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ontents

검색결과 2,090건 처리시간 0.037초

Website를 이용한 환자안전문화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Development of Website-based Patient Safety Culture Promotion Program)

  • 김경자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2-167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site-based patient safety culture promotion program that could be implemented by nurses in real work scenarios. Methods: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study. A patient safety culture promotion program, called 'Safe Culture, Save Patients' was developed, based on structuration theory and performance engineering approaches. Results: This program was delivered in the form of a website containing contents about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accidents and the improvement process details, as well as a program for motivation. The program was tested about the validity on contents and usability - a panel of 14 experts confirmed its validity using the contents validity index (CVI), with a resulting S-CVI of .980. Usability was evaluated by 11 nurses, which allowed finalize the program. Conclusion: The 'Safe Culture, Save Patients' program was a valid program that could be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immedi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rrant further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is patient safety culture promotion program.

VR 기반 산업안전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VR-based Industrial Safety Education)

  • 정종원;정기효;정재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3-3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VR-based industrial safety educa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For the study, three types of safety learning contents(VR-based learning, rule-based learning, and case-based learning)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with three college students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VR-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sustaining learning outcomes compared to other two conventional contents groups. In addition, participants perceived VR-based safety learning is attractive that facilitates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usefulness.

국내 재난안전교육 컨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ontents of Domestic Disaster & Safety Education)

  • 정희수;송창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76-82
    • /
    • 2022
  • 최근 국내 자연 및 사회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싱크홀 등 새로운 재난과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이 결합된 대규모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고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난상황에 대한 인식과 기능적 대처과정을 숙지해야 하므로 재난안전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54개 전문 재난안전교육기관을 통해 재난안전 종사자를 대상의 재난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표준재난안전교육과정의 부재로 기관별로 다른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관별 교육내용이 중복되고, 재난안전체험시설도 부족하다. 이는 재난안전요원이 실제 재난현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교육 분야와 달리 재난안전교육 콘텐츠 분야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간의 연계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난을 중심으로 국내 재난안전교육기관 및 내용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된 재난안전 표준 교육과정 수립, 가상현실 기술 및 인포테인먼드 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교육 체험 콘텐츠 제작 및 보급, 모바일 AI 튜터링 서비스 개발 등의 국내 재난안전교육 콘텐츠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의 안전교육 현황 및 대학생의 안전사고 대처방법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tuations of Safety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Coping Methods for Safety Accidents)

  • 정성일;오재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18-529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사회인을 배출하는 대학의 안전교육 현황과 대학생들의 안전사고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광주와 대전 지역의 대학생 4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안전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대학생의 계열별 비중이 기타(공학, 예체능), 교육계열, 인문계열, 사회 자연계열, 의학계열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전교육의 내용으로서는 "응급처치 교육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사고 대처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모든 계열의 대학생들이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은 있으나, 실제 안전사고가 일어난다면 당황할 것 같다"고 응답하였으며, 대학생들이 주변에서 이미 경험한 적이 있는 안전사고 유형 중에서는 "피부에 상처가 나는 안전사고를 많이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 스스로가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는 안전교육을 대학의 교육과정 안에서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영유아 안전 관련 학술연구의 동향 및 내용 분석: 2010년~2017년 (Analysis on Trends and Contents of Research Related to Young Children's Safety)

  • 성미영;정현심;이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04-5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영유아 안전 관련 학술연구의 동향 및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영유아 안전 관련 연구 총 75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논문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검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영유아 안전관련 논문은 2016년과 2017년 가장 많이 게재되었고, 영아 안전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적었다. 다음으로 연구유형은 41편의 논문이 실천연구로 나타났고, 기초연구, 기타 순이었다. 연구방법의 경우에는 절반 이상의 논문이 양적연구방법에 의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안전교육, 안전지식, 안전사고 등의 주제어가 중요한 주제어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대상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영유아 안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상황에서 영유아 안전 관련 연구 동향과 내용을 분석하여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안전 관련 후속연구에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재난안전과 같은 연구주제 탐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고령화사회대비 노인안전사고 예방방안 (Prevention for the elderly safety issues to prepare for an aged society)

  • 문기식;최정권;박희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1-84
    • /
    • 2008
  • The usual reasons for elderly safety accidents include lack of care for disaster, physical disability, and an error of judgment and so on. But it is true that accidents will occur continuously with the afore-mentioned causes. Against the elderly safety accidents, safety is the main prerequisite for leading the successful and easy life in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is purposed to provide the way of thinking about elderly safety issues by suggesting the methods and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specifically focused on developing audio-visual materials involved in all the safety accidents and researching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ability through materials with a view to identify the substantial problems. Education program should make a continuous and long term study so that the curricula of the safety accidents prevention education can be done systematically.

  • PDF

$TiO_2$ 함량에 따른 $P_2O_5-ZnO$계와 $SiO_2-ZnO-B_2O_3$계 유전체의 반사 및 유전특성 (Reflecting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P_2O_5-ZnO\;and\;SiO_2-ZnO-B_2O_3$ Dielectric Systems due to the Contents of $TiO_2$)

  • 류부형;권순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9-33
    • /
    • 2005
  • In this paper, reflectance and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for $P_2O_5-ZnO-BaO$ system and $SiO_2-ZnO-B_2O_3$ system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contents of $TiO_2$. The reflectanc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s of $TiO_2$ and the reflectance of $P_2O_5-ZnO-BaO$ system was lowered than that of $SiO_2-ZnO-B_2O_3$ system. The dielectric constant of $P_2O_5-ZnO-BaO$ system was higher than $SiO_2-ZnO-B_2O_3$ system, and the dielectric constant in the both system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iO_2$ contents.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space charge effects. These results are could be applied to the under plate dielectrics of PDP required high reflective ratio and breakdown strength.

농업인 건강안전정보센터의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 of Korea Information Center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KICASH))

  • 이경숙;김효철;채혜선;조용호;민경두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1-446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Korean Information Center of Agricultura Safety and Health (KICASH) with 80 subjects(male: 60, female: 20) from different provinces nationwide in 2011.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ex and familiarity of computer and then categorized into 3 groups with poor, medium and good by self-evaluation. The test for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bout KICASH was conducted with likert scale from very bad (1point) to very good (5point). Subjects generally tended to give 4 points to contents. And they gave support to KICASH in that they showed about 4 point with intention of application of KICASH for safety and health irrespective of familiarity of computer. However, as they received the information passively, it will be needed to develop more interesting and various contents which they could get more helpful information for their health and safety actively using two-wa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 future. Therefore the study can helps improve farmer's health and safety through developing advanced health and safety information system.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품안전사용정보방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컨텐츠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for KFDA Drug Safety Information Website)

  • 지은희;박효영;노혜진;이동은;한나영;정소현;김인화;신완균;오정미
    • 약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04-20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database for a drug safety information website to serve as an access point of up-to-date resources for a wide variety of drug-safety information helping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make well-informed decisions about medication use. All the contents developed were confirmed by the council of advisors who were the experts in drug safety. The detailed contents of database on frequently prescribed drug including 9 NSAIDs, 19 antibiotics, 24 cardiovascular, 21 metabolic, 14 respiratory, 20 digestive, 22 hormonal, 10 genitourinary, 10 anti-allergic, 27 antifungal/antiviral, and 71 neuropsychiatric ag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pproved drug labeling of the Korean FDA. A separately searchable database of drug-specific safety information for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was constructed for users in need of different depth of knowledge on using medications safely. The safety information on highly prevalent chronic diseases and drug classes was also developed. Finally the most recent global drug safety news was provided. The consumer directed information was developed in layman's terms as means of proving user-friendly information. The creation of this type of website is part of the Korean FDA's ongoing initiative to address and promote the safe use of medications for the public.

VR기반 안전 교육콘텐츠 현황과 전망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VR)

  • 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294-1299
    • /
    • 2020
  • 최근, VR기반 안전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그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VR을 활용한 안전교육콘텐츠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언 및 VR안전교육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VR기반 안전 교육콘텐츠 개발사례를 살펴본 결과, VR 환경에서 캐릭터의 움직임이나 상태는 매우 부자연스러웠다. 특히 VR기기의 콘트롤러는 운전을 하는 등의 시뮬레이션에서는 운전조작이 실제와 다르기 때문에 효율성에 대한 회의감이 들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 및 전망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제와 VR의 트원 환경 제작이 실현되어야 한다. 둘째, 캐릭터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실현되어야 한다. 셋째, VR기기에서 다양한 콘트롤러가 출시되어야 한다. 넷째, 현실에 적합한 시나리오 설계를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