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 seed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1초

난황내 Conjugated Linoleic Acid가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of Egg Yolk)

  • 박구부;이정일;하영래;강석중;진상근;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9-347
    • /
    • 1998
  • Th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in egg yolk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during chilled storage (4$^{\circ}C$) were investigated. CLA was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alkali isomerization using safflower seed oil (SSO). A total of 250 hens (200 days of age) were fed control diet (commercial formula feed for han) or CLA-supplemented diet (1%, 2.5% and 5% CLA) or 5% SSO supplemented diet for 6 weeks, and egg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f CLA, fatty acid compositons and lipid oxidation. Eggs from CLA-supplemented diets groups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CLA content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linoleic, palmitic, and myristic acid were increased as well as CLA content by feeding a CLA-supplemented diet. However, the contents of oleic and arachidonic acids in egg yolks were decreased by dietary CLA supplementation. The pH of egg yolk increased by the levels of CLA during storage. The contents of CLA were not significantly (p<0.05) changed during chilled storage for 28 days, whereas TBAR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t is suggested that lipid oxidation of egg yolk might be affected by the levels of CLA in egg yolk due to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s.

  • PDF

홍화씨 추출물 유래 세로토닌 유도체의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효능에 대한 연구 (Inhibitory Effects of Serotonin Derivatives on Adipogenesis)

  • 정은선;김승범;김무한;신승우;이종성;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76
    • /
    • 2011
  •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홍화씨에서 유래하는 특이적인 세로토닌유도체로 주로 식물이 병원균을 방어하기 위해서 만들어내는 hydroxycinnamic acid amides계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oil-red O염색과 triglyceride 양 측정, GPDH 활성 측정 등을 통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두 물질 모두 유의적으로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효능 비교물질로 세로토닌을 처리했을 때 세로토닌 자체로는 지방분화에 유의미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또한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세포분화억제를 통한 항비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식물성유와 동물성유 CLA가 유화형 Sausage의 지방산패도, 육색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on TBARS, Color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musion-type Sausage)

  • 박구부;문성실;이정일;하영래;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79
    • /
    • 2001
  • Emulsion-type sausages were manufact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on quality of emulsion-type sausage. Each treatments replaced pork back fat with CLA-sesame oil (CLA-SO), CLA-lard (CLA-LD) and CLA-safflower seed oil (CLA-SSO) were stored during 1, 7, 14, 21 and 28 days at 4$^{\circ}C$.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ach treatments were measured during 1, 7, 14, 21 and 28 days at 4$^{\circ}C$. The pH values of all treatments significantly(p<0.05) de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Sausage products containing CLA-vegetable oils showed higher pH value than that of CLA-lard among the treatments. Color a*-value of CLA-SSO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During storage, TBARS values of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sausage products containing CLA-vegetable oils showed lower (p<0.05) TBARS value than CLA-lard, and TBARS of sausage products containing CLA-SSO was the lowest. This result indicated that CLA concentration in emulsion-type sausage did affect the lipid oxidation stability. Fatty acids composition was changed by addition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All kinds of fatty acids content decreased whereas CLA content extremely increased by replacement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The level of CLA content in CLA-vegetable oils was higher than CLA-lard. It may be concluded that emulsion-type sausage could be manufactured using CLA-vegetable oils as a pork fat substitutor without any negative effects on general components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PDF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식물성유와 동물성유 CLA 첨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A-vegetable Oils and CLA-lard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 이정일;이진희;곽석준;하영주;정재두;이진우;이제룡;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283-296
    • /
    • 2003
  •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가 대체가 유화형 sausag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CLA- CO는 돼지 등지방 함량 중 30%를 CLA-corn oil로 대체시켰으며, CLA-SSO는 30% CLA- safflower seed oil, CLA-LD는 30% CLA-lard을 각각 대체하여 유화형 sausage를 제조한 후 1, 7, 14, 21 그리고 28일 동안 4$^{\circ}C$의 냉장고에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특성, 조직감, 지방산패도,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CLA-식물성유와 CLA-동물성유를 첨가한 sausage의 pH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 14일째에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pH를 보였다(P<0.05). Sausage의 L*과 a* 값은 모든 처리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b* 값의 경우 CLA-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CLA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지방산 조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인 반면에, linolenic ac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처리구인 CLA-CO와 CLA-SSO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없었다. 조직감에서는 CLA-LD 처리구가 대조구나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응집성, 탄력성, 고무성 및 파쇄성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유화형 sausage의 지방산패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구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CLA-CO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 유화형 sausage 제조시 CLA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과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고급 sausage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Control of Powdery and Downy Mildews of Cucumber by Using Cooking Oils and Yolk Mixture

  • Jee, Hyeong-Jin;Shim, Chang-Ki;Ryu, Kyung-Yul;Park, Jong-Ho;Lee, Byung-Mo;Choi, Du-Hoe;Ryu, Gab-H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80-285
    • /
    • 2009
  • Powdery and downy mildews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and Pseudoperonospora cubensis are the most common and serious diseases of cucumber worldwide. In spite of the introduction of highly effective systemic fungicides, control of these diseases remains elusive. Henc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lternative method to chemicals in controlling the diseases by using different types of cooking oil. Egg yolk, which contains a natural emulsifier, lecithin, was selected as a surfactant to emulsify the oils. Among the different cooking oils used, soybean, canola (rape seed), safflower, sunflower, olive, and corn oils showed over 95% control values against powdery mildew of cucumber in a greenhouse test. In particular, 0.3% canola oil emulsified with 0.08% yolk (1 yolk and 60 ml canola in 20 l spray)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he treatment resulted in 98.9% and 96.3% control efficacies on powdery and downy mildews, respectively, of cucumber in the field. Canola oil exhibited direct and systemic effect, wherein powdery mildew of cucumber was suppressed only on treated leaves but not on non-treated leaves in a plant, while mycelia and conidia of the pathogen were severely distorted or destroyed by the treatment. The prospect of using the canola oil and yolk mixture as a natural fungicide is highly promising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availability, low cost, simple preparation, and safety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 use of the canola oil and yolk mixture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fungicide for use in organic farming and home gardening.

전통음료 소재가 납투여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 및 간과 신장조직의 헝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on Minerals Content and Histological Changes in Pb-Administered Rats)

  • 조수영;김명주;이미경;박은미;장주연;최정목;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1-317
    • /
    • 2004
  • 전통음료의 소재로 애용되는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 및 간과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kg당25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투여하였다. 녹차잎, 감잎, 홍화씨 및 두충수피의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투여하였다. 전통음료 소재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투여로 인한 혈청과 간조직의 납축적 억제와 혈청 중의 철과 구리 함량 증가에 효과적인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납투여시 혈청 중 포도당과 알부민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크레아티닌과 빌리루빈 할량은 유의 적으로 증가되었다. 반면, 실험식이 급여시 이들 혈청 중 성분함량의 회복을 보였다. 또한 간조직 및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는 납단독투여군에서 괴사성 소견 및 염증세포의 출현이 관찰되었으나 전통음료 소재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조직학적 변화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통차 재료의 열수추출물이 납투여 흰주의 간조직 중 유해 활성산소 생성과 제거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Tea Materials Water Extract on Hepatic Oxygen Free Radical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e Activities in Lead Administered Rats)

  • 김덕진;조수열;신경희;이미경;김명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17-124
    • /
    • 2003
  • 한국전통차로 알려진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이 납투여된 흰쥐의 유해 활성산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체중 kg당 25 mg의 납을 매주 1회 경구 투여 하였다.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체중 kg당 1.26 g 수준이 되도록 4주간 경구 투여 하여 사육한 결과 간조직 중 과산화지질 함량은 납 단독투여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한국전통차 급여시 과산화지질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조직 중의 CYP 함량과 AD 활성은 납 투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각각의 열수추출물 급여시 납투여로 억제된 활성이 회복됨으로써 한국전통차 급여가 CYP 함량과 산화적 디메틸화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납투여로 증가된 간조직의 XO와 SOD의 활성은 녹차, 감잎, 홍화 및 두충 열수추출물 급여시 활성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MAO 활성은 납 투여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증가되었으며 녹차와 감잎 열수추출물 급여로 활성 증가가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간조직 중 CAT 활성은 납투여시 약 3.3배 증가되었는데 감잎군 37%, 녹차군 34%, 두충군 30%, 홍화군 28%, 순으로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GSH-Px와 GST 활성 및 글루타티온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납 단독투여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한국전통차 급여로 회복되었다. GR 활성은 실험군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G6PD 활성은 납투여로 증가된 활성이 실험식이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생약 중 Fenpyroximate의 분석법 연구 (Analytical Methods of Fenpyroximate in Herbal Medicines)

  • 이주희;이윤정;강인호;김도훈;강신정;안경아;이륜경;서상철;이정림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1-147
    • /
    • 2014
  • Fenpyroximate는 생약 재배시 살응애제로 사용되는 피라졸계 살충제이다. 본 실험은 HPLC-PDA와 HPLC-MS/MS를 이용하여 생약 중 fenpyroximate의 잔류분석법 확립을 위해 수행하였다. 생약(감초와 홍화) 중 잔류하는 fenpyroximate를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다시 포화식염수와 dichloromethane을 이용하여 액-액 분배한 후 아미노프로필 카트리지와 florisil로 정제한 것을 HPLC-PDA와 HPLC-MS/MS로 정량하였다. 생약별로 fenpyroximate를 2 또는 3 수준으로 첨가하여 수행한 회수율 범위는 72.0~106.4%이었으며 이때의 변이계수는 0.2~4.4였다. 따라서 본 분석법은 생약 중의 fenpyroximate 잔류 분석법으로서의 충분한 재현성과 감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