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und trip time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42초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대규모 스마트 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그룹핑 알고리즘 성능 분석 (Simulation Analysis of User Grouping Algorithms for Massive Smart TV Services)

  • 전철;이관섭;주우석;정태경;한승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1-67
    • /
    • 2011
  • 스마트 TV 시스템은 차세대 핵심 네트워크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통신과 미디어 산업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 TV 시스템은 동시접속자가 증가하면 서비스 품질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콘텐츠를 수많은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것은 서버와 네트워크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서버의 수용능력의 한계는 서버 클러스터를 구성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의 수용능력의 한계는 부하와 혼잡의 발생 위치를 파악하고 추가적인 자원을 설치하여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까지 많은 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기존의 연구들의 성능분석은 대부분 왕복시간(round-trip time), 다운로드 시간, 패킷 손실 비율과 같은 사용자 중심의 성능척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스마트 TV 서비스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동시접속과 전체 네트워크의 부하와 혼잡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인터넷 테스트베드인 PlanetLab을 이용하여 스마트 TV 서비스 폼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그룹핑 알고리즘을 네트워크의 혼잡도와 부하중심으로 성능분석을 한다.

종단간 순방향/역방향 전송지연 측정을 이용한 TCP Vegas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TCP Vegas Using Estimation of End-to-End Forward/Backward Delay Variation)

  • 신영숙;김은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3호
    • /
    • pp.353-358
    • /
    • 2006
  • TCP 구현의 하나인 Vegas는 패킷의 유실을 망의 혼잡으로 인지하는 Reno와 달리 RTT(Round Trip Time) 측정값을 바탕으로 혼잡을 인지하며, 이를 이용하여 윈도우 크기 등 혼잡 제어를 위한 주요 인자를 결정한다. 그러나, Vegas의 혼잡 회피 방안이 TCP 패킷 경로의 비대칭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이것은 양 방향(순방향, 역방향) 패킷 전송 상태를 반영하는 RTT 측정값을 순방향 경로의 상태 해석에 이용하기 때문이다. RTT는 패킷의 왕복 시간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패킷의 송수신시 순방향과 역방향에서 어느 정도의 혼잡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커널 2.6의 TCP 소스에서 RTT 측정값으로 혼잡도를 측정하는 기존의 Vegas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순방향 경로의 혼잡과 역방향 경로의 혼잡을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Vegas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무선망에서 스트리밍 시스템을 위한 트래픽 분석 (Traffic Analysis for Streaming System on Wireless Network)

  • 조국향;정진환;한상범;유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304-306
    • /
    • 2001
  • 오늘날 인터넷에서 멀티미디어 컨텐트는 날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히 무선망에서 미디어 스트리밍에 대한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런데 무선망은 낮은 대역폭과 높은 전송 에러율로 인하여 유선망과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로 스트리밍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선망에서의 스트리밍 특성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수행된 실험은 CDMA 2000 무선 인턴넷 환경을 배경으로 하며, 패킷 전송 시간(round trip time:RTT)과 패킷 손실 양상을 관찰하고 이에 따라 무선망에서 적합한 패킷 손실 복구나 버퍼링 기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MSS 조절을 통한 내부 네트워크의 성능 향상 (Improving a internal network performance by controlling MSS)

  • 오세민;권경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71-137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내부 LAN(Local area network)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의 변화가 네트워크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내부 LAN에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를 두고 이더넷(Ethernet)이 허용하는 사이즈 내에서 MSS 값의 변화가 네트워크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처리량(Throughput), 이용률(Utilization), 분실율, 수신율, RTT(Round Trip Time)를 사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중의 사실상 표준 도구인 NS-2로 한다.

  • PDF

ALLOCATION AND PRICING IN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FREE RIDER THEOREM

  • Beckmann, Martin J.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46
    • /
    • 1978
  • Consider a time interval during which the demand for trips is fixed (e.g. the rush hour period). The traveller has a choice between various public modes, whose travel times and fares are fixed, and the automobile mode, for which travel time and cost depend on the volume of traffic flow on those roads, which are subject to congestion. We consider the equilibrium in terms of a representative travellerm, who choses for any trip the mode and route with the least combined money and time cost. When several (parallel) model or routes are chosen, then the combined cost of money and time must be equal among these. Our problem is first, to find the optimal flows of cars and of public mode carriers on the various links of their networks and second the optimal fares for trips by the variousmodes. The object is to minimize the total operating costs of the carriers and car plus the total time costs to travellers. The optimal fares are related to, but not identical with the dual variables of the underlying Nonlinear Program. They are equal to these dual variables only in the case, when congestion tolls on trips or on the use of specific roads are collected from automobile users. When such tolls are not collected, they must be passed on as subsidies to travellers using competing modes. The optimal fares of public modes are then reduced by the amounts of these subsidies. Note that subsidies are not a flat payment to public carriers, but a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ickets sold. Fares and subsidies depend in general on tile period considered. They will be higher during periods of higher demand. When the assumption of fixed trip demand is relaxed, this tare system is no longer best, but only second best since too much traffic will, in general, be generated. The Free Rider Theorem states the following : Suppose road tolls can be charged, so that a best pricing system for public modes is posssible. Then there may exist free rides on some routes and modes, but never on a complete round trip.

  • PDF

SMP 가상 머신의 I/O 지연 시간 감소를 위한 이벤트 라우팅 기법 (Event Routing Scheme to Improve I/O Latency of SMP VM)

  • 신정섭;김학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1호
    • /
    • pp.1322-1331
    • /
    • 2015
  • vCPU(virtual CPU)는 하이퍼바이저 스케줄러에 의해서 실행 상태와 정지 상태를 반복하는 특징을 갖는다. 정지 상태인 vCPU에게 전달된 이벤트는 vCPU가 실행 상태가 될 때까지 처리되지 못하고 지연 된다. 이러한 이벤트 지연 현상은 I/O 지연 현상으로 나타난다. SMP(symmetric multiprocessing) 가상 머신은 다수의 vCPU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벤트를 어느 vCPU에게 전달하는지에 따라 SMP 가상 머신의 이벤트 지연 시간이 달라 질 수 있다. SMP 가상 머신의 이벤트 지연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각 vCPU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이벤트를 전달하는 새로운 기법인 이벤트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이벤트 라우팅 기법을 Xen ARM 하이퍼바이저에 적용하였고 다양한 실험 환경에서 네트워크 RTT(round trip time)와 TCP 대역폭 측정을 통해 I/O 지연 시간 감소를 확인하였다. 기존 Xen ARM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RTT는 최대 94% 감소하였고, TCP 대역폭은 최대 35% 증가하였다.

단방향 지연 시간 추정 기법과 이를 이용한 응용 (One-Way Delay Estimation and Its Application)

  • 최진희;유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2권3호
    • /
    • pp.359-369
    • /
    • 2005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단방향 지연을 추정하는 것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다. 단방향 지연 시간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이 값이 네트워크 성능과 이를 이용한 웅용의 설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해결 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RTT (Round Trip Time)가 자주 이러한 지연시간의 근사값으로 사용되곤 하지만 이 값이 순방향과 역방향의 지연 시간의 합이기 때문에 실제 단 방향지연 시간과는 큰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단방향 지연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분석적으로 순방향과 역방향 지연 시간을 유도해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비대칭 네트워크에서 TCP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본 논문의 핵심은 논문에서 제안 단방향 지연 시간 추정 기법이 RTT 추정 기법보다 정확하여 이를 이용한 TCP가초기 시작에서 네트워크의 가용 량을 보다 빨리 찾아내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RTT는 순방향과 역방향의 합이기 때문에 RTT에 기반을 둔 어떤 프로토콜에도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802.11 무선 네트워크에서 TCP 성능 향상을 위한 기법 (A Mechanism to improve the TCP performance in 802.11 Wireless Networks)

  • 장복전;김준환;박용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2호
    • /
    • pp.97-103
    • /
    • 2009
  • 최근 802.11 무선 네트워크에서 TCP성능 향상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End-to-end 연결에서 TCP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hop-count와 RTT (Round Trip Time) 이다. 본 논문에서는 TCP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hop-count와 RTT 변경 시 적절한 CWND값을 설정하여 TCP-CEV을 변경하는 기법을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기본 TCP 구조를 따르는 대부분의 transport 프로토콜에 적합하고, 분석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이 체인 토폴로지에서 12%, 격자 토폴로지에서 4.9% 이상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TCP window가 특정 값에 수렴하는 것을 보인다.

AT-Snoop 프로토콜의 지역 재전송 시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cal Retransmission Timeout of AT-Snoop Protocol)

  • 조용범;조성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4B호
    • /
    • pp.218-225
    • /
    • 2005
  • Snoop 프로토콜은 유무선이 통합된 망에서 효율적으로 TCP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토콜이지만 연속적인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무선 링크에서 사용되는 경우 지역 재전송을 비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AT-Snoop 프로토콜은 Snoo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면서 Adaptive Timer를 사용하여 이러한 Snoop 프로토콜의 단점을 개선한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AT-Snoop 프로토콜의 TCP 전송률 성능을 무선 링크 환경을 변화시키면서 분석하구 각 무선 링크 환경에서 향상된 TCP 전송률을 얻기 위한 AT-Snoop 프로토콜의 파라미터 값들을 도출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AT-Snoop 프로토콜의 두 파라미터인 지역 재전송 임계값과 지역 재전송 시간값이 무선 링크에서의 페이딩의 변화 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 재전송 임계값은 무선 링크의 평균 WSRTT(Wireless Smoothed Round Trip Time)보다, 지역 재전송 시간은 무선 링크의 평균 불량 기간보다 각각 약간 크게 설정하는 것이 AT-Snoop 프로토콜을 사용할 때 높은 TCP 전송률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