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st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23초

제강 슬래그 골재를 이용한 PSMA 혼합물의 녹물 발생 영향 및 흡음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Rust 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Absorption of PSMA Concrete Mixture Using Steel Slag Aggregate)

  • 김혁중;장동복;김한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594-60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철강산업의 부산물인 제강슬래그의 도로포장용 건설재료로 사용 확대를 위한 골재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는 것으로 골재의 녹물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고,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내구성능과 흡음률 평가를 통한 소음 저감 특성을 평가하였다. 골재의 녹물 발생 실험을 수행한 결과, 두 골재에서 녹물이 관찰되지 않아 실제 도로의 수환경에서 녹물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분저항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모든 혼합물에서 85%를 상회하는 인장강도 비를 보였으며 아스팔트 혼합물 기준을 만족하였다. 또한, 제강슬래그를 활용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구조적 안정성이 일반 포장도로 대비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강슬래그 혼합물의 흡음 계수는 일반 골재 혼합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이에, 도로 소음 저감에 제강슬래그 혼합물이 일반 혼합물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철근부식에 의한 철근 콘크리트 단면의 손상 해석 (Analysis for Steel Corrosion-Induced Damage in Cross-Section of Reinforced Concrete)

  • 김정석;안기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79-8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철근 부식에 의한 콘크리트 단면의 구조적 거동을 정량화하기 위해 철근 표면에 형성되는 녹을 모델링했으며, 변수로는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계면 공극, 피복두께, 철근 직경을 취했다. 철근 부식시 구조적 한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계면의 공극크기였으며, 철근 직경, 피복두께 순으로 나타났다. 피복두께 75 mm, 철근직경 20 mm의 콘크리트 단면에서 계면의 공극이 1 ㎛에서 10 ㎛로 증가되면, 균열을 유발시키는 철근 부식량은 16.95 ㎛에서 27.69 ㎛로 크게 증가 되었다. 또한 철근 표면에 형성된 녹이 계면의 공극을 다 채우기 전까지 콘크리트 단면에는 손상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계면공극 범위를 넘어서는 양의 녹이 철근 표면에 형성된 후 콘크리트 단면은 항복, 균열 및 파단 상태에 이르렀다.

몇 가지 식물 추출물의 밀 녹병 방제 특성 (Antifungal activities of Several Plant Extracts against Wheat Leaf Rust)

  • 최경자;김진철;장경수;이선우;김진석;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7-95
    • /
    • 2002
  • 야외에서 채집한 27종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의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토마토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녹병 및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벼 도열병에 대하여는 환삼덩굴, 비비추, 맥문동, 황기 추출물이, 잿빛곰팡이병에 대해서는 닭의장풀 추출물이, 보리 흰가루병에 대하여는 황기 추출물이 그리고 밀 녹병에 대하여는 비비추, 맥문동, 까마중 그리고 황기 추출물이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들 중 밀 녹병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우수한 4종 시료를 선발하여 이들의 방제 특성을 조사하였나. 맥문동과 까마중 추출물은 밀 녹병에 대한 예방효과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치료효과는 황기 추출물은 우수하였으나 까마중 추출물은 다소 미약한 치료활성이 있었다. 식물 추출물의 침투이행성은 엽육이행과 엽간이행으로 실험하였는데, 4종 추출물 모두 엽간이행은 거의 없었으나, 엽육이행은 우수하였다. 식물추출물의 약효지속성은 대부분 좋았으며 특히 비비추와 까마중 추출물은 약제처리 7일 후에도 95% 이상의 방제가를 보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4종 식물 추출물 특히 까마중 추출물은 포장에서 밀 녹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이리라 생각된다.

Effect of Prochloraz on Electrolytic Leakage and Spore Germination of Puccinia recondita Causing Wheat Leaf Rust

  • Kim, Heung-Tae;Jang, Kyung-Soo;Park, Gyung-Ja;Lee, Sun-Woo;Cho, Kwang-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189-194
    • /
    • 2003
  • The effects of prochloraz on membrane permeability and germination of uredospores of Puccinia recondita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its potential mode of action on wheat leaf rust control activity. Disease control activity of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EBIs) and their activities on uredospore membrane permeability and germination were examined with wheat leaf rust pathogen, both in vitro and in vivo. While wheat leaf rust was not controlled by prochloraz, electrolytic leakage and spore germination of P. recondita uredospore was the highest with the use of prochloraz among the eight fungicides tested. Prochloraz stimulated uredospore of P. recondita to germinate at a higher ratio. Although certain EBIs, such as hexaconazole, showed excellent control activity, their effects on uredospore membrane permeability and germination was much inferior to prochloraz. Therefor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ects of EBIs on membrane permeability and germination of uredospore are not always correlated with their disease control activity.

펄스파워를 이용한 전압 및 주파수 가변에 의한 고효율 RUST (녹) 제거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igh-efficiency rust removal by adjusting variable frequency and voltage charging using the Pulsed Power system)

  • 송우정;김수원;전진안;정종한;김휘영;김희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합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0-183
    • /
    • 2002
  • The pulsed power system was widely making use good of many industrial and environments. The pulse generator generally required for short pulse duration and high peak value was forced to consider its volume and economy. In this paper, this system is designed and fabricated which has a compact size of pulse generator with switched MOSFET. We have studied the removal of rust material using Arc discharging. It have tested their characteristics by adjusting variable voltage charging and pulse repetition rate. As a result, We can eliminate rust materials with this device.

  • PDF

Insights into Tan Spot and Stem Rust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by Studying the Pre-Green Revolution Global Collection of Wheat

  • Abdullah, Sidrat;Sehgal, Sunish Kumar;Jin, Yue;Turnipseed, Brent;Ali, Shaukat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125-132
    • /
    • 2017
  • Tan spot (TS), caused by the fungus Pyrenophora tritici-repentis (Died) Drechs, is an important foliar disease of wheat and has become a threat to world wheat production since the 1970s. In this study a globally diverse pre-1940s collection of 247 wheat genotypes was evaluated against Ptr ToxA, P. tritici-repentis race 1, and stem rust to determine if; (i) acquisition of Ptr ToxA by the P. tritici-repentis from Stagonospora nodorum led to increased pathogen virulence or (ii) incorporation of TS susceptibility during development stem rust resistant cultivars led to an increase in TS epidemics globally. Most genotypes were susceptible to stem rust; however, a range of reactions to TS and Ptr ToxA were observed. Four combinations of diseasetoxin reactions were observed among the genotypes; TS susceptible-Ptr ToxA sensitive, TS susceptible-Ptr ToxA insensitive, TS resistant-Ptr ToxA insensitive, and TS resistant-Ptr ToxA toxin sensitive. A weak correlation (r = 0.14 for bread wheat and -0.082 for durum) was observed between stem rust susceptibility and TS resistance. Even though there were no reported epidemics in the pre-1940s, TS sensitive genotypes were widely grown in that period, suggesting that Ptr ToxA may not be an important factor responsible for enhanced prevalence of TS.

석회유황합제를 이용한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친환경 방제 (Environment-Friendly Control of Pear Scab and Rust Using Lime Sulfur)

  • 차주훈;김경희;최으뜸;송장훈;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52-58
    • /
    • 2018
  • 배를 유기재배하는 과원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프로그램을 도출하기 위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에 따른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관행재배와 비교 검정하였다. 석회유황합제와 석회보르도액을 10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는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잎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에 대해 4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석회유황합제만을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강우 전후에 8회 살포한 친환경방제구에서도 관행재배과원에 비해서 과실에 발생하는 검은별무늬병에 대해 30% 이상의 방제효과를 증대시켰다. 배 유기재배시 기상조건을 고려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 살포시기를 조절하는 친환경방제로 주요 병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리라 전망된다.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적성병)에 관한 연구 II. 중간기주조사 및 약제방제 (Studies on the Disease of Pear Rust Caused by Gymnosporangium haraeanum SYDOW II. Survey of Juniper Host and Chemical Control of Pear rust)

  • 김승철;김충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7-210
    • /
    • 1982
  • 본 연구는 배나무붉은별무늬병의 중간기생 조사 및 향나무${\cdot}$배나무에 대한 효과적 약제방제방법을 마련코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배나무붉별무늬병균의 동포자퇴 형성은 피라밋드향나무에서 가장 많았으며 참향나무, 향나무, 연필 향나무가 중간, 노간주자무, 둥근향나무는 적었다. 2. 향나무에 대한 살포약제는 Actidione 1000배액의 4월초순${\cdot}$중순의 2회 살포가 가장 좋았으며 약해도 없었다. 3. 배나무에 대한 Bayleton 800배액의 4월순$\~$5월초순의 $2\~3$회 살포는 병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4. 배나무에 대한 약제살포는 강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강우후 살포시기가 지연될수록 효과는 감소하였다.

  • PDF

Inhibitory Activity of Oak Pyroligneous Liquor against Coleosporium Plectranthi, an Obligate Parasite Responsible for the Rust Disease on Perilla Leaf

  • Kumar, Varun;Chauhan, Anil Kumar;Baek, Kwang-Hyun;Kang, Sun-Chul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53-458
    • /
    • 2011
  • BACKGROUND: Coleosporium plectranthi, an obligate parasite,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rust disease of Perilla frutescens, a plant in Korea, commonly known as Perilla. All rusts are obligate parasites, meaning that they require a living host to complete their life cycle. They generally do not kill the host plant but can severely reduce growth and yield. Food and feed spoilage fungi cause great economic losses worldwide. It is estimated that between 5 and 10% of the world food production is wasted due to fungal deterioration. Rust disease of Perilla is highly frequent and is widely spread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novel media for the urediniospore germination in vitro and anti-rust activity as well as GC-MS analysis of oak pyroligneous liquor. METHOD AND RESULTS: Urediniospores were collected from the infected leaf of Perilla. Spore suspension was made and the suspension was inoculated in the 2% water agar media with proper humidity, then they were incubated at $26^{\circ}C$ for 56 hrs. The GC-MS analysis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was also done to check the chemical composition. GC-MS analysis of the wood vinegar was found 15 compounds, among them o-mthoxyphenol (25.93%), 2,6-dimethoxyphenol (16.06%), 4-methylenecyclohexanone (10.69%), 2,3-dihydroxytoluene (7.84%), levoglucosane (6.14%) and propanoic acid (5.32%) were the major components. Different concentration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was used, and spore inhibition was recorded on the basis of spore counting. The best results were noted at the concentration of 50% solution where 31.8% spores were inhibited.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oak pyroligneous liquor and the activity recorded we can use it as an anti-rust agent.

시설 내 상대습도 및 온도 조건에 따른 국화 '백마'의 생육과 흰녹병 발생 (Occurrence of White Rust and Growth of Chrysanthemum 'Baekma' under Various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Greenhouse)

  • 유용권;노용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03-811
    • /
    • 2014
  • 본 연구는 스탠다드 국화 '백마'의 흰녹병 발생과 생육에 미치는 시설 내의 상대습도(70, 80, 90, 95%)의 영향을 조사한 후, 온도(15, 20, $25^{\circ}C$)와 상대습도(60, 70, 80, 90%)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또한 흰녹병의 발생 초기부터 동포자퇴에서 소생자가 형성될 때까지 병 발생 단계를 관찰하였다. 국화 '백마'를 시설 재배 시 상대습도를 90% 이상 조건에서 40일간 처리되었을 때, 흰녹병 발생률이 97%, 주당 발병엽수가 10개, 발병엽당 병징수가 55개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습도를 70% 이하로 유지하면 흰녹병 발생률을 30% 낮출 수 있고, 한 주당 1-2개의 감염된 잎에 2개의 병징만 나타나 병해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생체중과 엽수와 같은 절화의 품질은 다른 처리보다 상대습도 70%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상대습도 90% 처리구에서 흰녹병에 감염된 국화를 정식한 후 6일 후에 첫 병징인 흰색 반점이 나타났고 (1단계), 1일 경과 후에 동포자가 잎의 표피 조직을 뚫고 나왔으며(2단계), 1-2일 후에 동포자의 수가 증가하면서 동포자퇴가 크게 형성되었다(3단계). 동포자에서 1-2일 후에 전균사체가 발달하였고(4단계), 4-5일 경과된 후 전균사체에서 소생자가 형성되었다(5단계). 시설 내 온도를 $25^{\circ}C$로 처리했을 때, 상대습도에 관계없이 흰녹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시설 내 온도가 $20^{\circ}C$에서는 상대습도에 관계없이 소생자수가 많았으나, 60%와 70%에서는 흰녹병이 발생하지 않았다. 시설 내 온도가 $15^{\circ}C$에서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소생자수가 많았고, 흰녹병 발생률도 높아졌으나, 상대습도가 낮은 60-70% 처리에서는 흰녹병 발생률이 14% 이하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