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emary powder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s of Ripening Conditions on the 'Lomo embuchado' Sausage Quality

  • Choe, Ho Sung;Shim, Kwanseob;Jung, Jong Hyun;Chung, Yi Hyung;Shin, Daeke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33-33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ripening durations, with, or without adding rosemary powder, on Lomo embuchado (LEO) sausage quality. All LEOs were ripened for two different durations, 45 or 60 d,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rosemary powder, as follows: 1) LEO ripened for 45 d (LER45), 2) LEO ripened for 60 d (LER60), 3) rosemary LEO ripened for 45 d (RLE45), and 4) rosemary LEO ripened for 60 d (RLE60).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both moisture and ash content, with higher moisture and less ash content in LER45 (p<0.05). No trend was shown in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four different treatments, but significantly low protein content was shown only in RLE45 (p<0.05). Ripening for 45 d improved the lightness, yellowness, and water activity of LEOs (p<0.05). However, ripening duration together with rosemary powder add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redness (p>0.05). The LER45 generated significantly improved chewiness, gumminess, and hardness, as compared to both LER60 and RLE60 (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ripening for 45 d seems to enhance LEO quality, but that rosemary powder addition may not be required to develop good LEO quality.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미치는 영향: I. 미생물학적 특성 및 저장성 (Effects of Combined Treatment of Gamma Irradiation and Addition of Rosemary Extract Powder on Ready-to-Eat Hamburger Steaks: I. Microbiological Quality and Shelf-life)

  • 오상희;김장호;이주운;이유석;박경숙;김종군;이효구;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87-693
    • /
    • 2004
  • 본 연구는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감마선 조사와 항산화제 및 항균제로 알려진 로즈마리의 추출분말의 병용처리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0, 200,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한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를 0, 5, 10 및 20 k㏉로 조사한 후 4개월 간 냉장(5$^{\circ}C$)저장하면서 미생물의 생육을 평가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단기간 내에 파악하기 위해 가속저장(3$0^{\circ}C$) 시험을 병행하였다.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초기 호기성 총균수는 약 5 log CFU/g이었으나, 감마선 조사에 의해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 중 호기성 총균과 대장균군 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특히, 20 k㏉로 조사한 햄버거 스테이크에서는 저장 4개월까지 어떠한 미생물도 검출되지 않았다. 총균수가 $10^{6}$$10^{7}$ log CFU/g에 이르렀을 때를 저장한계로 보았을 때, 냉장 저장시 비조사구는 14일인 반면, 5 및 10 k㏉ 조사구는 각각 28∼42, 98∼112일이었다. 5 및 10 k㏉ 조사구에서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500 ppm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비첨가구에 비해 저장기간이 14일 연장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속저장 시험 시 감마선 조사에 의해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으나 로즈마리 추출분말 첨가에 의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냉장 저장 시에는 감마선 조사구(5 및 10 k㏉)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로즈마리 추출분말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즈마리 추출분말을 첨가한 돈육 떡갈비의 품질 및 저장특성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Pork Teokgalbi with Added Rosemary (Rosemarinus officinalis) Extract Powder)

  • 정해옥;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09-520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rosemary extract powder (REP) to pork teokgalbi on its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Five types of teokgalbi were tested, viz. with no REP added (normal, N), with 0.05% ascorbic acid added (control, C) and with 0.05% (R1), 0.1% (R2) and 0.2% (R3) of REP added. The proximate composition, calorific valu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pork teokgalbi. The L and a values of the teokgalbi containing RE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 and C groups. As regards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0.2% REP increased the springiness valu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teokgalbi with the addition of 0.1% REP had higher scores in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The 2-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total microbial count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of the teokgalbi containing 0.2% RE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N group. In conclusion, R3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in delaying lipid peroxidation than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erefore, rosemary extract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in meat products.

Effect of Thyme and Rosemar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helf-life,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of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Jin, Sang Keun;Choi, Jung Seok;Lee, Seung Jae;Lee, Seung Yun;Hur, Sun J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56-664
    • /
    • 2016
  • The effects of thyme and rosemar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were investigated. Sausages were prepared with thyme and rosemary powder (1 and 2%) and stored for 6 weeks at 10℃. The p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ausages by addition of thyme and rosemary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the control before and after storage. At 4 weeks of storage, the residual nitrite content was decreased by thyme and rosemary compared to the control.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whereas redness (a*) and whiteness (W) were decreased before and after storage by addition of thyme and rosemary. The amount of TPC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lower at the end of storage in sausage containing thyme and rosemary. The 2, 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sausages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thyme and rosemary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before and after storage. In particular, T2 (0.2% thyme addition)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during storage. In a sensory evaluation,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lower in sausages containing thyme and rosemary than in the control. However, at the end of storage (6 wk), aroma,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usage samples.

참치 가공부산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3. 분말 참치 가수분해물의 저장중 품질안정성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Commercial Pretenses 3. Storage Stability of Powdered Skipjack Hydrolysate)

  • 차용준;김은정;김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27-631
    • /
    • 1996
  • 참치 가수분해물을 항산화제인 BHT 0.02% 첨가구와 rosemary 0.01% 및 0.02%를 첨가한 제품을 대조구와 함께 $3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검사한 결과 색도에서 대조구 및 항산화제 처리한 4제품 모두 명도는 감소하는 반면에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수용성 갈변물질이 지용성 갈변물질 보다 함량이 많았으며 저장 중 증가폭도 컸다. 지방산화 억제능에서는 0.02% BHT 첨가구 보다 0.02% rosemary 첨가구에서 효과가 있었고, ACE 저해능에서는 생시료에서 3% 미만의 낮은 효율을 보인 반면에 가수분해물에서는 72.2%를 나타내었으며, $IC_{50}$/은 1.124mg이었다.

  • PDF

용매에 따른 카레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혼합효과 (Antioxidant and Mixture Effects of Curry Spices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안채경;이영철;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1-499
    • /
    • 2000
  • 카레분의 단품향신료와 카레분(curry powder)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으로 추출하여 수율, 항산화 효과, 총페놀함량, 총토코페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의 추출 수율은 각각 $6.4{\sim}42.9$, $3.9{\sim}26.2$, $1.6{\sim}29.2\;%$로 극성이 높아질수록 수율이 증가하였다. 미강유의 각 용매별 추출물을 1,500ppm 첨가하여 Rancimat로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rosemary, sage, ginger, turmeric, nutmeg 순으로 우수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thyme, ginger의 순이었으며 헥산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ginger, thyme 순이었다. 1,500ppm을 미강유에 첨가하였을 때 BHT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난 향신료는 3가지 용매 추출물에서 공통적으로 rosemary, sage, ginger, oregano, thyme이었으며 이들 향신료를 200, 500, 1,000, 1,500, 2,000 ppms 농도로 미강유에 첨가한 후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rosemary와 sage는 헥산 추출물 2,000ppm에서, ginger는 메탄올 추출물 2,000ppm에서 우수한 효과를, oregano와 thyme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1,500ppm과 2,000ppm에서 큰 차이 없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emary의 혼합에 따라 ginger와 thyme의 항산화 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상승효과라기 보다는 rosemary로 인한 유도기간의 연장 효과였다. 총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은 $17,924{\sim}801\;mg%$,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13,893{\sim}57\;mg%$, 헥산 추출물은 $6,864{\sim}12\;mg%$이었으며 총페놀함량과 항산화 효과가 일치하지는 않았다. 토코페롤의 경우 oregano가 3194.8mg%로 가장 높았으며, sage 1014.8 mg%, rosemary 571.1 mg%, thyme 187 mg%였고 ginger에서는 토코페롤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토코페롤함량과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허브를 첨가한 묵은지 요리의 관능적 특성 (A Study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pened Kimchi with Herbs)

  • 기영호;김복희;이재준;이명렬;정해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4-194
    • /
    • 2006
  • In this study, sensory evaluation on ripened kimchi foods with herbs were carried out.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rosemary was the best of all among the tested herbs. It seemed that 0.5% addition of fresh herb powder was most preferable and more than 4% addition was not acceptable. Hot spice and herb flavor was remained when kimchi dishes were prepared but it disappeared as time elapsed.

  • PDF

허브를 첨가한 양파김치의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Herb Onion Kimchi Differing in Herb Content)

  • 정해옥;정동옥;박인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9-265
    • /
    • 2002
  • In this study, various kind of onion herb kimchi differing in herb contents were prepared.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rosemary was best of all for the tested herbs. By the sensory analysis, it seemed that 0.5% addition of fresh herb powder for onion kimchi was most preferable and 2% addition was not acceptable. Hot spice of onion was remained when kimchi was prepared but it disappeared as storage time elapsed. According to texture analysis, hardness decreased as storage time elapsed for onion kimchi without herb, but the degree was mitigated for onion herb kimchi.

  • PDF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극성별 용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증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Affected by Extracting Solvents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 이커;양경희;궈루;추이정웨이;손병구;강점순;이용재;박영훈;제병일;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5
    • /
    • 2019
  •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식품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극성이 다른 용매 추출물의 상호작용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잘 정립되어서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즈마리 분말을 hexane, EtOAc, MeOH 그리고 95%, 70%, 50% 또는 25% EtOH 및 물로 추출한 다음, 각각의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항비만, 항 ${\alpha}$-glucosidase 활성 및 미백효과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높은 50% EtOH, 25% EtOH 및 증류수 추출물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는 EtOH의 농도가 높은 50~95%와 MeOH 추출물에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지방세포의 분화억제는 70% EtOH로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EtOH의 농도가 70% 보다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을 경우에는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최적의 추출용매는 항산화, tyrosinase 저해,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및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등의 질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추출용매를 고려하면 추출용매에 따라서 최적의 생리활성 성분의 종류와 함량이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하여 생리활성 효과도 달라진 것으로 생각된다.

향미유 제품에 대한 추출 용매별 로즈마리 추출물의 저장 안정성 향상 효과 (Increasing Effect on Storage Stability of Rosemary Extracts used for Various Solvent System on Seasoning Oils)

  • 이장우;안영순;홍영표;한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1-278
    • /
    • 2006
  • RPSO, SO, PNO의 3종 향미유에 대하여 로즈마리 유기 용매 추출물과 비교군으로 토코페롤을 각각 1,000ppm씩 동량으로 적용하여 60${\pm}$2$^{\circ}C$의 항온기에 저장하여 AV, POV 및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였다. 이들 향미유의 AV, POV측정 과정에서는 고유의 색상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토코페롤은 AV, POV,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 등 각종 측정 항목에서 항산화제로서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산화 촉진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chloroform/MeOH 추출물 처리의 저장 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측정 항목 및 추출물별 저장 안점성의 향상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AV는 chloroform/ MeOH 추출물>ethyl alcohol 추출물>열수 추출물>ethyl acetate 추출물>acetone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이었으며, POV는 chloroform/MeOH 추출물>ethyl alcohol추출물${\geq}$ethyl acetate 추출물>acetone 추출물${\geq}$열수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이었고, 카르보닐 화합물 생성량은 chloroform/ MeOH 추출물>ethyl acetate추출물>ethyl alcohol 추출물>열수 추출물>acetone 추출물>무처리군>토코페롤 처리군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