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work plat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초

외부 충돌하중으로 변형된 철도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Railway Bridges Deformed due to External Impact Loads)

  • 서동우;정규산;박상기;김정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75-83
    • /
    • 2023
  • 일반적으로 교량은 계곡, 하천 등의 구간을 쉽게 통과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이다. 도심지를 통과하여 운행되는 철도교량 등은 지진, 통행차량의 충돌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심각한 인명피해와 주변 시설물의 피해 그리고 운행중단으로 인한 도심지의 기능 마비 등 심각한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충돌이 발생한 교량에 대해서는 손상 정도에 따라 부분 보수 혹은 전면 교체 등의 보수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충돌로 인한 손상 혹은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변형의 정도, 변형으로 인한 교량의 내하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등에 따라 보수 방법을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내에서 설치되어 운행 중인 노후 철도 교량에 대해 차량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국부 변형에 대한 보수작업에 대한 수치 해석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차량 충돌로 인하여 발생한 국부 변형에 대한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 교량의 보수 방법을 제시하였다.

새싹 종자 소독 여부에 따른 발아율과 재배기간별 미생물 오염도 (Germination Rate and Microbial Safety during Cultivation of Disinfected Seeds)

  • 박은정;권중호;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2-2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새싹종자 소독처리 여부에 따른 재배기간별 미생물 오염도 수준을 파악하고, 종자소독이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입산 새싹종자 알팔파(alfalfa), 브로콜리(broccoli), 클로버(clover), 적양배추(red cabbage), 적무(red radish) 5종에 대하여 소독제 처리 여부에 따른 발아율과 재배기간별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독제 종류에 관계없이 새싹종자(알팔파, 클로버, 적무)는 48시간 후 90% 이상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종자 소독 시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미생물 수준을 보였으나, 발아과정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모두 $10^7-10^8CFU/g$으로 종자소독 여부에 관계없이 종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오염 수준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종자 소독하지 않은 클로버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새싹채소의 위생적인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국 FDA 권고에 따라 재배전 종자의 소독이 필요하며, 발아과정의 HACCP 관리계획을 마련하여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푸드뱅크 기탁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II)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 (II))

  • 박형수;류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3권4호
    • /
    • pp.389-40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safety level of non-cooking and cooking processed foods to propose the sanitary management of foods donated to foodbanks. The time and temperature were measured and the microbial levels of aerobic plate counts (APC), coliforms,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 and E. coli O157:H7 were analyzed on ten food items donated to seven foodbanks. The amount of cooked foods donated to each foodbank was about 10 to 40 servings. All foodbanks hired a supervisor and had at least one refrigerator/freezer and one temperature-controlled vehicle, but only four foodbanks had the separate offices to manage the foodbank operation. The flow of donated foods was gone through the steps; production, meal service and holding at donator, collection by foodbank, transport (or holding after transport) and distribution to recipients. After production, the levels of APC of both non-cooking and cooking processed foods were complied with the standards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were not increased till distribution. Only the level of coliforms in dried squid & cucumber salad (1.5×$10^3$ CFU/g) was not met the standards. E. coli and other pathogens were not detected in all tested samples. The microbial levels of delivery vessels and work tables were satisfactory, but the APC levels of two of four tested serving tables (6.9×$10^3$ and 5.3×$10^3$ CFU/100$cm^2$) and the coliforms level of one (1.1×$10^3$ CFU/100$cm^2$) were over the standards. The air-borne microflora level in serving room was estimated as satisfactory. It took about 3.0 to 6.5 hours from after-p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the temperatures of donated foods were exposed mostly to temperature danger zone, which had a high potential of microbial growth. These results imply that a checklist to monitor time and temperature in each step should be provided and the employees involving foodbank operation should be properly educated to ensure the safety of donated foods.

  • PDF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2방향 중공슬래브의 뚫림 전단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Punching Shear Safety of a Two-Way Void Plywood Slab System with Form)

  • 허무원;우형식;박정민;강현욱;박태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82-189
    • /
    • 2021
  • VPS는 중공재의 형상을 최적화 하고 중공재의 부상 및 작업하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기존 중공슬래브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제안한 거푸집 패널이 부착된 중공슬래브(VPS)를 활용하여 플랫 플레이트의 뚫림전단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가력점으로 부터 기둥 폭의 2.0배를 넘어 중공재를 배치한 VSPS 실험체는 기준 실험체에 대비 내력이 9.4%감소하였다. KBC2016에서 제시한 설계 값의 약 1.57배 이상의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중공재를 배치한 VSPS 실험체가 전단파괴가 발생하기 전까지 기준 실험체 대비 강성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휨 철근을 충분하게 배근하여 본 실험이 전단에 의해 파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system) 적용을 위한 깻잎의 수확 후 관리시설(APC)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Assessment of a Perilla Leaf Postharvest Facility for Application of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 김경열;남민지;이효원;심원보;윤요한;김세리;김두호;류재기;홍무기;유오종;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2-398
    • /
    • 2009
  • 깻잎을 생산하는 APC 시설을 대상으로 GAP system을 도입하기 위해서 각 공정별 용수 및 세척수, 작업자 및 작업장 환경, 각 공정별 깻잎 그리고 공중낙하균을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E. coli, E. coli O157 그리고 L. monocytogenes를 제외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과 대장균군)과 병원성 미생물(B. cereus와 S. aureus)이 세척수, 작업자 장갑 및 작업복 그리고 포장대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특히 직접적인 교차오염의 위험이 있는 세척수와 작업자 장갑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각각 0.91-3.36과 3.31-4.29 log CFU/ (mL, 100 $cm^2$), 대장균군은 0.00-1.86과 1.16-2.06 log CFU/(mL, 100 $cm^2$)의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또한 입고된 원재료에서 포장공정에 이르기까지 깻잎에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4.82-5.93과 2.82-3.49 log CFU/leaf 수준으로 분리되어 유의적인 세척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p${\geq}$0.05) 식중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더욱 향상된 세척공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와 같이 현재 APC 시설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보다는 선별 및 저장의 기능에만 초점을 맞춰 운영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개념이 포함된 새로운 개념의 관리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신선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깻잎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 사전예방적 안전체제인 HACCP system을 기초로 한 GAP system을 제 시함으로써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관리가 도입된 새로운 개념의 농식품의 안전관리제도를 제시하였다.

대학 구내 휴게음식점 종사자의 손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 Hygiene of Food Handlers of Food Court and Cafeteria in University Campus)

  • 김종규;박정영;김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3-142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 구내 휴게음식점 종사자의 손 씻기 의식과 실천, 그리고 그들의 손의 오염지표미생물 오염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개 대학 구내 휴게음식점의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관찰조사, 그리고 미생물 시험을 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개별 직접면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관찰조사는 화장실에서 대상자가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수행되었다. 손의 미생물 오염도 실험은 식품공전에 따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에 비해서 관찰조사에서는 손 씻기와 손 위생관리가 매우 미흡하였다. 설문조사와 관찰조사 사이에 화장실 사용 후 손 씻기 실천/이행 여부, 시간, 사용 제제, 씻는 부위, 손 말리는 방법, 물의 온도, 그리고 물 잠그는 방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대상자의 손에서 작업 전에 비하여 물로 손을 씻은 후에는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분변성대장균 및 대장균 오염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향균비누로 손을 씻은 후에는 포도상구균을 포함하여 모두 불검출이었다. 설문조사와 관찰조사를 통해 대상 종사자의 손 씻기 의식과 실천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부 종사자의 손에서 대장균군, 분변성대장균군,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어 손 씻기 실천/이행 및 손 위생관리가 불량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들 휴게음식점 종사자의 양호하지 못한 손 위생관리와 ��거절한 손 씻기가 개선되어야 하고 개인위생과 식품안전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조리종사자의 손 씻기 의식과 실천 및 손의 지표미생물 오염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d Washing Awareness and Practices of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on the Hands)

  • 박정영;김중순;김종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5-107
    • /
    • 2010
  • Hand-washing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personal hygiene and public health.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hygienic behavior of food-service employees, focusing on awareness of hand washing, hand washing practices, and the load of index microorganisms (aerobic plate count, total and fecal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on the hands of food-service employees. A questionnaire survey completed by direct interview, direct observation of restrooms by the researcher and trained observers, and microbiological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Food Code of Korea were carried out. In the survey, a positive attitude toward hand washing compliance was reported; however, improper hand washing and poor hand hygiene of the food-service employees were seen under direct observ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betwee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direct observations in hand washing compliance after using the toilet, duration of hand washing, use of hand washing agents, use of hand washing tools, washing of different parts of the hands, hand-drying method, temperature of water, and method of turning off the water. Samples taken from employees' hands before washing showed higher levels of bacteria than those taken during work and/or after washing (p<0.05). Poor hand washing practices were indicated by the positive results for total and fecal coliforms, E. coli, and S. aureus on the hands of some food-service employees.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food-service employees' awareness of hand-washing and their actual hand-washing practices. The poor hand hygiene of and improper hand washing by the food-service employees should be addressed for improved food safety.

전기 접속장치인 분전반과 배전반의 효율적인 부스바 절연 피복 레이저 커팅기 연구 개발 (Efficient Busbars for Distribution Boards and Distribution Boards R & D Laser Cutting Machine)

  • 임연정;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4권2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분전반 또는 배전반에 설치되는 부스바(busbar)의 절연 피복을 절단하는 커팅기에 관한 기술로써, 연구 결과, 첫째, 커팅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레이저기가 부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팅유닛 및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부스바의 피복 커팅거리를 조절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부스바 피복 레이저 커팅기이다. 둘째, 프레임은, 테이블의 후방 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바가 놓여 설치되고 상부 중간 부분에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직 상으로 포스트가 설치되며, 전방 포스트의 외측부에 위치하도록 테이블에 커팅 홀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셋째, 서포터는, 프레임에 배치된 가이드 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실린더와 지지 판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연구의 의미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커팅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스바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는데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높이조절이 가능한 강재 맨홀뚜껑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Height Adjustable Steel Manhole cover)

  • 박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81-586
    • /
    • 2018
  • 주철 맨홀뚜껑은 제조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작업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또한, 맨홀 뚜껑의 높이와 도로 표면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많은 불편을 초래하며 안전에도 문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철 맨홀뚜껑을 대체할 수 있고, 도로 노면 공사 시 도로 노면 높이와 맨홀 뚜껑의 높이를 동일하게 맞추기 용이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강재 맨홀 뚜껑 구조를 제안하였다. 요구되는 품질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맨홀 뚜껑의 구조에 대한 설계변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 해석을 수행하였다. 요구되는 내하중 용량을 만족하는 맨홀뚜껑을 제작하기 위하여 ㄷ자 모양의 보강대에 대하여 최적 설계를 수행하였다. 높이조절부의 원통과 하부 프레임 원통은 강판을 굽힘 가공하여 원형의 형상으로 만든 후 용접에 의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보강대도 강판을 굽힘 가공하여 제작하였다. 높이 조절용 홈은 CNC 밀링머신에 의하여 가공하였다. 4차례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내하중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의 결과를 반영하여 새로이 제작하였다. 내하중 시험에서 용접부의 파손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주로 변형은 높이조절 홈과 가셋트 판이 접촉하는 부위에서 발생하였다. 450kN의 부하 하중에 의해 1~2.7mm의 변형이 발생하지만, 하중을 제거한 후에 거의 잔류변형이 없으며, 맨홀뚜껑의 분해 및 재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하중 평가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받았다.

누룽지 생산시설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ing Company of Nuroong-ji)

  • 도윤호;최정식;정유경;박지현;노경환;김성수;최신영;이경윤;한의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3-340
    • /
    • 2010
  • 누룽지 제조시설에서 공중낙하균, 작업장 내 시설 및 환경, 제조 종사자, 제조기기 및 주변기구, 원재료, 제조공정별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조사하였다. 오염도는 취급하는 재료의 종류와 처리공간의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원재료를 비롯한 설비와 기구들의 오염은 심각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교차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람의 간섭도가 높은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오염도를 나타나 개인위생관리가 중요하다. 누룽지의 제조 공정 중 굽기공정($120{\sim}170^{\circ}C$, 약 10여분)에 의해서 미생물을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굽기공정을 표준화하고 이와 관련된 기구 및 시설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중소규모 식품제조시설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관리를 위해서는 위생시설의 확충도 중요하지만 종사자의 위생에 대한 인식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