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w weight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Minimum Row Weight and Polar Spectrum Based Puncture Polar Codes Construction Algorithm

  • Liu Daofu;Guo Ru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8호
    • /
    • pp.2157-2169
    • /
    • 2023
  • In order to handle the problem that puncture patterns will change the position distribution of original information bits and frozen bits in polar codes, which affects performance of puncture polar codes further, a minimum row weight and polar spectrum based puncture polar codes construction algorithm (called PA-MRWP)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algorithm calculates row weight of generator matrix and sorts the row weight in ascending order first. Next, the positions with the minimum row weight are selected as initial puncture positions. If the rows with the same row weight cannot all be punctured, polar spectrum based auxiliary puncture scheme is used. In sub-channels with the same row weight, rows corresponding to the polarized sub-channels with higher reliability are selected as puncture positions to construct puncture vector, and the reliability is calculated based on polar spectrum. It is actually a two-step selection strategy, the proposed minimum row weight puncture (MRWP) algorithm is used for primary selection and polar spectrum based auxiliary puncture is used for adjustmen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ompared with worst quality puncture (WQP) algorithm, the proposed PA-MRWP algorithm and Gaussian approximation-aided minimum row weight puncture (GA-MRWP) algorithm provide gains of about 0.46 dB and 0.29 dB at bit error rate (BER) of 10-4, respectively when code length N=400, code rate R=1/2. In addition, the proposed puncture algorithms improve the BER performance significantly with respect to quasi-uniform puncture (QUP) algorithm.

이랑방향에 따른 밀 군락의 미기상과 생육 및 수량 (Microclimate, Growth and Yield in Wheat under North-South and East-West Row Orientation)

  • 윤성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55-159
    • /
    • 200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microclimate of wheat canopy,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wheat under north-south and east-west row orientation. The variety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G South 2000", which was developed in USA. Solar radiation,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soil temperature were monitored by data logger from March to May in 2002, The ratio of light penetration to the bottom from the upper canopy was 36.8% in north-south and 21.4% in east-west row orientation. Temporal march of light penetration to the bottom from March to May decreased as wheat developed canopy structure and decreased a little from May as plant were matured. The highest light penetration to the bottom from upper canopy occurred at 13:00 in both north-south and east-west row orientations, respectively which were 36 times in north-south and 27 times in east-west row orientation, respectively. Daily maximum temperature at the bottom of canopy occurred at 14:00 with 29 times in north-south, while 19 times were obtained at 14:00 and 15:00, respectively in east-west row orientation. Relative humidity at the bottom of the canopy in east-west yow orientation showed higher than that of north-south row orientation. Occurrence of daily maximum soil temperature of north-south showed one hour later compared with east-west yow orientation. 1000 grain weight and test weight of north-south row orientation was higher than those of east-west vow orient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olar radiation of upper canopy and 1000 grain weight showed r=$0.8132^{*}$, and between air temperature of upper canopy and number of spikes per $\textrm{m}^{2}$ and 1000 grain weigh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0.8139^{*}$, and r=$0.8293^{*}$, respectively.

보리 이삭의 소수 위치에 따른 까락과 낟알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wns and Grains on Different Spikelet Positions in Barley)

  • 이강세;오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7-85
    • /
    • 1996
  • 쌀보리의 이삭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우리나라에서 육성한 쌀보리의 품종을 공시하여 소수위치에 따른 망의 길이와 무게, 입중 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삭의 정단부로부터 3∼5번째 소수가 망장 및 망중의 평균치와, 2∼4번째 소수가 입중의 평균치와 각각 일치하였다. 2. 이삭의 기부로부터 3∼4번째 소수의 망이 가장 길고 무거웠으며 5∼6번째 소수의 입중이 가장 무거웠다. 3. 측열 소수는 중앙열 소수에 비하여 망장은 13∼26%, 망중은 26∼41%, 입중은 18∼25% 적은 값을 보였다. nami형 품종은 uzu형 품종에 비하여 중앙열과 측열간 망장, 망중 차이가 적었다. 4. 망중/망장 비로 볼 때 uzu형 품종은 nami형 품종보다, 그리고 중앙열은 측열보다 망이 더 굵었다. 5. 이삭을 3등분하였을 때 망장, 망중은 하부와 중앙부 차이가 없었으나 상부보다는 길고 무거웠다. 입중은 상부가 항상 가벼웠고 중앙부는 하부보다 무겁거나 같았다. 6. 망중이 무거운 소술일수록 입중이 무거웠다.

  • PDF

휴간거리가 녹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w Spacing on Growth and Yield of Mungbean)

  • 현승원;고무수;송창훈;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35-338
    • /
    • 1992
  • 제주지방에 있어서 녹두의 적정휴간거리 밝히고자 1988년부터 1990년에 주간거리와 주당 본수를 각각 10cm, 2본으로 하고 휴간거리를 20(50주 / m$^2$), 30(33.3주 / m$^2$), 40(25주 / m$^2$), 50(20주 / m$^2$), 60(16.7주 / m$^2$)cm로 달리함에 따른 선화녹두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시와 성숙시는 휴간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경장, 본당 협수, 협당 립수, 1000립중 등은 휴간거리가 좁아짐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종실수량은 휴간거리가 60cm에서 40cm로 좁아짐에 따라서 2차곡선적으로 증가되었으나 휴간거리가 더 좁아질 경우 수량도 감소되었다. 제주지방 선화녹두의 적정휴간거리는 40cm로 판단되었다.

  • PDF

재식밀도 차이가 단수수(Sorghum vulgare Pers)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w Width and Plant Spacing Within Row on Yield and its Components in Sweet Sorghum (Sorghum vulgare Pers))

  • 손세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3-160
    • /
    • 1969
  • 본 시험은 단수수(Sweet sorghum, Sorgo)에 대한 휴건4수준(40, 50, 60, 70cm)과 주간 4수준 (15, 20, 30, 40 cm) 등을 상호 조합하여 재식밀도 차이가 수량, 당분축적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바를 알고저 1966년부터 1968년까지 3개년간 실시한 바 1. 단위면적당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개체당 생체중, 간중, 수중 및 간식경 등이 적어지는 경향으로서 부상관관계를 볼 수 있으나 초장, 열기, 도복 등에는 별다른 차이를 인정할수 없었다. 따라서 재식밀도 차이가 생육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휴건보다도 주간이 더욱 지배적이었다. 2. 재식밀도에 비교적 예민한 작물로서 년차, 휴건, 주간 등 단요인은 각각 1%, 이들은 조합한 2,3요인의 상호작용에도 각각 5~1%의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3. 간중, 하제당량, 종자중 등의 10a당 수량은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같이 증가하나 이와는 반대로 이들의 개체당 수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당분함량과 품질을 결정하는 Brix도, 당도, 순당율등은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낮아지는 경향이다. 5. 당분함량을 높게 재배하려면 소식하여 간직경을 굵게 하므로서 Brix 도, 당도, 간중당분, 순당율 등이 각각 높아진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당수량을 최고로 높이는 데는 여러 가지 정, 부상관관계에 있는 모든 형질을 합리적으로 조합하여 10a당 16,700~22,200본(휴건 60cm${\times}$주간 15-20cm에 주당 2본)이 적당하리라 본다.

  • PDF

분얼형(分蘖型) 옥수수 교잡종(交雜種)과 대두(大豆)의 교호작(交互作)에 대한 수량(收量) 비교(比較) 시험(試驗) (Comparison of Yield in Aiternating Crop System Mixed of Tillering Hybrid Corn and Soybean)

  • 이희봉;최봉호;이원구;박기선;최창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17-124
    • /
    • 1993
  • 대두(大豆)와 분얼형(分蘖型) 옥수수의 상호간(相互間)에 생육의 안정성(安定性)을 도모하고 동시에 최대수량을 얻고자 파종비율을 달리한 교호작(交互作)으로 하여 생체(生體), 건물(乾物) 및 종실중(種實重)의 상호(相互) 비교(比較)를 통해 적정(適定) 파종비율(播種比率)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의 간장(桿長)은 단작(單作)의 경우 59.5cm 였는데 콩의 파종비율를 낮추고 옥수수의 비율을 증가 시킨 처리에서 크게 도장(徒長)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콩의 비율이 증가된 2:1, 3:1, 3:2, 3:3 처리에서는 비교적 콩의 초형(草型)이 단작형(單作型)으로 안정(安定)되었다. 2. 대부분 위와같이 도장된 처리구에서는 분지수(分枝數)와 경태(徑太)가 크게 감소되었고 도대율(倒代率)의 증가가 뚜렸한 현상을 보였다. 3. 10a당 생체중(生體重)은 콩의 비율이 옥수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1:1, 1:2, 1:3 처리구가 단작에 비해 크게 감소 되었으나 콩의 비율을 증가 시킨 2:1, 2:3, 3:1, 3:2, 3:3 등에서는 오히려 단작(單作)보다 크게 증가 되었다. 4. 10a당 건물중(乾物重) 역시 같은 경향이었으나 10a당 종실수량의 경우에는 단작이 276kg으로 가장 높았고 2:1, 3:3처리구 역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5. 옥수수의 생육 특성을 보면 평균 간장(桿長)이 208.9cm, 주당(株當) 펑균 분얼수(分蘖數)는 2.1개, 주당(株當) 평균 이삭수(數)는 4.0개로 콩의 파종비율의 증감(增減)에서 다소의 변이(變異)를 보였으나 유의차(有意差)는 인정 되지 않았다. 6. 각 처리간 10a당 생체중, 건물중, 종실중은 다소의 유의차를 보였는데 생체중과 건물중은 3:1, 2:1처리구에서 단작보다 1000kg와 100kg정도가 각각 높았고 종실중은 모든 처리구에서 단작의 438kg보다 높았는데 특히 3:2, 2:1처리에서 530kg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7. 두 공시 작물을 파종 비율에 따라 10a 당으로 환산(換算)한 총량(總量)을 보면 생체중의 경우 3:1, 3:2, 2:1처리에서 콩 단작의 5721kg이나 옥수수 단작의 4358kg 보다 높았고 건물중의 합은 옥수수 단작, 2:1, 3:1순으로 높았는데 종실중은 2:1, 3:1처리구에서 430kg 이상이었다.

  • PDF

친환경 논 밭 윤환 콩 재배법 확립을 위한 논 콩 재배시 품종별 생육반응 연구 (Study on Growth Responses of Soybean in Paddy Field for Establishing Environment-Friendly Cropping System)

  • 김용욱;조준형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7-450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objectives ; one was to select the suitable soybean cultivars for cultivation in paddy field and the other wa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friendly rotational cropping system of soybean instead of rice in paddy field. In order to evaluate growth adaptation and yields, Eve soybean cultivars were cultivated in Yeoncheon, Keonggi province, with two cultivation methods such as level row and high ridge. Growth of the top plants, such as stem length, number of branches, diameter of stem, were higher in high ridge than in level row, however, the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were bigger than those between the cultivation methods. Dry weight of top pla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ultivars during whole growth stages, however, it was higher in level row than in high ridge at V5 stage while it became higher in high ridge as growth progressed. Roots were more developed in high ridge than in level row during whole growth stages. T/R ratio in level row was higher than that in high ridge. During whole growth stag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cultivars in growth and yields in each cultivation method and yields of Eunhakong was the highest. In results, number of nodules and T/R ratio at V5 stage, number of pods at R2 stage, and number of seeds and T/R ratio at R5 stage had highly correlated with yields, respectively.

  • PDF

이진 자켓 비트열의 VLSI 구조 (A VLSI Architecture for the Binary Jacket Sequence)

  • 박주용;이문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2A호
    • /
    • pp.116-123
    • /
    • 2002
  • 자켓 행렬(Jacket matrix)은 왈쉬 하다마드(Walsh Hadamard) 행렬 구조를 바탕으로 확장한 행렬이다. 왈쉬 하다마드 행렬이 +1, -1을 기본 원소로 하고 있는 반면 자켓 행렬은 $\pm$1과 $\pm$$\omega$($\pm$j, $\pm$$_2$$^{n}$ )를 각각 원소로 가질 수 있다. 이 행렬은 중앙 부근에 무게(weight)를 갖는데, 하다마드 행렬 크기의 1/4 크기로 부호 부분과 무게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행렬 중앙에 강제적으로 무게를 할당하여 자켓 행렬을 구성하였으나, 어떠한 크기의 행렬도 크기와 무게만 정해주면 생성해낼 수 있는 이진 인덱스를 이용한 간단한 비트열 형태의 일반식이 제시된다. 무게는 행과 열의 이진 인덱스의 최상위 두 비트를 Exclusive-OR 연산한 결과가 1인 원소에 부여된다. 또한 분산연산(Distributed Arithmetic:DA) 알고리즘을 이용한 고속자켓변환(Fast Jacket Transform)의 VLSI 구조를 제시한다. 자켓 행렬은 cyclic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암호화, 정보 이론 및 WCDMA의 복소수 확산 QPSK 변조부에 응용될 수 있다.

막덮기 재배가 봄재배시 녹색꽃양배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w Covers on the Growth and Yield of Broccoli During Spring Culture)

  • 이정수;이재욱;성기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75-180
    • /
    • 2002
  • 본 시험은 봄철 노지재배시 막덮기 피복자재가 녹색꽃양배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막덮기와 유공필름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3~4$^{\circ}C$의 기온상승 및 2~3$^{\circ}C$지온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상대습도에 있어서도 높게 유지되었다. 막덮기와 유공필름처리에서 생체중, 근중 등 생육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상화뢰의 발생은 막덮기 피복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출뢰일은 38~40일로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화뢰중은 막덮기 피복과 유공필름처리에서 400g이상으로 무처리에 비하여 2배 이상 증가되었다. 첫 수확일은 막덮기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2주 이상 빨라 조기수확이 가능하였다 상품수량에서도 막덮기와 유공필름처리에서 1,600kg/10a이상으로 많았으며 다음이 P.E. 무처리순으로 무처리에서 857kg으로 가장 적었다. 250g 이상의 화뢰중 비율도 막덮기 처리에서 고르게 분포되었다. 이처럼 봄철 막덮기 자재를 이용한 녹색꽃양배추 재배시 조기수확과 증수는 물론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었다

가을 무(Raphanus sativus L.)두 줄 재배를 위한 적정 재식거리 (Optimum Double-Row Spacing in the Autumn Cultiv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 강은선;하선미;정승룡;서명훈;박수형;곽용범;최근진;채원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4-209
    • /
    • 2015
  • 본 연구는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가을무 두 품종을 이용하여 적정 재식거리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열간거리 $55{\times}25$, $45{\times}25$, $35{\times}25$$25{\times}25cm$ 등 4 실험구로, 주간거리 $35{\times}28$, $35{\times}25$, $35{\times}22$$35{\times}19cm$ 등 4 실험구로 파종하여 파종 58일 후 수확하여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과 뿌리 품질을 조사하였다. 두 품종 모두 열간거리에 따른 지상부 생육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열간거리 25 cm에서 S품종의 근장 및 C품종의 근중이 각각 20.5 cm, 1,422 g으로 다른 처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따라서 가을무의 두 줄 재배시 열간거리는 근중이 감소하지 않고 무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 35 cm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간거리는 두 품종 모두 28, 25 및 22 cm에서는 평균 1,500 g 이상의 적절한 크기의 무가 생산되었으나 C품종의 경우 19 cm 실험구에서 근중이 1148.3 g으로 다른 실험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S품종의 경우, 주간거리는 무의 수량 및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품종의 경우 주간거리에 의해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와 바람들이는 재식거리에 따라 영향을 받았지만 그 차이는 적었다. 따라서 가을무 두 줄 재배시 적정 재식거리는 최소 열간거리 25 cm, 주간거리 19 cm 이상 설정하는 것이 가을무 재배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