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naway tes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미술 활동이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Art Program Effect on Self-esteem, Depression of Runaway Youths)

  • 변상해;정의정;오수생;신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17-227
    • /
    • 2009
  • 본 연구는 미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지역에 위치한 청소년 쉼터에서 보호중인 가출청소년 6명은 실험집단으로 5명은 통제집단으로 구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oopersmith가 개발한 도구와, 우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Beck이 제작한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t-Test등의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고, 실험집단의 가출청소년들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후를 비교했을 때, 실시 후에 우울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자아존중 감의 점수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가출여중생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가족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Family Art Therapy to Improve a Runaway Middle School Girl's Self Esteem, Child-Parent Communication, and Family Relationship)

  • 김효숙;최외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53-116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and how much a family art therapy can influence a runaway middle school girl's self esteem,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family relations. Study subjects are a middle school girl (called S) and her parents, receiving a total of 13 sessions of art therapy from January 3 to March 28 of 2007, held at P-kindergarten located in Kyungbuk province, with each session of 90-120 minutes. Research instruments adopted for the study are a comparis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garding S's self-esteem and a measure of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 and her parents determined by KFD (Kinetic Family Drawing) in pre- and post-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art therapy shows its effect on the runaway middle school girls' self-esteem. Second, family art therapy proves to be effective on child-parent communication. Third, family art therapy displays positive influence on family relations.

초기 청소년의 가출 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Run Away Impulse in Early Adolescents)

  • 류승희;박경숙;서민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a preliminary analysis of available literature and used the ecological approach to define a research hypothesis with focus on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related to early adolescents' urge to run away.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ach of these variables in order to build a forecast model showing which variables have more influential on early adolescents' urge to run away. Methods: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433 male and female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at two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WIN 18.0. Frequency analysis, ${\chi}^2$-tes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sonal factors related to runaway impulse are gender and previous runaway attempts, family-related factor family functionality, and school-related factor the area of stress from study.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as abov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정신병리에 대한 평가와 분류 (THE CLASSIFICATION OF ADOLESCENTS IN RUNAWAY SHELTERS BY THE EVALUATION OF THEIR PSYCHOPATHOLOGY)

  • 이종성;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2호
    • /
    • pp.192-217
    • /
    • 2001
  • 연구목적:기존 가출청소년 보호시설에 거주하거나 입소하는 청소년에 대한 자아능력과 가출원인에 내재하는 정신병리 조사를 통하여 가출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해냄으로써, 청소년 가출에 대한 예방 대책 수립은 물론, 궁극적으로 가출청소년을 개개인의 다양한 문제에 따라 적합한 보호시설로 의뢰할 수 있도록 보호시설을 다양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의 확보를 목적으로 한다. 방 법:본 연구는 청소년 보호시설에 수용 중인 만 12세에서 21세까지의 남녀 청소년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호시설 전문 상담원의 상담 기록 및 대상자 자신의 기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기초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행동증상목록표(CBCL), 미네소타 다면적인성검사(MMPI), 벤더-게슈탈트 검사(BGT), 한국웩슬러지능검사(K-WAIS),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등을 실시하여 가출청소년들의 자아능력 평가와 함께 가출의 원인에 기여하는 내재된 정신병리를 조사하였다. 결 과:본 연구대상인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임상소견은 다음과 같다. 대상 청소년의 나이는 15세가 가장 많았고, 중기 청소년기에 있는 청소년들이었으며 학교는 중학교 때 중단하고 가정생활은 중간 정도이며, 부모 학력은 고졸인 청소년이 가장 많았다. 가출과 관련된 특징은 첫 가출이 중학교 때 가장 많았고, 가출횟수는 10회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재가출자였다. 약물을 한 경우는 10%정도였고 술을 한 경우는 80%정도였다. 37%에서 법을 어긴 경험이 있고 돈을 받고 성행위를 한 경우가 약 10%에서 있었다. K-YSR 결과 95명(83%), SCL-90-R 결과 42명(36%), MMPI 결과 70명(69.3%)에서 임상수준을 보였다. 지능검사 결과 22명(22%)에서 정신지체 수준을 보였다. BGT에서 35명(39.4%)이 뇌기능장애 소견을 보였다. 결 론:시설의 가출청소년들은 가출이라는 행동 밑에 다양하고도 심각한 정신건강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그 문제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가 있었다. 주의력결핍장애를 포함한 행동장애군, 불안/우울 등의 정서장애군,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신체화장애군, 심한 정신병리의 가능성이 있는 정신병위험군 등이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에 대한 정신의학적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른 특성화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

  • PDF

인청동 스위칭 모듈을 이용한 전력계통 및 전자기기 내부회로의 MOV 열폭주 방지와 안전성 개선 (Thermal Runaway Prevention of MOV and Safety Improvement of Power Line System and Internal Electronic Device Circuit Using a Phosphorous Switching Module)

  • 김주철;최경래;이상중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75-79
    • /
    • 2011
  • The MOV(Metal Oxide Varistor), a voltage limiting element, has been installed in the SPD(Surge Protective Device) or inside the internal circuit of an electronic appliance for protection of the electric power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against electrical surge. Such an MOV is exposed, however, to the risk of the thermal runaway resulting from excessive voltage and deterioration. In this paper, a reciprocal action has been tested and analyzed using a phosphorus bronze switching module and the low-temperature solder. And a short current break characteristic test linked with the circuit breaker has been performed to limit the inrush current when the MOV breaks down. It has been proven that the phosphorus bronze switching module installed inside the internal circuit can improve the safety of the power line system and the electronic device.

주택용 분전반에 설치되는 서지보호기의 열적 안전성 시험 및 분석 (A thermal stability testing and analysis for a surge protector installed in residential distribution board)

  • 김주철;박장범;기채옥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9-341
    • /
    • 2009
  • 개별세대 내 정보통신기기 및 홈네트워크 장비증가로 인하여 서지보호장치(SPD : Surge Protective Device)가 설치되고 있고 산업규격개정 및 등전위 접지시스템 강화에 따라 서지보호기 사용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주택용 분전반에 설치되는 서지보호기의 부품은 전압제한형 소자인 $Z_nO$배리스터가 사용되고 있으나 일시적 과전압특성 (Temporary Overvoltage Characteristic) 위험에 노출되어있다. 본 논문은 일반주택에 사용되는 서지보호기의 열적 안전성 (Thermal Stability) 특성시험을 통하여 제품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누설전류를 차단하기위한 가스 방전관(GDT) 사용 및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가 2종 이상 필요하였다.

  • PDF

청소년쉼터에서의 클라이언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on Client's Violence in a Shelter for Teenage Runaway)

  • 윤숙자;김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1
    • /
    • 2013
  • 최근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폭력문제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권리의식 강화와 더불어 사회복지사들이 대상자들이 생활하는 환경에 노출되면서 폭력문제에 쉽게 노출되어 그 심각성이 커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사회복지사들이 클라이언트 폭력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쉼터 종사자들의 개인적 특성과 기관의 특성이 클라이언트 폭력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어떤 요인이 클라이언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출청소년 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과 기관의 특성에 따른 폭력 경험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으로는 연령, 기관의 특성으로는 주당 근무시간과 쉼터유형이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적 특성 중 연령이 신체적 폭력, 현 기관 근무연수가 기타 피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관의 특성 중 주당 근무시간은 신체적, 재산상, 정서적, 기타 피해 등 폭력의 4가지 유형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쉼터유형은 재산상 피해, 정서적 폭력 그리고 기타 피해와 관련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상담시간이 신체적 폭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비에 따른 Zr/BaCrO4 열지의 열적 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Zr/BaCrO4 Heat Paper with Fuel/Oxidizer Compositions)

  • 임채남;이정민;박병준;강승호;정해원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9권10호
    • /
    • pp.652-658
    • /
    • 2016
  • Thermal batteries use inorganic salt as electrolyte, which is inactive at room temperature. As soon as heat pellets are fired by an igniter, all the solid electrolytes are instantly melted into excellent ionic conductors. However, the abnormal heat generation by the igniter flame or heat pellets causes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electrode and the melting of the anode, eventually leading to a thermal runaway, which results in overheating or explosion. The thermal runaway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adoption of $Zr/BaCrO_4$ heat papers. In this study, the heat papers with various ratios of fuel (Zr) and oxidizer ($BaCrO_4$) were prepared by the paper-making process. We have investigated the calorimetric value, burning rate, and ignition sensitivity. The ignition test of heat pellets and the discharge test of thermal batteries were also carried out. At the composition of 40 wt.% of Zr, the heat papers showed the highest specific calorimetric value and burning rate. As a result, $Zr/BaCrO_4$ heat paper made by the paper-making process has shown the applicability for thermal batteries.

안정성 개선을 위해 열폭주 방지 기능을 내장한 배리스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Varistor Prevented from Thermal Runaway to Improve Safety)

  • 정태훈;신희상;조성민;이희태;이준규;김재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69-76
    • /
    • 2010
  • 본 논문은 SPD에 사용되는 배리스터에 대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저압 배전계통에 사용하는 ZnO 배리스터의 소자 표면에 온도감응 소재를 도포한 것을 내장한 SPD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개선하였다. '열폭주 방지 기능을 내장한 배리스터'설계를 통해 SPD내에 장착 시 열 보호기능의 단로기의 기능에 대한 trade-off 관계해석(trade-off:단로기에 단일펄스피크전류(ITM), 다중펄스피크전류(ITSM)에 대한 신뢰성과 배리스터 소자의 열화 및 수명한계에 따른 열폭주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단로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최적의 설계)을 통해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였고 열 보호기능을 배리스터 내부에 적용하여 SPD제작시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도륵 하였다.

청소년의 가출 경험 여부가 성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6-10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of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and Children (2016) were used. A total of 7,11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AS 9.3. Results: About 3.8% of the total students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and 4.1% of the students experienced sexual victimization.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s who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showed a higher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AOR: 1.76, 95% CI: 1.13~2.72). Lower economic status (AOR: 1.42, 95% CI: 1.03~1.97), suicidal ideation (AOR: 1.80, 95% CI: 1.37~2.38), depressive feelings (AOR: 1.36, 95% CI: 1.04~1.78), victims of violence by teachers (AOR: 1.56, 95% CI: 1.20~2.03), victims of off-line school bullying (AOR: 5.00, 95% CI: 3.56~7.01), victims of on-line bullying (AOR: 2.61, 95% CI: 1.79~2.80), and victims of both on- and off-line bullying (AOR: 6.62, 95% CI: 4.76~9.22) showed a highest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rate of experiencing sexual victimization in youth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keep them from running away from home. In addition, if necessar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secondary mental traumas that may arise from the experience of sexual victim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