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GA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복합당질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Lectin Histochemistry of the Glycoconjugates in the Esophageal Mucous Cells of Sebastes schlegeli, Halichoeres poecilopterus, Bryzoichthys lysimus and Takifugu pardalis)

  • 정길남;이응희;조기진;정권순;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17-424
    • /
    • 2004
  • 경골어류인 조피볼락, 용치놀래기, 송곳니베도라치 및 졸복 식도 점액세포의 복합당질 성상을 biotinylated lectin인 DBA, SBA, PNA, BSL-1, RCA-1, sWGA, UEA-1, LCA 및 Con A로 연구하였다. 조피볼락과 용치놀래기는 큰ㆍ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가 섞여 있었고, 송곳니베도라치와 졸복은 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들이 섞여 있었다. 식도 점액세포들의 lectin 결합양상도 어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조피볼락은 DBA, SBA, BSL-1, RCA-1 및 sWGA에, 용치 놀래기는 DBA, SBA, PNA 및 sWGA에, 송곳니베도라치는 SBA 및 sWGA에 각각 반응을 하였으며 졸복은 DBA, LCA 및 Con A를 제외한 모든 lectin에 반응하였다. 조피볼락의 모든 점액세포에는 DBA, SBA 및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이 외에 BSL-1이 반응하였다. 용치놀래기의 큰 점액세포에서는 PNA가, 중간 점액세포에는 DBA, SBA 및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DBA와 SBA가 반응하였다. 송곳니베도라치의 중간 점액세포에는 sWGA가, 작은 점액세포에는 SBA와 sWGA가 반응하였으며 졸복은 모든 점액세포에 SBA, PNA 및 RCA-1가, 중간 점액세포에는 이 외에 sWGA와 UEA-1이 반응하였다. 특히 조피볼락의 점액세포에서 DBA와 SBA의 양이 많고, 용치놀래기에서는 큰 점액세포에서 PNA 양이, 중간 및 작은 점액세포에서 SBA양이 많았으며, 졸복의 경우 중간 점액세포에서 SBA, PNA, sWGA 및 UEA-1의 양이, 작은 점액세포에서 RCA-1의 양이 많았다.

Whole genome amplification을 이용한 식중독 세균 신속 검출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 Rapid Foodborne-pathogen-detection Method Involving Whole-genome Amplification)

  • 성지영;고영준;명현군;오세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8-132
    • /
    • 2016
  • PEG를 이용하여 WGA 수행 시 DNA 증폭 효율을 높이고 이를 식중독 세균의 DNA 증폭 및 검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등온 증폭 반응인 WGA에 여러 종류의 PEG를 첨가하여 증폭한 결과, 1.5% 농도의 PEG 4,000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증폭 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3종의 식중독 세균 DNA를 이용하여 WGA를 수행하였으며 real-time PCR로 정량분석하였다.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의 경우에 WGA를 하지 않은 DNA에 비하여 각각 7,777.01배, 9,981.22배, 1,239.03배 정도로 DNA의 양이 증폭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EG를 첨가함으로써 18배에서 40배의 핵산 증폭 효과가 더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식품에 미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식중독 세균은 PEG가 첨가된 WGA 반응을 통하여 검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일렌이 흡입된 흰쥐 후각점막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f Rat Olfactory Mucosa following Inhalation of Xylene)

  • 문용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81-1091
    • /
    • 2018
  • 자일렌이 흡입된 흰쥐 후각점막의 구조와 복합당질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300 ppm의 자일렌을 하루에 5시간씩 5일간 흡입시키고 30일까지 회복시켰다. 자일렌 흡입에 대한 후각점막의 형태적 변화를 비교하였고, PSA, UEA I, PHA-L, GSL I B4, GSL I, PNA, ECL, SBA, GSL II 및 sWGA의 10종류 렉틴을 이용한 렉틴조직화학을 실시하여 복합당질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자일렌 흡입 후 20일까지 후각상피는 상피세포의 수와 상피의 높이가 감소되는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대조군에서 후각상피의 후각신경세포는 PSA, UEA I, PNA, SBA 및 sWGA에서, 지지세포는 PSA, PHA-L, GSL I, PNA, ECL, SBA, GSL II 및 sWGA에서, 그리고 후각샘은 10종류의 모든 렉틴에서 양성반응이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 후각신경세포는 PSA, PNA 및 SBA에서 반응성이 감소하였고, 지지세포는 PSA, PNA, SBA 및 GSL II에서 반응성이 감소하였으며, 후각샘은 PSA, UEA I, GSL I 및 sWGA에서 그 반응성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일렌에 노출된 후각점막은 구조와 복합당질양상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후각점막의 복합당질 당잔기가 자일렌 흡입 후에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생쥐 부정소 부위별 당쇄 분포의 차이 (Region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Mouse Epididymis)

  • 계명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67-173
    • /
    • 2001
  • Ulex europaeus agglutinin I(UEA I), succinylated wheat germ agglutinin(sWGA), Griffonia simplicifolia lectin-I(GSL-I)을 이용하여 생쥐 부정소 조직내 당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당쇄의 측쇄 말단의 $\alpha$-L-fuc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UEA I은 체부 및 미부 부정소를 제외한 두부 부정소 선단의 세정관 상피를 강하게 표지하였으나 관강은 중간 정도의 강도로 모두 표지되어 $\alpha$-L-fucose 잔기를 갖는 부정소 항원들은 부정소 선단부에서 주로 합성된 후 분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반대로 당쇄 말단의 $\alpha$-D-galact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GSL-I은 두부 부정소를 제외한 체부와 미부 부정소 상피의 투명세포의 세포질과 섬모 및 기저세포를 표지하였다. 다당 사슬 및 복잡한 구조를 갖는 glycan의 당쇄의 N-acetyl-giucosamin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sWCA는 부정소 부위별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부와 미부 부정소의 투명세포는 주세포에 비해 더 강하게 표지되어 sWGA 표지는 투명세포 기능분화의 표식자로 추측된다. UEA I 및 sWGA에 의한 관강의 표지 강도는 체부보다는 미부에서 약하게 관찰되어 미부 부정소 관강내에 $\alpha$-L-fucose 및 N-acetyl-glucosamine 잔기의 절단과 관련된 효소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요약하면 $\alpha$-L-fucose, $\alpha$-D-galactose, N-acetyl-glucosamine 잔기를 갖는 당쇄의 분포가 상피세포의 종류 및 부정소의 길이를 따라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자의 성숙을 조절하는 부정소 각 절편 및 특정 절편 내 소관상피 세포의 기능적 분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흡연이 흰쥐 복부 피지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Lectin Histochemistry on the Effects of Smoking on Glycoconjugates of Rat Sebaceous Glands)

  • 조운복;정길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43-1550
    • /
    • 2008
  • 실내 환경 오염원으로 각종 암 발병과 관련이 있는 흡연이 피부 피지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lectin 조직화학으로 연구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에 1일 1회 10분간 1일군, 2일군, 3일군 및 5일군으로 나누어 직?간접 흡연 방법으로 폭로시켜 피지샘 형태는 PAS 염색, 피지샘의 glycoconjugates 양상을 9종의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1, WGA, RCA-1, UEA-1, Con A 및 LCA)으로 연구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흡연군에서는 피지샘꽈리의 크기 감소, 피지샘꽈리 상부의 파괴, 중앙부 피지세포의 공포화 및 미성숙 피지샘꽈리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에서 피지샘 glycoconjugates에는 염색성에 차이가 있으나 기저세포는 BSL-1, PNA 및 WGA에만 반응하고 BSL-1의 반응이 더 강하며, 피지세포는 PNA, WGA, Con A, BSL-1 및 SBA에만 반응하고 PNA 및 Con A의 반응이 더 강했다. 흡연군의 렉틴 반응에서 특이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흡연군의 피지샘 기저세포의 PNA 반응은 증가되었고, BSL-1는 감소되었다가 회복되었으며, WGA는 소실되었다. 피지세포의 Con A는 증가하였으나 PNA, BSL-1, WGA 및 SBA는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대조군에 관찰되지 않던 흡연군의 미성숙 샘꽈리 PNA, on A 및 BSL-1이 반응하였으며 PNA 및 Con A의 반응이 더 현저하였다. 결론적으로 흡연은 피지샘의 형태 및 glycoconjugates 대사에 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WGA-HRP법을 이용한 두피와 안면부의 신경지배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Innervation of Scalp and Face with WGA-HRP Method)

  • 강준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238-241
    • /
    • 1994
  •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projection area of the first cervical spinal nerve. Subcutaneous injection of wheat germ agglutinin-horseradish peroxidase(WGA-HRP) was done at five points of young dogs scalp and face. After two days of survival time, animals were sacrificed by perfusion through the left ventricle of the heart. Trigeminal ganglion, first and second cervical dorsal root ganglion, superior cervical ganglion, middle cervical ganglion and stellate ganglion were removed. Projection area of wheat germ agglutinin-horseradish peroxidase in vestigated into above ganglions. Projection into the first cervical dorsal root ganglion and stellate ganglion was not found. This experiment is deemed valuable for the study of neuronal connection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PDF

발생기 흰쥐 대뇌 피질의 복합당질에 미치는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의 영향 (The Effects of EGEE on Lectins Binding Pattern of Rat Cerebral Cortex in Developmental Phase)

  • 이응희;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14-1028
    • /
    • 2006
  • 발생기 흰쥐 대뇌피질 발생에 따른 복합당질의 발현 양상 및 이에 미치는 EGEE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태생 14일, 태생 18일, 생후 수유기 및 이유기와 성제 대뇌를 각 부위로 나누어 복합당질의 당잔기 변화 양상을 9종의 biotinylated lectin(DBA, SBA, PNA, BSL-1, sWGA, RCA-1, UEA-1 Con A 및 LCA)으로 관찰하였다. EGEE 투여시 발생기에 따라 대뇌피질층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렉틴은 Con A 와 LCA 이었고, PNA와 RCA-1은 피질 부위에 따라 부분적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결합반응을 보인 렉틴의 수가 감소하였고 DBA, SBA, BSL-1, RCA-1 및 UEA-1은 나타나지 않았다. EGEE 투여시 전 시기에 걸쳐 Con A는 대조군과 유사한 반응을, LCA는 대조군에 비해 태생기, 수유기 및 이유기 때에 반응성이 증가되어 나타났다. 태생기 때 SBA와 sWGA에는 반응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PNA는 전두엽피질과 후두엽피질에서 감소하였으며, 두정엽피질과 측두엽피질에서는 반응이 없었다. 수유기 때 PNA는 대조군에 비해 반응이 감소되었고, sWGA에는 반응이 없었으며, 이유기 때에는 sWGA와 PNA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성체기 때에는 PNA와 sWGA에 반응이 없었고, Con A에 대해 반응이 감소되었으며, LCA는 전두엽피질와 후두엽피질에서 반응이 감소되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환경 호르몬인 EGEE가 대뇌피질의 각 부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있지만, 대뇌피질 분화와 성장에 조직병리학적으로 심한 영향을 마치고, 특히 수유기에서 제일 심하였고, 대뇌피질의 $galactosyl-({\beta}-1,3)-N-acetyl-D-galactosamine$, ${\beta}-N-acetyl-D-galactosamine$, ${\beta}-N-acetyl-D-glucosamine$은 감소하고, ${\alpha}-D-mannose$${\alpha}-D-glucose$가 증가하여 이들 당대사에 심한 영향을 미치며, 태생기, 수유기에서 제일 심한 영향을 미쳤다.

Histochemical study of lectin-binding patterns in the rat vomeronasal organ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Lee, Wonho;Ahn, Meejung;Park, Changnam;Taniguchi, Kazumi;Moon, Changjong;Shin, Taekyu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8
    • /
    • 2012
  • Histochemical patterns of lectin binding during development of the rat vomeronasal organ (VNO) were studied to determine whether glycoconjugates are differently expressed after birth. Three types of lectins, Dolichos biflorus agglutinin (DBA), wheat germ agglutinin (WGA), and Ulex europaeus agglutinin I (UEA-I), were studied histochemically in the rat VNO at various stages post-birth: postnatal days 1 and 7, the preweaning period (4 weeks after birth), and at sexual maturity (8 weeks after birth). The free border of the vomeronasal sensory epithelium was positive for both WGA and UEA-I in rats of all ages; whereas, VNO receptor cells and supporting cells were positive only for both WGA and UEA-I from 4 weeks after birth. DBA reactivity was detected in the free border but less so in receptor cells and supporting cells. WGA and UEA-I, but not DBA, showed similar patterns in various ages. In the Jacobson's gland, WGA, UEA-I and DBA were detected in some acini from 4 weeks after birth but not at postnatal days 1 or 7. Collectively, reactivity for three lectins, WGA, UEA-I and DBA, increased in receptor cells and gland acini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possibly contributing to the enhanced chemoreception in rats.

동면 중 한국산 다람쥐 신장의 복합당질 변화 (Glycoconjugates Properties of the Kidney in the Hibernating Chipmunks)

  • 길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39-1243
    • /
    • 2008
  • 한국산 다람쥐를 단계적으로 $6^{\circ}C$ 온도로 낮추어 인위적 동면을 유도하였다. 동면은 3개월부터 유도되었으며 9개월간 사육하였다. 동면중 급격한 생리적 변화에 따른 형태 및 복합당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형태적으로 동면초기 응축된 사구체 구조와 발견되는 것외 동면중에도 유사한 신장 구조를 나타내었다. Lectin조직화학에 대한 반응은 크게 동면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반응군, 동면진행에 따라 증가하는 반응군 및 감소하는 반응군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동면초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반응은 근위곡요세관의 Con A, 원위곡요세관의 PNA, Con A, 집합관의 DBA, sWGA가 현저하였다. 동면이 진행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는 반응은 원위곡요세관의 SBA반응이었으며, 감소하는 반응은 모든 세관의 sWGA반응이었다. 유사한 형태적 구조를 가지나 다양한 lectin반응의 변화는 동면중 나타나는 급격한 신장 생리 변화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유추되며, 이러한 반응성은 동면 중 신장 기능 변화에 대한 마크로 유용할 것이다.

성장과정 중 흰쥐 신장의 복합당질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s of Glycosylation Pattern in Aging Rat Kidneys as Revealed with Lectin Conjugates)

  • 길영기;김근하;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47-1353
    • /
    • 2007
  • 성장과정 중 흰쥐 신장에서 나타나는 복합당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8일 태자부터 성체에 이르는 신장을 형태적 관찰과 더불어 9가지 lectin (SBA, DBA, PNA, BSL-1, RCA-1, sWGA, UEA-1, LCA 및 Con A)으로 검색하였다. 신장 발생단계에서 성숙한 신원구조와 함께 미성숙한 구조물 즉 소포와 요관아 등이 생후 14일에 이르기까지 관찰되었으며 생후 21일에 이르러 성체와 유사한 구조적 특성을 보였다. 복합당질의 변화를 보면 사구체에서 RCA-1, LCA및 Con A에 반응을 나타내며 RCA-1 및 LCA는 태자와 신생쥐에서 일시적으로 증가하다 성체에서 관찰되지 않으나 Con A는 성장과 더불어 증가하였다. 근위곡요세관은 UEA-1을 제외한 모든 lectin에 반응하며 DBA, SBA, PNA, BSL-1, RCA-1 및 Con A반응이 성장과 더불어 증가하며 특히 RCA-1과 BSL-1반응이 현저하였다. 이에 비해 sWGA와 LCA반응은 성장과정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며 성체에 이를수록 감소하였다. 원위곡요세관도 근위곡요세관 유사하게 DBA, SBA, PNA, BSL-1 및 RCA-1반응은 성숙과 함께 증가하나 LCA반응은 성숙과정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며 성체에서 감소하였다. 집합관에서는 DBA, SBA, PNA, sWGA반응이 성숙과 동시에 증가하나 BSL-1, RCA-1, LCA반응은 미성숙관에서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반응으로 보아 신장발생과정에서 형태적 기능적 성숙과 함께 다양한 복합당질의 변화를 보이는데 대체로 성숙에 따라 반응이 증가하는 복합당질군과 미성숙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하며 성체에서 감소하는 복합당질군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출생전후 복합당질의 변화는 신장의 기능적 성숙과정과 연관성을 가지며 발생과정에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는 복합당질은 정상 신장발생에 대한 표지인자로 유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