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supervision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31초

항행정지명령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to Improve the Vessel Navigation Suspension Order System)

  • 이석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6-67
    • /
    • 2018
  • 세월호 사고 이후 우리나라의 해사안전분야에 해사안전감독관 제도가 도입됨으로써 내항선분야의 안전관리는 한층 강화되었다. 해양사고의 방지를 위해 도입된 해사안전감독관 제도는 정기 및 수시 지도 감독을 통하여 해양사고 방지활동을 하고 있다. 이들은 지도 감독 중에 발견된 여러 결함들에 대해서는 선박시설의 보완이나 대체, 소속 임직원에 대한 교육 및 훈련의 실시, 소속 직원의 근무시간 등 근무환경의 개선, 그 밖에 해사안전관리에 관한 업무의 개선 등의 4가지 분야로 분류하여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개선명령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이들 중 선박의 시설분야는 그 시설의 보완이나 대체가 완료될 때까지 항행정지를 같이 명령할 수 있도록 하여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선박의 안전운항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결함에 대해서는 비단 시설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항행정지 명령의 처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항행정지명령 제도는 시설분야만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해양사고 예방활동을 위한 감독관의 지도 감독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감항성 확보를 통한 해양사고 예방을 위하여 선박의 시설분야뿐만 아니라 화물적하운용, 증서 및 문서, 안전관리체제, 비상훈련을 포함한 인적요소, 근로조건 등의 분야까지 확대하여 항행정지 명령이 가능하도록 해사안전감독관의 항행정지 명령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전력 u-IT 융복합화 기기의 평가와 인증 연구 (A Study of Evaluation Certification on Electronic Power u-IT Convergence Equipment)

  • 이정훈;박대우;배석명;김응식;김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9-502
    • /
    • 2009
  • 전체 시스템과 네트워크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전기안전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전기안전기술은 u-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융복합화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제품에 대한 평가와 인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기기와 u-IT기기의 융복합화 제품을 u-City에 적용시킬 전기안전 통합감시시스템을 개발하기위해, 전력기기 단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울렛에서 접속불량 검출장치가 내장된 전력 IT 융복합화 기기를 만들었다. 전기안전 통합감시시스템에서의 원격 안전 점검을 위한 ZigBee, RFID의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과 모듈의 성능 평가를 하고, PD, Arc 검출 진단 시스템에서 성능 실험 및 평가를 하여 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에 대하여 KS, 전기안전 인증을 한다.

  • PDF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의 기본 Protocol 비교 (Comparative Study for Basic Protocol of High Dose Ablation Therapy)

  • 문재승;정희일;이치영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147-156
    • /
    • 2008
  • 목적 : 방사성옥소 치료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든 행위가 나름대로의 원칙과 규정이 있으므로 단일화 된 모델은 적절한 최적화가 아닐 것으로 생각되나 통일성 있는 기준제시에 접근하고자 함이다. 실험재료 및 방법 : 2007년 11월 5일부터 11월 17일까지 29개 병원을 대상으로 핵의학 담당자에게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환자에 대한 진료부문, 환자관리, 검사 부문, 폐기물관리, 안전관리 등 5개의 카테고리로 정하였으며 질문에 대한 응답내용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2007년 10월 기준으로 전체 30개 병원에서 58개의 병실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치료계획에 따른 검사 및 일정관리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환자에 대한 교육부문은 의사 및 간호사가 주로 담당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폐기물 관련 자료와 정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정기 감사로 인하여 각 병원별 폐기물 관리 수행은 원만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및 작업종사자들에 대한 안전관리는 원자력법에 근거하여 잘 수행되고 있었으며 치료병실에 대한 오염관리에 대해서 대부분 병원에서 철저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항목별 자료 수집내용을 충분히 검토하여 현실성 있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표준안이 제시되었어야 하나 그러지 못한 부족함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조사에 대해 임상의 활용도 가치를 응답자 중 70.9%로 비교적 높이 평가해 주심에 감사를 표한다. 향후 본 자료를 토대로 각 항목별 세부사항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 PDF

소방공사감리제도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이해당사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Fire Construction Surveillance System : Focused on the Stakeholders)

  • 이란희;정견식;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3-1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arch stakeholders' recognition related to Fire Construction Surveillance system; a client(order), fire fighting officer, supervision company, construction company, design company, other. The paper provides 4 important things. Firstly, a client(order) suggested the lowest recognition in the needs about the need of separation order, that of contract for any construction work limited registered companies, and that of standard price for engineering.. Secondly, the design company is lowest recognition in guidance and control participating in construction-design phase. Thirdly, the design company is lowest in adjustment about manpower-allocation according to allocation criteria of technical manpower. Fourthly, a client(order) and supervision company are relatively lower than other stakeholder in necessity on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auditor in fire protection construction. Almost all related matters are related to more or less stakeholders' interest.

전력 u-IT 융복합화 기기의 평가와 인증 연구 (A Study of Evaluation Certification on Electronic Power u-IT Convergence Equipment)

  • 이정훈;박대우;김응식;김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433-2440
    • /
    • 2009
  • 전력 공급과 전기안전은 전체 시스템과 네트워크에 대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전기안전기술은 u-IT, u-City 기반 기술의 발전과 함께 전력 u-IT 융복합화 제품개발은 제품에 대한 평가와 인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기기와 u-IT기기의 융복합화 제품을 u-City에 적용시킬 전기안전 통합감시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전력기기 단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아울렛에서 접속불량 검출장치가 내장된 전력 u-IT 융복합화 기기를 만들었다. 또한 전기안전 통합감시시스템에서의 원격 안전점검을 위한 ZigBee, RFID의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모듈과 제품의 기능에 대한 성능 평가를 하고, 누전, 고전압, Arc, 화재 검출 센서 진단 시스템에서 성능 실험 및 평가를 하여 적합판정을 받은 제품은 KS, 전기안전제품 인증을 한다.

중대재해처벌법 핵심 안전조항에 대한 건설업 종사자의 인식 고찰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nstruction Workers on the Key Safety Provisions of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 김재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1-83
    • /
    • 2022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field awareness of how each provision of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will affect accident preven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it was analyzed that construction site workers had a low sense of safety and did not voluntarily engage in safety activities.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taking a very passive position that it is efficient to implement safety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supervisor. Workers who need voluntary construction site safety activities are most aware of the situation at the site, but the problem was pointed out as "lack of procedures for listening to opinions and prepar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se problem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see if this is a problem for individual workers or for those in charge of safety and health who do not correct it even though active opinions have been submitted.

A Review of Safety and Quality Issu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Ogwueleka, Amaka Chinweude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3권3호
    • /
    • pp.42-48
    • /
    • 2013
  • Construction industry is considered as the most hazardous industry due to its unique nature. Safety and quality management are essential to control hazards and improve success in project implementation. This paper focuses on evaluating the crucial factors influencing safety and quali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e crucial safety factors as management commitment, safety awareness of top management practices/ procedures/ reviews, and errors in judgement or carelessness. Project supervision, employee involvement/ altitude, and expertise knowledge/ training were considered as the crucial quality factors influencing safety and quality management. The study shows that safety and quality issues cannot be overlooked therefore proper implementation is paramount to achieve project success.

국가 통합항공안전관리시스템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l of the State's Aviation Safety Management System)

  • 박민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
    • /
    • 2011
  • The Chicago Convention in 1944 ma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aviation safety improvement, building an avia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its signatory countries. As ICAO is now on the verge of changing its supervision system from self-reporting to preventive Continuous Monitoring Approach(CMA) in 2013, we also expect our own safety system to make a progres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plans to build a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at government level that satisfies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flects domestic features. To this end, this report proposes the most effective system-building model,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ystem that is in use and meets the requirements of international aviation agencies.

건설공사 공종별 사고유형 및 사고객체 교차분석을 통한 중점안전관리항목 도출 (Derivation of Key Safety Management Factors by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Cross-Tabulation Analysis between Accident Types and Objects)

  • 유나영;김하림;이찬우;조훈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7-128
    • /
    • 2022
  •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a higher disaster rate than other industries, so safety education and management are highly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the construction accident rat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key safety management fac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here there are differences in processes and manpower input for each process, and a small number of managers. Therefore, in this study, key safety management factors for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were derived through cross-analysis between safety accident types and accident occurrence objects through disaster case data. The extracted key safety management factor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afety education and supervision of construction sites.

  • PDF

석면 해체제거 보양작업에서 JSA 및 Checklist 적용 (Application of JSA and Checklist in Asbestos Sealing)

  • 조규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1-66
    • /
    • 2020
  • As asbestos-containing buildings are getting older, asbestos deconstruction works are increasing. As a result, accident risks such as falls, cuts, electric shocks, and suffocation are increasing. Existing studies are mostly about health management and institutional policy research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work risk. So workplace risk assessments that are easily applicable in the field are required to be applied. Sealing is the first process of asbestos deconstruction and is the first step to ensure worker's safety. Job Safety Analysis(JSA) and Checklist were us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nd to calculate the level of the risk. By comparing the two risk assessment tools, it was figured out that the JSA is appropriate for the initial process and change of work procedure while Checklist is appropriate for repetitive work. Because the sealing process is sort and simple, it is unlikely to cause serious injury. But since the risk of falling and cuts are exist, safety education and supervision are necessary to maintain a safe work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