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perceptions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5초

Awareness Patterns Regard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Fields Related to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Focusing on Companies that Must Report Radiation Sources

  • Eunok Han;Yoonseok Cho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9-28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analyz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and regulatory perceptions, focusing on companies that must report radiation sources. The intent is to reduce the gap between regulation measures and addressing real concerns while improving practical safety management measures and regulations for all stakeholders. Materials and Methods: Radiation safety officers at a total of 244 reporting companies using radiation generators (79.8%) and sealed radioisotopes (15.1%)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and Discussion: The perception that regulation is stronger than the actual risk of the radiation source used was 3.47 points (out of 5 points), indicating a score above averag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considerations were education and training (48%) as a human factor, safety devices of the radiation source (71.3%) as a hazardous material factor, the use of radiation (50.8%) as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he radiation effect of nearby facilities (67.2%) as a physical environmen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experience (F= 5.030, p< 0.01), the group with high subjective knowledge (t= 6.017, p< 0.001), and the group with high objective knowledge (t= 1.989, p< 0.05) was found to be better a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garding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ecause each staff member has individual differences in educational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information on how to solve radiation accidents via educational content. Applying radiation safety regulations based on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hown in this survey will help improve safety.

초, 중, 고등학생의 방사선조사식품, 원자력발전, 의료방사선에 대한 인식, 지식, 태도 차이 (Different Perceptions, Knowledge, and Attitud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Irradiated Food,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Medical Radiation)

  • 한은옥;김재록;최윤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118-126
    • /
    • 2014
  • 향후 여론의 주도층이 될 일부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방사선이용 분야 중 일반적으로 사회적 수용성이 절실히 필요한 방사선조사식품, 원자력발전, 의료방사선에 대한 인식, 지식 및 태도를 설문 조사한 결과 사회적 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육적 근거가 일부 도출되었다. 첫째, 여학생 중심의 수업과 남학생 중심의 수업설계에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방사선조사식품의 객관적 지식수준(p<0.039), 원자력발전의 필요성(p<0.001) 및 객관적 지식(p<0.001),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 건설 찬성태도 (p<0.000), 의료방사선의 필요성(p<0.001) 및 객관적 지식(p<0.001), 의료방사선 이용 태도(p<0.007, p<0.001)가 모두 높기 때문이다. 둘째, 원자력발전의 필요성, 안전성에 대한 국민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에서는 의료방사선의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다. 남, 여학생 모두 의료방사선이 가장 필요하며(p<0.001), 의료방사선이 가장 안전하며(p<0.001), 원자력 발전이 가장 안전하지 않다고(p<0.013) 인식하고 있다. 또한 의료방사선과 원자력 발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초, 중, 고등학생이 방사선이용 분야별로 인식의 패턴이 다르므로 학급별로 차별화된 강의내용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은 원자력발전에 대한 교육흥미도가 높고(p<0.005), 방사선조사식품이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p<0.001), 방사선조사식품을 섭취하겠다는 태도가 가장 높았다(p<0.001). 중학생은 의료방사선에 대한 교육흥미도가 높고(p<0.018), 원자력발전(p<0.001)과 의료방사선(p<0.002)에 대해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치료 방사선이용 태도가 가장 높았다(p<0.001). 고등학생은 원자력발전(p<0.001)과 의료방사선(p<0.001)에 대한 객관적 지식수준이 가장 높고, 의료방사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p<0.017), 원자력발전이 가장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다(p<0.001). 방사선조사식품 섭취 태도(p<0.001), 거주지에 원자력발전 건설을 찬성하는 태도(p<0.001) 모두 낮았다. 넷째, 객관적 지식 중심의 교육제공보다 인식변화 및 태도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객관적 지식과 방사선조사식품의 필요성, 객관적 지식과 원자력발전에 대한 안전성 및 교육흥미도, 객관적 지식과 의료방사선의 교육흥미도 및 정보습득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객관적 지식수준은 가장 높았으나 거주지의 원자력발전 건설에 대해 찬성하는 태도와 방사선조사식품 섭취태도가 가장 낮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원자력 및 방사선이용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성과 안전성에 대한 인식과 지식 및 태도 향상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 (Development of a Medication Error Prevention System and Its Influence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Initiatives)

  • 김명수;김현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15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ient safety culture (PSC) and patient safety initiatives (PSI) according to IT-based medication errors prevention system which is constructed in this study,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ystem construction, perception to the usage, PSC and PSI. Methods: The subjects were 180 nurses who work at 12 different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 system construction status, the perception to the usage using electric pharmacopoeia (EP), a drug dose calculation system (DDCS), a patient safety reporting system (PSRS) and a bar-code system (B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1 to August 2011.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ystems were constructed in participating hospitals; For EP and PSRS, 83.9%, DDCS, 50%, and BS, 18.3%. The perceptions on the usage of the system were marked highest in BS as 4.54 followed by EP as 3.85.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SI and EP construction (r=.17, p=.028); PSRS (r=.17, p=.028) and DDCS (r=.23, p=.002). Conclusion: The developed system for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s and reducing medication errors was found out well accepted. It is hoped that the system is helpful for PSC and PSI improvement in clinical settings.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 최정숙;전혜경;황대용;남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6-74
    • /
    • 2005
  • 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주부 1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안전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55.4%, 불안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34.6%로 식품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나 초등학생의 자녀여부, 학력, 채소류 구입 장소, 브랜드, 보존료나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 원재료의 원산지 등이었다. 불안요인 중 잔류농약은 대상자의 96.0%가, 보존료나 착색료 등 식품첨가물 95.7%, 환경호르몬 93.0%, 식중독균 등 유해 미생물 91.7%, 유전가변형식품은 90.2%가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잔류농약이나 식품첨가물보다 미생물의 발생으로 인한 식품오염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식중독의 경우 더욱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불안을 느끼는 식품으로, 도시락은 대상자의 93.3%가, 수입 식품은 92.7%, 패스트푸드 89.9%, 햄과 소시지 등 식육가공식품 88.7%, 외식(패스트푸드 이외의 식품) 81.6%, 통조림과 냉동식품 등 가공식품 83.5%, 컵라면 등 인스턴트식품 82.0%, 쌀 47.4%, 식용유 53.8%, 우유 및 유제품은 56.6%가 불안하다고 느꼈다. 식품의 제조(재배) 및 원료(원산지)를 제시해주는 식품표시에 대하여 신뢰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대상자가 많으므로(75.2%) 표시 제도와 인증제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식품에 관련한 충분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신선식품(농축산물)구입시 가장 우려되며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수입산인지 국내산인지'이었으며 '유통기한', '무농약 및 유기재배 여부', '만질 때 혹은 외관상으로 느껴지는 신선함' 등이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에는 '보존료 및 착색료 등의 식품첨 가물'(93.6%), '유통기한'(92.4%), '원재료가 무농약$.$유기재배인지'(88.8%)에 대하여 염려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개선사항으로 '비료, 농약 살포, 수확시 관리 등 생산단계'(59.6%) 및 '물, 토양, 대기 등 자연환경'(43.6%)의 개선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농장단계에서 오염원을 줄이는 방안이 최종생산물의 검사에 기반을 둔 식품안전정책보다도 안전성 확보에 훨씬 유효하다는 사고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으므로 농산물 생산단계에 우수농산물관리 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전예방 원칙을 적용한 HACCP 시스템을 도입하여 식품(특히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겠다. 또 food chain 전반에 관한 이력정보의 부족과 정보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므로 생산단계부터 가공단계, 유통단계, 그리고 판매 단계 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소비자가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체계 (traceability system)'를 활성화하여야 하겠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 김재은;송주은;안정아;부선주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23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levels of job stress, perceptions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ICU nurses working in two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s in Gyeonggi-do between June 30 and July 30, 202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 one-way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method,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 The average levels of job stres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3.48, 3.44, and 4.45 out of 5, respectively.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career in current workplac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es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Conclusion : In order to promot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patient safety culture need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education of ICU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should be enhanced to improve patients safety nursing activity.

일반인의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atient Safety Activity Experience, Patient Safety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 신선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05-415
    • /
    • 2020
  •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환자안전활동 경험, 환자안전인식 및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일반인의 환자안전 참여를 증가시키기 위한 환자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9년 11월에 온라인 설문을 통해 195명의 단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최근 1년 이내에 종합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환자안전활동 경험은 환자안전인식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참여 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환자안전인식은 환자안전활동 경험과 환자참여 의지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의 환자참여 의지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의료기관에서 수행하는 환자안전활동에 대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환자안전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건설업 발주자의 안전보건조치 의무 도입 필요성 분석 (Analysis of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the Obligation to Take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Construction Orderer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임세종;서재민;원정훈;김창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0-29
    • /
    • 2022
  • To stem the ever-prevalent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efforts must be invested by various stakeholders. Specifically, among stakeholders, the orderer is at the top of a project's decision-making structure. Therefore, the orderer's awareness of safety and health directly affects the process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overall construction site.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each stakeholder regarding the obligatory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clients that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addition, it suggests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in the Korean context.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stakeholders such as orderers, safety managers, and site manag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ntitatively reviewed b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methods such as analysis of vari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roduction of safety and health obligations for the owner was found to be necessary, and the designation and operation of safety and health experts as an action plan was deemed reasonable. The authors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the related regulations in Korea. Moreover, as a further study, a review of the effectiveness after improving regulations would contribute strongly to the domain.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 김연;이은선;최은영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4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building the patient safety culture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For this study, 816 nurses participated from three general hospital and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wangju and Chonn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ne, 2012 by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developed AHRQ(2004) and translated in Korean and edited by Je(2006), was used to measure the patient safety culture which the nurses were perceiv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using SPSS window 18.0. Results: With a possible score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nurses'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3.32. In the sub dimens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the score hospital-level aspects was the highest level of 3.27(0.50) and reporting system medical errors was the lowest of 3.08(0.40).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level on patient safety cult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ending on 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age, hospital level, work experience in present hospital, work experience in present unit, work experience in present area, positions, work hours of week. Conclusion: The scores of perception of which were shown to be relatively low in this study, needed to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evaluation and researches. We suggest developing a new tool on patient safety culture fit our country which will help to manage ongoing patient safety culture.

  • PDF

간호사의 조직 의사소통 만족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 김경자;한정숙;서미숙;장봉희;박미미;함형미;유문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3-221
    • /
    • 2012
  • Purpose: Communication in hospital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patient safe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the safety attitude of nurses in hospitals. Metho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ith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swered by 278 nurses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Kyeoung-gi Province, Korea. Result: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fety attitude (r=.747, p<.01). Among the 6 sub dimensions of safety attitude, perceptions of management (r=.675, p<.01), job satisfaction (r=.640, p<.01) and teamwork climate (r=.600. p<.01) were strongly related to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explanation power of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gainst safety attitude. The model was significant (F=48.540, p<.01).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ccounted for 60.9% of variance in safety attitude (Adj $R^2$=.609).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higher levels of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romote positive safety attitude in hospital nurses and that communication media q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patient safety attitude. Therefore, developing interventions to revitalize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based on communication media quality will help in the construction of positive safety attitude in nurses.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이주배경청소년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Social Percep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Migrant Youth based on Big Data)

  • 김영;정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62-469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재난 안전교육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Textom과 Ucinet을 이용하여 이주배경청소년 재난 안전 교육에 대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2016년부터 2023년까지 포털 웹사이트에서 '이주배경청소년+재난+안전교육'을 키워드로 검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교육(306)'이 가장 높은 빈도를, 그 뒤로 '안전(287)', '학교(97)', '사회(85)', '지원(77)'이 높은 빈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결중심성 및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교육', '안전', '사회'이며 '가정'은 빈도분석, 연결중심성이나 근접중심성 순위보다 더 높은 순위로 나타나 이주배경청소년 재난안전교육의 네트워크 연결망에서 '가정'이 중재자 역할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이주배경 청소년의 재난안전교육의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이주배경청소년의 재난취약계층 특성을 고려한 재난 안전 교육 정책 및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