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ber flow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6초

EPDM고무와 씨트라코닉산의 melt grafting - 반응조건과 개시제에 따른 영향 연구 - (Melt Grafting of Citraconic Acid onto an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and Initiator Type on the Melt Grafting of Citraconic Acid onto EPDM-)

  • 김정수;배종우;이진혁;오상택;김구니;이영희;김한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1호
    • /
    • pp.39-45
    • /
    • 2013
  • Haake Rheocorder로 각종 과산화물 개시제를 사용하여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에 단량체 citraconic acid (CCA)을 용융 그라프트 중합을 하여 그라프트 중합물 CCA-g-EPDM을 얻었으며, 이때 효율적인 그라프트 정도와 우수한 성능을 지닌 그라프트 중합물을 얻기 위해서 최적의 반응조건과 최적의 단량체/개시제 농도를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응조건과 단량체 및 개시제 함량이 CCA-g-EPDM의 그라프트 정도, 그라프트 효율, 가교정도 (겔화도), 용융흐름지수(MI) 및 기계적 물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라프트 정도와 가교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인장강도는 상당히 증가한 반면, 파괴신도 및 MI는 감소하였다. 개시제 중에서 2,5-dimethyl-2,5-di(tert-butyl peroxy)-hexane (T-101)가 가장 우수한 그라프트 정도 (2.31%)를 나타내었으며, CCA와 T-101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라프트 정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그라프트 정도는 반응(혼합)온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역시 증가하다가 어느 온도/시간 이상에서는 안정화 혹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결과로부터 최적의 단량체/개시제 농도는 5/0.05 wt%이었으며, 최적의 반응온도/시간은 $180^{\circ}C$/15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사슬에 Trifluoromethyl 그룹을 갖는 Poly(benzoxazole imide)의 제조 및 난연 특성 (Preparation and Flame Retardancy of Poly(benzoxazole imide) Having Trifluoromethyl Group in the Main Chain)

  • 염진석;최재곤;이창훈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4호
    • /
    • pp.355-363
    • /
    • 2012
  • 2,2-Bis(3-amino-4-hydroxyphenyl)hexafluoropropane 와 방향족 디이미드-디카르복실산을 thionyl chloride, triethyl amine 및 NMP 하에서 직접 중축합하여 trifluoromethyl group을 포함하는 일련의 poly(hydroxyamide)s(PHAs)를 제조 하였다. PHAs은 $35^{\circ}C$ DMAc 용액에서 0.54-0.96 dL/g의 고유점도를 보였다. 모든 PHAs은 여러 종류의 유기용매에 쉽게 용해되었으나, PBOs은 황산에 부분적으로 용해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혀 용해되지 않았다. PHAs은 열적고리화 반응에 의해서 흡열과 함께 PBOs로 전환되었다. PHAs의 최대 중량손실온도는 $559-567^{\circ}C$의 영역을 보였고, poly(benzoxazole imide)s(PBOs)은 47-59%의 비교적 높은 char 수득율을 보였다. PBOs의 Pyrolysis Combustion Flow Calorimeter(PCFC) 결과에서 12-19 W/g의 HRR 과 2.7-3.6 kJ/g의 total HR을 보였다. PBO 1의 HRR은 PBO 3 의 HRR (19 W/g)보다 37 % 낮은 12 W/g의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컴퓨터 해석을 통한 Slot 코팅공정에서 운전방향의 코팅품질 평가 및 다이 설계 (Coater Die Design and Coating Quality Evaluation in the Machine Direction of Slot Coating Through Computer Simulation)

  • 김태훈;이두이;성달제;류민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4호
    • /
    • pp.282-287
    • /
    • 2013
  • 슬롯코팅은 평판 디스플레이의 부품을 위해 유리에 감광제를 코팅방법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갈수록 고화질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됨에 따라 코팅의 고품질도 요구되고 있다. 슬롯코팅에서 코팅의 품질은 노즐방향의 코팅 균일성과 운전방향의 코팅 균일성으로 평가된다. 노즐방향의 코팅 균일성은 코터다이 내부의 설계에 의존되며 운전방향의 코팅 균일성은 코터다이 외부의 모양과 운전조건에 의존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롯코팅에서 운전방향의 코팅 균일성에 대해서 컴퓨터해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해석에서 다이 외부의 형상으로 다이 립 각도와 길이를 변수로 하였고, 운전조건으로는 코팅속도를 변수로 하여 코팅 현상을 분석하고 코팅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코팅속도가 커질수록 코팅두께가 얇아지며 코팅의 균일성이 증대되었으나 maniscus형성이 불안정하여 코팅의 안정성은 감소되었다. Down stream 다이 립 각도가 커질수록 코팅두께의 편차는 작아졌으며, Down stream 다이 립 길이가 길수록 코팅 두께는 얇아졌고 안정적인 코팅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졌다.

낙엽송재 내 수분의 내부이동 및 표면방사 평가 (Evaluation of Surface Emission and Internal Movement of Water in Japanese Larch Lumber)

  • 한연중;엄창득;김세종;강욱;박주생;박문재;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1-8
    • /
    • 2007
  • 목재의 방향별 내부수분이동계수와 표면방사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2.5 (방사방향) ${\times}$ 2.5 (접선방향) ${\times}$ 2.5cm (섬유방향)의 낙엽송 정육면체 시편을 제작하였다. 수분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을 제외한 나머지 4면을 파라핀테이프와 고무테이프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70, 50, $30^{\circ}C$의 3가지 온도조건과 30, 60%의 2가지 상대습도 조건에서 건조시키면서, 목재 내부와 표면에서의 수분이동을 평가하였다. 자유수 유동과 결합수 및 수증기의 확산에 의한 내부수분이동계수는 고온조건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섬유방향이 횡단방향에 비하여 6배, 횡단방향에서는 방사방향이 접선방향에 비하여 1.2배 정도 큰 값을 보였다. 표면방사계수는 온도가 상승하고, 표면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비평형상태에서 낙엽송재 내 함수율 분포변화와 증발수분량을 예측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와 itaconic acid의 melt grafting: 반응조건과 개시제 종류 및 농도의 영향 (Melt Grafting of EPDM and Itaconic Acid: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and Initiator Type/Concentration)

  • 김기재;배종우;김정수;이진혁;김구니;오상택;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3호
    • /
    • pp.181-190
    • /
    • 2014
  • 유기과산화물 개시제를 사용하여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에 단량체 itaconic acid (IA)를 용융 그라프트시켜 그라프트 중합물 EPDM-g-IA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효율적인 그라프트 율과 인장강도 특성이 우수한 그라프트 중합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반응조건과 단량체 및 개시제 농도를 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라프트 온도 및 시간 등의 반응조건, 개시제 종류 및 함량, 모노머 함량이 EPDM-g-IA의 그라프트 율, 그라프트 효율, 용융흐름지수(MI) 및 겔 함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개시제 중에서 2,5-dimethyl-2,5-di(tert-butyl peroxy)-hexane (T-101)가 가장 우수한 그라프트 정도 (1.91 %)를 나타내었으며, IA와 T-101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라프트 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그라프트 율은 반응(혼합)온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역시 증가하다가 특정 온도/시간 이상에서는 안정화 혹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최적의 단량체와 개시제 농도는 5wt%와 0.05 wt%이었으며, 최적의 반응온도와 시간은 $160^{\circ}C$와 15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타콘산 그라프트 EPDM은 미반응 EPDM에 비해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SPT 실란커플링제가 침전 실리카로 보강된 오일씰용 NBR복합소재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SPT Silane Coupling Agen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recipitated Silica Filled NBR Compound for Oil Seal)

  • 이영석;황기섭;이종철;김태근;하기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1호
    • /
    • pp.45-53
    • /
    • 2011
  • 실란커플링제인 bis-(3-triethoxysilpropyl)tetrasulfide (TESPT)가 실리카 충전 오일씰용 NBR 복합소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복합소재의 가교거동과 가교밀도는 ODR (oscillating disk rheometer)과 톨루엔 팽윤비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은 가황물을 공기 내열 노화 및 ASTM No.3 oil에 내유 노화시켜 시험 전 후 값을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과 Shore A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오일씰의 성능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복합소재의 탄성회복은 가황물에 굽힘 변형을 주어 노화시킨 후 시편이 회복되는 길이를 측정하여 회복 각(angle of recovery)을 계산하였으며, 저온에서의 탄성회복거동은 TR (temperature retraction)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Taber식 마모시험기를 사용하여 가황물의 내마모성을 측정하고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마모면의 형상을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실리카가 충전된 복합물에 TESPT가 첨가되면 복합물의 흐름성이 향상되고 실리카와 NBR 간의 상호작용 및 가황물의 가교밀도가 향상되어 가황물의 경도, 100% 모듈러스, 탄성회복성, 내마모성, 내열노화성 및 ASTM No.3 오일에 대한 내유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농도의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폴리스티렌 및 폴리뷰틸메타크릴레이트 복합체 입자의 유동성 (Flow Behavior of Polystyrene and Poly(butyl methacrylate) Composite Particles Fill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Carbon Black)

  • 박문수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3호
    • /
    • pp.336-342
    • /
    • 2009
  • 1.0 wt% 소수성실리카를 안정제로 하는 현탁중합에 의하여 $75^{\circ}C$에서 개시제의 농도를 변화하며 합성한 폴리스티렌 (PS) 및 폴리뷰틸메타크릴레이트 (PBMA) 입자의 점도를 모세관 레오미터 (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이 66,500 g/mol인 PS 입자는 $190^{\circ}C$에서 측정한 경우 낮은 전단속도에서는 뉴톤 (Newtonian) 거동을 나타내었다. PS 입자의 경우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전단속도 전 영역에서 전단 묽어짐 (shear thinning) 거동을 보였다. PBMA 입자는 $170^{\circ}C$에서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56,700 g/mol 인 경우 낮은 전단속도에서만 뉴톤 거동을 나타내었다. 분자량의 증가에 따라 전단 묽어짐 거동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변화의 형태는 PS 입자와 유사하였다. 카본블랙을 충전제로 합성한 고분자 복합체 입자의 전단점도는 PS 및 PBMA 둘 다 $170^{\circ}C$에서 측정하였다. PS 및 PBMA 복합체 입자의 점도변화는 카본블랙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충전제의 증가에 따른 점도의 증가는 분자량의 증가 효과에 비교하여 미약하였다. 내부혼합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PS 복합체의 점도변화는 현탁중합법으로 합성한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PS 복합체 입자의 점도변화에 비하여 작았으며 이는 향상된 분산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실험에서 선택한 분자량 및 카본블랙의 농도에서 yield 거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산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microcrystalline cellulose로부터 추출 된 cellulose nano-whisker의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Nano-Whiskers Extracted from Microcrystalline Cellulose by Acid Hydrolysis)

  • 정해득;윤창록;이종혁;방대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1호
    • /
    • pp.51-5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분자 복합재료의 보강제로 주목 받고 있는 Cellulose nanowhisker (CNW) 를 염산 혹은 황산을 사용한 산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 로 부터 추출하였다. 염산 혹은 황산을 사용하여 추출된 CNW는 직경이 20 에서 30nm 정도였고, 길이가 200 에서 300 nm 로써, 형상학적 측면에서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해질 용액의 전기전도도를 이용한 적정 (conductometric titration) 결과 황산을 이용하여 제조되어진 CNW의 경우, 셀룰로오스 표면의 sulfate group 에 의해 나타나는 표면전하 값이 각각 140, 197.78 mmol/kg으로 나타났으며, 염산을 이용하여 제조되어진 CNW 의 경우 셀룰로오스 표면에 약한 전하 값을 가져 표면전하 값을 구할 수 없었다. 황산을 이용하여 추출된 CNW의 열중량 분석 결과 염산을 이용하여 추출된 CNW와 비교하여 열분해 온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Broido's method를 이용하여 정의 되어진 열분해 거동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 역시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진탕(二陳湯)이 정상 및 위 유문부가 부분폐색된 흰 쥐의 위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Yijin-tang on Gastric Motility between Normal Intact and Partial Pyloric Obstructed Rats)

  • 한숙영;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7-118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Yijin-tang on gastric motility and its mechanism of action in normal intact and partial pyloric obstructed rats. Methods : Gastric emptying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glass beads expelled from the stomach (containing one hundred of glass beads. ${\phi}1mm$) in 1 hour or 2 hours after glass beads and test drugs (normal saline. Yijin-tang 90mg/kg. Yijin-tang 270mg/kg) administration in normal intact and partial pyloric obstructed rats. In another series of experiments to evaluate the mechanism of Yijin-tang 270mg/kg under delayed conditions, normal intact rats were treated with atropine sulfate (1mg/kg,s.c.), cisplatin (10mg/kg,i.p.), quinpirole HCI (0.3mg/kg,i.p.) and NAME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75mg/ kg,s.c.), respectively. Partial pyloric obstructed rats were modified by wrapping the nonabsorbable rubber ring (D :6mm, W:4mm, T: 1mm) around the 1st portion of the duodenum for 8 weeks. The myoelectrical activity of the gastric smooth muscle was recorded by a bipolar electrode placed at the abdominal surface in normal intact and partial pyloric obstructed rats. The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was measured for 30 minutes before and after orogastric administration of each solution (normal saline, Yijin-tang 270mg/kg) and expressed as dominant frequency, percent of normogastria and power ratio. Results : Yijin-tang improved gastric emptying more than normal saline in normal intact(p<0.001) and partial pyloric obstructed rats(p=0.002). Under the delayed gastric emptying induced by atropine sulfate, cisplatin, quinpirole HCI and NAME. Yijin-tang enhanced gastric emptying significantly in the cisplatin treated group(p<0.001). but didn't in other treated groups. Administration of Yijin-tang 270mg/kg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myoelectrical activity of the gastric smooth muscle in both normal intact rats and partial pyloric obstructed rats. Conclusions : Yijin-tang seems to stimulate the gastric motility through suppressing the 5HT3 receptor and promoting the antroduodenal flow. We expect that Yijin-tang would be effective especially in dysmotility-like functional dyspepsia with partial pyloric obstruction or the side effects of cisplatin such as nausea, vomiting, abdominal discomfort, and delay of gastric emptying.

  • PDF

폴리아마이드 66/폴리프로필렌 블렌드의 상업화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of Polyamide 66/Polypropylene Blend)

  • 김석준;남병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3호
    • /
    • pp.262-272
    • /
    • 2003
  • 말레인산 무수물을 그라프트시킨 폴리프로필렌(PP-g-MA)을 폴리아마이드 66(PA 66)/PP-g-MA 이원 블렌드 및 PA 66/polypropylene(PP)/PP-g-MA 삼원블렌드에 한 성분 및 상용화제로 각각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이원 및 삼원블렌드 사이의 여러가지 물성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평가된 물성으로는 인장강도,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 충격강도, 용융흐름지수 그리고 전단속도 증가에 따른 점도변화가 포함된다. 이원 블렌드의 충격강도는 모든 조성에서 삼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A 66 말단의 아민 그룹과 PP-g-MA의 산 무수물이 반응하여 이미드(imide) 그룹이 형성되어 PP-g-PA 66 공중합체의 합성이 분자량을 증가시키고 이 반응이 삼원 블렌드에서 보다 이원 블렌드에 더 많이 일어나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삼원 블렌드계의 경우 대부분의 물성이 이원 블렌드 보다 우수하였는데 이는 PP의 물성이 PP-g-MA의 물성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충격에 매우 강한 70/30(PA 66/pp-g-MA) 및 80/20 조성의 이원 블렌드는 가공성이 나빠 상업적 응용에는 불리하다. 따라서, 상업적 응용에는 낮은 용융점도를 보이는 삼원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