation. However, the mechanisms by which safflower seed inhibits cancer cell proliferation have remained nuclear. In this study,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safflower seed (S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and the potential mechanism of action were examined. SS inhibited markedly the proliferation of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HCT116, SW480, LoVo and HT-29). In addition, SS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MDA-MB-231 and MCF-7). SS treatment decreased cyclin D1 protein level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and breast cancer cells. But, SS-mediated downregulated mRNA level of cyclin D1 was not observed. Inhibition of proteasomal degradation by MG132 attenu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by SS and the half-life of cyclin D1 was decreased in SS-treated cells. In addition, SS increased cyclin D1 phosphorylation at threonine-286 and a point mutation of threonine-286 to alanine attenuated SS-mediated cyclin D1 degradation. Inhibition of ERK1/2 by PD98059 suppressed cyclin D1 phosphorylation and downregulation of cyclin D1 by SS. In conclusion, SS has anti-proliferative activity by inducing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through ERK1/2-dependent threonine-286 phosphorylation of cyclin D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ssibly its extract could be used for treating colorectal cancer.

한국산과 중국산 홍화종실의 화학적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ous L.) Seed)

  • 김준한;곽동윤;최명숙;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12-918
    • /
    • 1999
  • 한국산 볶음처리 하지 않은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수분 8.73%, 0.05%, 조지방 15.47%, 14.61%, 조회분 3.78%, 3.87%, 조단백질 19.74%, 18.82%, 조섬유 14.53%, 10.46%, 무질소물 46.49%, 52.23%로 분석되었고, 그 중 조지방함량은 중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의 33.30%, 31.22%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고, 이것은 원료의 구분방법의 척도로 생각된다. 한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에는 linoleic acid가 74.0%, 69.0%로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어 홍화종실의 중요 지방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화종실의 유리당은 sucrose, raffinose, glucose, fructose 등이 분리되었고 그 중 scurose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홍화종실의 주된 총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arginie등으로 확인되었다. 홍화종실의 유리아미노산은 한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24종, 11종, 중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24종, 15종으로 분리되었고, lysine, isoleucine등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한국산 홍화종실이 높게 함유하였다. 홍화종실의 주된 유기산으로는 form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furmaric acid 등이 분리확인 되었고, 홍화종실의 비타민류로 vitamin E(tocopherol), $vitamin\;B_{1}$, $vitamin\;B_{2}$등이 분석 되었고, 그 중 ${\alpha}-tocopherol$ 함량은 한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10.5 mg/100 g, 6.2 mg/100 g이고, 중국산 홍화종실과 볶음홍화종실은 12.8 mg/100 g, 9.4 mg/100 g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 천연항산화제로써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홍화종실의 carotenoid 함량은 중국산 홍화종실이 $452.0\;{\mu}g/\;100\;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홍화종실의 주된 무기질로는 K, P, Ca, Mg 등이 확인되었다.

  • PDF

홍화씨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II)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II))

  • 김미진;김자영;최상원;홍진태;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9-456
    • /
    • 2004
  • 최근 홍화씨의 세로토닌유도체, 리그난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화합물은 에스트로겐${\cdot}$항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 식물 유래의 diphenol 화합물인 phytoestrogen 물질로 작용할 수 있음이 밝혀지면서 이를 함유하고 있는 홍화씨추출물[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의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이전에 홍화씨추출물은 피부세포의 산화를 막아주는 항산화작용을 지니고 있으며, 아울러 피부의 matrix protein을 만들어내는 섬유아세포 증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엘라스틴 단백질을 분해하는 elastase의 활성 저해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홍화씨추출물의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콜라겐 발현효과 및 MMP-1 발현 억제효과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씨추출물의 콜라겐 발현효과는 레티놀보다 우수하였으며, 아울러 MMP-1 발현 저해효과는 올레산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되었다. 또한 $0.1\%$ 홍화씨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홍화씨추출물 미함유 크림)에 비하여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홍화씨추출물은 주름개선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사용이 기대된다.

홍화 (Carthamus tinctorius L.)씨 분말의 골다공증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Powder on Osteoporosis)

  • 배춘식;박창현;조형진;한혜정;강성수;최석화;엄창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85-290
    • /
    • 2002
  • 홍화씨는 한방 및 민간에서 뼈에 우수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오랫동안 복용되어 왔다. 최근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골다공증 문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저자들이 기존에 실시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홍화씨 분말은 난소를 적출한 rat에서 골다공증의 예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골다공증이 유발된 rat에서 홍화씨 분말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자료가 제시된 것은 별로 없다. 이에 저자들은 홍화씨 분말이 골다공증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30 g의 12주령의 Sprague-Dawley Rats를 사용하였으며, 양쪽 난소제거 후 7주부터 홍화씨 분말을 매일 0.3 g씩 복용시키면서 1, 3 및 5주 후에 경골을 채취하여 관찰하였다. 채취된 조직은 통상적인 주사전자현미경 시료제작법으로 고겅과정을 거친 후 10% 질산으로 12시간 탈회하여 뼈의 단면을 노출시키고 탈수, 건조 및 금도금 과정을 거쳐 주사전자현미경(Hitachi, S-450)으로 관찰하여 촬영하였다. 관찰결과 대조군은 골수강에서 피질골까지의 두께의 감소와 골수강의 확장이 심하였으나, 홍화씨 분말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주에서 5주까지 거의 같은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홍화씨 분말은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골다공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홍화 재배유형 및 수확시기가 종실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Methods and Harvesting Time on Yield and Quality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Seeds)

  • 김재철;김기재;최성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87-190
    • /
    • 2005
  • 홍화의 노지및 하우스재배의 생육과 수량 및 수확시기별 종실의 품질에 대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스비가림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해 출현기는 3일, 개화기는 8일이 빨랐으며, 생육도 양호하여 10g당 종실수량도 노지재배 보다 $25\%$ 증수되어 노지재배 보다 비가림재배가 유리하였다. 조지방함량은 비가림하우스재배가 노지재배보다 높았고 종자의 색택도 비가림하우스재배에서 변색없이 흰색이었으나 노지재배에서는 변색되어 품질이 나빴다. 노지재배의 조지방 함량은 수확기까지 높아졌으며 개화성기 20일 이후 수확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종실의 색깔은 개화성기 30일 이후 점차 변하여 개화성기 후 40일 수확은 흑갈색으로 종실품질이 크게 떨어져 종실의 수확시기는 개화성기 후 20일에서 30일 사이가 가장 좋았다.

Production of Pigments and $\alpha$-Tocopherol by Cell Cultures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Gao, Wen-Yuan;Seon, Jeong-Hoon;Son, Sung-Ho;Maurice Moloney;Paek, Kee-Yeoup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69-77
    • /
    • 1999
  • Safflower is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that has been used in China, Korea and Japan for thousands of years. The red and yellow pigments obtained from the petals of safflower can invigorate blood, release stagnation and promote menstruation. In addition, these pigments are used safely in processed foods and soft drinks as naturally harmless rotor additives. On the other hand, the seed of safflower contains 30-40% oil with higher level of mono- and poly-unsaturated fatfy acid profiles and elevated levels of $\alpha$-tocopherol. In this paper, we describe advances in the production of pigments and $\alpha$-tocopherol by cell culture in safflower.

  • PDF

홍화 수집자원의 작물학적 특성 및 교배 방법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cross Method of Collect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Germplasm)

  • 오명원;이정훈;정진태;한종원;이상훈;마경호;허목;장재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8-309
    • /
    • 2020
  • Backgroun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is a useful medicinal and oil crop in Korea. However, when safflower is cultivated, the flowering period overlaps with the rainy season, and seed maturation is poo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use basic research data to develop superior varieties using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rossing method. Methods and Results: A total of 34 safflower germplasms were sown and their agronom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e cultivar 'ui-san-hong-hwa' was selected as the mother plant, and 'Myanmar safflower' (Hsu Pan) was selected as the father plant. In addition, we developed a floret-protecting cap to cover florets after emasculation during the artificial crossing. When florets were protected by the cap, the seed setting rate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at in the non-covered florets. Conclusions: Agronomic characteristics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uitable varie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on cap will be helpful in breeding without the floral organ drying. This study contributes an efficient breeding method to develop new safflower varieties.

Elicitor에 의한 baccatin III의 세포내 생합성 조절연구 (Elicitors for the Regulation of baccatin III Biosynthesis in Plant Cell Culture System)

  • 신승원;김유선;임숙
    • 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0-65
    • /
    • 2000
  • The yeast extract, coconut water, safflower seed oil, arachidonic acid, linolenic acid, jasmonic acid and methyl jasmonate were added to Gamborg's B$_{5}$ medium. The changes on productivity of baccatin III were estimated every 30 minut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selected high yielding cell culture system of Taxus cuspidata. In most cases, the peaks of baccatin III productivity occured at 90~120 min after addition of elicitors. Among the compound elicitors, safflower seed oil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of baccatin III. Also arachidonic acid and linolenic acid increased the baccatin III prod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