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tin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재배산 익모초의 품질관리 연구 (Studies on Quality Control of Domestic Leonurus japonicus Houttuyn)

  • 한민우;박재성;곽이성;안희준;서정범;이영종;박채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51-457
    • /
    • 2016
  • Background: Leonurine is a the aerial part of Leonurus japonicus Houttuyn, which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s and is register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Methods and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we performed a heavy metals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measured loss on drying, as well as the contents of total ash, acid-insoluble ash, ethanol soluble compounds, and leonurine, using 15 domestically collected L. japonicus samples. The method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rude drugs test of the general test, processes and apparatus', published by MFDS, Korea (2014). The purity test (heavy metals) indicated that levels of Pb and Hg were 0.35 - 3.64, and 0.001 ppm, respectively, whereas the levels of As and Cd were undetectable, and stachydrine was identifi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R_f$ : 0.15). We found that 5.93 - 10.62% (average: $8.58{\pm}1.8%$) of the sample mass was lost during drying, and the contents of total ash, acid-insoluble ash, ethanol soluble compounds, and leonurine were 7.87 - 10.84% (average: $9.62{\pm}0.82%$), 0.99 - 1.76% (average: $1.38{\pm}0.24%$), 16.70 - 23.11% (average: $19.49{\pm}2.14%$) and 0.04 - 0.17% (average: $0.11{\pm}0.04%$) respectively. In addition, HPLC profiling detected leonurine (5.94 min), rutin (16.43 min) and myricetin (26.78 min). Conclusions: We hope that this the rusult of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andardization and quality control of Korean herbal medicines.

각종 Flavonoids의 라디칼 봉쇄능과 ACE 활성 억제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the Inhibitory Effects on ACE Activity of Several Flavonoids)

  • 강진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18-1322
    • /
    • 2003
  • 천연에서 생산되는 식물성 천연항산화성 물질인 flavonoid의 지질 산화 억제능과 라디칼 봉쇄능 및 금속착체 형성능을 비롯하여 ACE 저해능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즉, flavonoid와 linoleic acid를 반응시킨 결과 linoleic acid의 산화를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화의 초기에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DPPH에 대한 수소 공여능을 조사한 실험에서 공시한 대부분의 flavonoid가 양질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naringin과 kaempferol은 봉쇄능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daidzein과 morin, quercetin 등은 아주 우수한 radical 봉쇄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rutin의 금속 착체 형성능을 조사한 실험에서는 C $u^{2+}$$Mg^{2+}$에 대한 결합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CE 저해능을 조사한 실험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ACE 활성을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isoflavone인 daidzein과 genistein에서 저해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s in Korean Wild Grape (Meoru grape, Vitis coignetiae) and Its Pomace

  • Shim, Kwan-Seob;Kang, Da-Rae;Park, Seong-Bok;Park, Jong Hyuk;Chung, Yi Hyung;Kang, Young-Hee;Shin, Daek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0-659
    • /
    • 2014
  • Large quantities of Korean wild grape (Vitis coignetiae, KWG) pomace, a by-product of grape juice and wine manufacture, are generated annually, and disposal cost of KWG pomace is now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content in whole KWG, KWG skin and KWG pomace and to identify and quantify flavonoids found in whole KWG and KWG pomace using LC/MS/MS. Spectral analysis showed high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in KWG skin extracted with 75% ethanol (p < 0.05). KWG pomace had higher amount of total polyphenol, flavonoid and anthocyanin than whole grape (p < 0.05). Sixteen flavonoids were identified, but only 10 flavonoids were quantifiable from whole KWG and KWG pomace. Both epicatechin and rutin were the major flavonoids, and 521 or 147 ng/g of epicatechin (p < 0.05) and 305 or 110 ng/g of rutin (p > 0.05) were found in whole KWG and KWG pomac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KWG pomace is a very rich source of flavonoids, thus KWG pomace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additive. Plans to include KWG pomace in food production are necessary.

오이풀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Biofunction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Leaves Ethanol Extract)

  • 박성진;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71-17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재배된 70% 오이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페놀릭 화합물과 항산화성(DPPH, ABTS, FRAP, 환원력)에 대해 실험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19.3{\pm}1.54mg$ gallic acid and $59.6{\pm}1.43mg$ rutin를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릭 화합물의 주된 물질은 Catechin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ABTS, FRAP, 환원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오이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성 및 기능성 식품 첨가물로서 좋은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배유성분과 호화성질 (Compositions and Pasting Properties of Fagopyrum esculentum and Fagopyrum tartaricum Endosperm Flour)

  • 김진기;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9-153
    • /
    • 2005
  • 중국산 일반메밀 1종과 쓴메밀 2종의 껍질과 종피을 제거한 배유의 성분과 호화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메밀은 쓴메밀 보다 상당히 크고 삼각형에 가까우나 쓴메밀-1종은 길쭉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쓴메밀-2종은 삼각형에 골이 깊숙이 파져 있는 형태를 보였다. 메밀쌀 가루의 일반성분과 아미노산 함량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고, 루틴 함량은 쓴메밀이 일반메밀보다 22배 이상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질 함량 중 철, 칼슘과 마그네슘함량은 쓴메밀에서 높았고, 아연, 망간과 인 함량은 일반메밀과 쓴메밀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신속점도계에 의한 호화패턴을 살펴보면 쓴메밀-2종이 최고점도, 최저점도와 breakdown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쓴메밀-1종은 breakdown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쓴메밀의 setback은 일반메밀보다 약 2.2배 컸다. 메밀가루의 색도는 일반메밀과 쓴메밀 사이에 또한 쓴메밀 사이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Quantification and comparison of functional phytochemicals in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powders and freeze-dried mulberry leaves

  • Choi, Bo-Hye;Ji, Sang-Deok;Jeong, Ju-Hee;Kim, Kee-Young;Koh, Young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5권2호
    • /
    • pp.89-96
    • /
    • 2017
  • Various health promoting effects of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powder (SMSP) have been reported. However, it is not still clear which substances in SMSP are responsible for those health promoting effects yet. In this study, we examined and compared the quantities of phytochemicals in SMSP and freeze-dried mulberry leave powder (FMLP). To investigate the optimal solvent for extracting phytochemicals from SMSP and FMLP, we used four different solvents. Among them, 80% ethanol extracts from SMSP and FMLP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five flavonoids examined. In addition, FMLP had high contents of flavonoids compared with those of SMSP. The amounts of rutin, isoquercetin, astragalin, quercetin, and kaempferol in FMLP were $5.078{\pm}0.187mg/g$, $5.162{\pm}0.083mg/g$, $2.989{\pm}0.061mg/g$, $3.317{\pm}0.236mg/g$, and $2.243{\pm}0.237mg/g$, respectively, while the amounts of rutin, isoquercetin, astragalin, quercetin, and kaempferol in SMSP were $0.171{\pm}0.024mg/g$, $0.252{\pm}0.032mg/g$, $0.374{\pm}0.031mg/g$, $0.645{\pm}0.063mg/g$, and $0.0512{\pm}0.047mg/g$, respectively. Taken together, SMSP could be a source for providing various and readily absorbable flavonoids.

분쇄방법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Different Pulverizing Methods)

  • 서명철;고지연;송석보;이재생;강종래;곽도연;오병근;윤영남;남민희;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90-797
    • /
    • 2011
  • 대표적인 잡곡인 조, 기장, 수수에 대하여 핀밀을 이용한 분쇄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제분하여 이들에 대한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핀밀로 분쇄한 경우 평균 입자직경은 각각 102.12, 89.52 및 $102.25\;{\mu}m$로 나타났으며, 저온초미분쇄는 각각 9.43, 9.52 및 $10.18\;{\mu}m$로 핀밀에 비해 10배 이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분쇄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지방 함량은 저온초미분쇄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저온초미분쇄보다 핀밀분쇄 시료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gamma}$-oryzanol 함량은 조에서 핀밀 및 저온초미분쇄 시료에서 각각 116.07 및 $145.30\;{\mu}g$/g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수율은 저온초미분쇄 시료가 핀밀 분쇄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은 대체적으로 분쇄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4.58 및 15.03 mg/g ER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henolic compound를 정량 분석한 결과 조는 pyrogallol, gallic acid, (+)-catechin, salicylic acid, ferulic acid, rutin 등이, 기장은 pyrogallol, rutin, gallic acid, kaempfrol, salicylic acid 등이, 수수는 (+)-catechin, salicylic acid, pyrogallol, myricetin, hesperidin, chlorogenic acid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초미분쇄시료 추출물이 각각 178.10 및 251.56 mg TE/g ER로 핀밀분쇄 시료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방법에 따른 시료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검정한 결과 항산화성분은 대체적으로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저온초미분쇄 시료에서 약간 높은 함량으로 보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항산화활성은 수수와 기장에서 저온초미분쇄 시료 추출물이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시금치의 클로로필 색소 성분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mponents of Chlorophyll Pigment in Spinach during Storage)

  • 최은옥;이현규;박관화;이상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73-80
    • /
    • 2001
  • 저장 중 온도$(20,\;60^{\circ}C)$), pH(4.5, 7.0), 기체조성$(N_2,\;0_2)$, 광도(0 lux, 5,000 lux), 항산화제 및 포장조건이 시금치 및 동결 건조 시금치의 클로로필 색소 성분에 주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금치에 함유된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 함량은 각각 710.54(mg/100g dry weight) 및 280.15(mg/100g dry weigllt)이었다. 저장온도를 $20^{\circ}C$에서 $60^{\circ}C$로 올리면 다른 조건에 관계없이 시금치의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함량은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으며, pH를 7.0에서 4.5도 낮추면 시금치의 클로로필 a, b 함량도 모두 유의성(P<0.05) 있게 감소하였다. 시금치의 클로로필 분해는 높은 온도와 낮은 pH에서 잘 일어났다. 질소로 치환된 저장 조건에서 저장된 시금치의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 색소 성분의 분해는 질소 처리를 하지 않은 조건에서 저장된 시금치와 비교해서 유의성(P<0.05) 있게 억제되었으며, 빛(5,000 lux)을 조사한 조건에서 저장한 시금치의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 성분은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저장된 시금치와 비교해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저장 중 시금치의 클로로필 파괴는 산소와 빛이 있는 조건에서 잘 일어난다. 암 저장$(25^{\circ}C,\;15\;min)$ 조건에서 항산화제는 시금치의 자동산화에 의한 지용성 클로로필 a 성분의 분해를 억제하였는데, 억제 효과는 알파-토코페롤>ascorbic acid>${\beta}-carotene$>catechin>quercetin>rutin>kaempherol>caffeic acid>chlorogenic acid>p-coumaric acid>ferulic acid 순이었다. 항산화제는 빛 저장(5,000 lux, 6 min)조건에서도 singlet oxygen oxidation에 의한 클로로필 a의 분해를 억제하였는데, 억제 효과는 ${\beta}-carotene$>알파-토코페롤>ascorbic acid>catechin>quercetin>rutin>kaem-pherol>caffeic acid>chlorogenic acid>p-coumaric acid>ferulic acid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Polyethylene bag으로 포장하지 않은 동결건조 시금치에 잔존하는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 함량은 polyethylene bag으로 포장한 조건에서 동결건조 시금치에 잔존하는 클로로필 a 및 클로로필 bb함량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시금치는 항산화제를 첨가한 다음 polyethylene bag에 포장한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클로로필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수확 후 LED와 UV-B 조사에 의한 아스파라거스 순의 항산화 기능 향상 (Post-harvest LED and UV-B Irradiation Enhance Antioxidant Properties of Asparagus Spears)

  • 유남희;정선균;이정애;최동근;윤성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88-198
    • /
    • 2017
  • 아스파라거스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처리 전 그리고 12시간 암상태로 저장한 아스파라거스를 대조구로 하여 백색(색온도 45,000 k), 청색(peak 450 nm), 적색(peak 660 nm)의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를 이용하여 수확한 아스파라거스 순을 광합성유효광양자속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200{\mu}mol{\cdot}m^{-2}{\cdot}s^{-1}$의 광으로 12시간 처리하고, UV-B(280 nm)를 0.5kJ 또는 1.0kJ로 처리하여 원예적 특성, 비타민C(total ascorbic acid), 루틴(rutin), 총 페놀(total phenolics) 및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s) 함량과 자유기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들 처리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생체중, 길이, 직경 등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며, UV-B0.5kJ에서는 당도와 엽록소 함량이 각각 9%와 41% 증가하였다.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등 항산화 성분 중에서 비타민 C 함량은 대조에 비하여 백색광(114%), 적색광 (137%) 및 UV-0.5 kJ(127%) 처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루틴,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이나 UV-0.5 kJ 처리에서만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또한 DPPH라디컬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백색광, 적색광 및 UV-0.5kJ 처리구에서 각각 43, 41 및 43%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색광 12시간 처리나 UV-B 0.5kJ 처리로 아스파라거스 순의 원예적 특성의 변화가 초래되지 않는 상태에서 비타민 C, 루틴,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등의 함량이 증가되고 자유기 소거능도 향상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확한 아스파라서스의 순에 적색광 12시간 또는 UV-B 0.5kJ을 처리하면 채소 또는 음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아스파라거스 순의 기능성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담액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플라즈마수 처리가 상추의 생육 및 페놀류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sma-activated Water Process on the Growth and Functional Substance Content of Lettuce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 in a Deep Flow Technique System)

  • 노승원;박종석;김성진;김대웅;강우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4-47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수경재배 시스템과 결합하여 재배 기간 동안 처리 시 상추의 생육 및 기능성 물질 함량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3주 동안 육묘하여 균일한 크기의 상추 묘를 semi-DFT에 정식하였으며, 플라즈마 공정 장치를 결합하여 4주 동안 8시간 주기로 1시간씩 수중에서 간헐적으로 작동시켰다. 양액(대조구), 플라즈마 활성수(4.2kV, 5.7kV)를 사용하여 온실에서 재배하였으며 이후 수확하여 생육조사 및 기능성 물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라즈마 활성수 처리 기간 동안 발생되는 활성산소종 중에서 O3로 인하여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근접한 개체일수록갈색 반점 및 괴사현상이 나타났으며, 생육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성 물질 분석 결과 상추 지상부의 rutin과 총 페놀 함량은 플라즈마수보다 높았지만, epicatechin의 경우 플라즈마수 처리에서 함량이 더 많았다. 근권부에서 측정된 이차대사산물인 rutin, epicatechin, quercetin 및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구보다 플라즈마수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플라즈마수 처리 시간동안 수중에 오존과 같은 활성산소종으로 인해 지상부 생육이 잘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근권 영역에서는 이차대사산물이 크게 증가하였다. 향후 간헐적인 플라즈마 활성수 생성에 따른 생리 장해를 극복하고 뿌리채소의 수경재배 시스템에 적용하여 이차대사산물을 증가시키기 위한 본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