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knot nematode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참외 시설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뿌리혹선충 감염실태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Population Densities of Root-Knot Nematodes in Oriental Melon Growing Soil)

  • 박동금;이순구;황재문;한상찬;서혁수;허재원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0-43
    • /
    • 2000
  • 참외의 시설재배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재배기술과 소득은 향상되었으나 동일한 시설 내에서 같은 작물을 연작하고, 연중재배하므로써 연작장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박 등, 1988). 연작장해의 주요 요인으로는 토양양분의 소모, 토양양분의 질적 악화, 토양반응 및 토양물리성의 악화, 독소의 집적, 토양병해충을 비롯한 유해 토양미생물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이, 1996). 특히 우리나라 시설재배지에서는 무기양분이 노지처럼 유실되지 않고 토양에 잔존해 있기 때문에 염류의 집적이 노지보다 많은데도 불구하고 다량의 가축분이나 무기양분을 과다시비하므로써 염류집적이 가중되고 있다. (중략)

  • PDF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에 대한 저항성고추 선발 및 저항성기작 연구 (Screening Resistant Red Pepper Varieties to Meloidogyne hapla and their Resistance Mechanisms)

  • 한상찬;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5-191
    • /
    • 1997
  •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에 대한 저항성품종을 선발하고자 175개 고추품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재래종 15품종(IT 102794, 104806, 105516 등)과 도입종 2품종이 저항성이었고 재배품종 중에서는 홍탑고추, 강산고추, 홍실고추와 부강고추가 중도저항성이었다. 저항성반응을 보인 품종에서는 감수성인것에 비하여 선충의 침입수도 적었고 발육도 부진하였다. 또 에스테라제와 퍼옥시다제의 활력에서 저항성 고추품종의 뿌리는 감수성인 것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 PDF

Biological and Structural Mechanisms of Disease Development and Resistance in Chili Pepper Infected with the Root-knot Nematode

  • Moon, Hyo-Sun;Khan, Zakaullah;Kim, Sang-Gyu;Son, Seon-Hye;Kim, You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49-153
    • /
    • 2010
  • Biological and structural mechanisms of the nematode disease development in chili pepper caused by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were investigated. Out of 39 chili pepper cultivars/lines tested, six were found resistant, while 33 were susceptible to M. incognita, of which a susceptible cultivar Chilseongcho and three resistant cultivar/lines CM334, 02G132 and 03G53 with different resistance degrees were selected for microscopic studies on the disease development. Gall formation was greatly reduced in the resistant cultivars/lines. Nematode penetration occurred both in the susceptible and resistant chili pepper roots; however, the penetr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three resistant peppers compared to the susceptible pepper cv. Chilseongcho. In the susceptible pepper, giant cells were extensively formed with no discernible necrosis around the nematode feeding sites. In the highly resistant pepper cultivar CM334, no giant cell was formed, but extensive necrosis formation was observed around the penetrating nematodes. In the other two resistant pepper lines (02G132 and 03G53), both giant cells and prominent necroses were formed, and the necrotic responses appeared to inhibit the further development of giant cells or accelerate their early degeneration. Although the nematode penetration was retarded significantly in the resistant cultivar/lines, all of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ease resistance of pepper may be related to post-infectional defense mechanisms (nematode growth and development) more than pre-infectional ones (penetration and establishment). Variations in structural modifications in the resistant cultivar/lines may reflect their genetic differences related to the nematode resistance.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와 M. hapla)에 대한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의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Soybean Cultivars to Root-Knot Nematode Speci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 hapla) in Korea)

  • 김동근;최동로;최영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37
    • /
    • 1982
  • 두 종류의 부리혹선충(M. incognita, M. hapla) 각각에 대한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들의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1. 인코그니타혹선충(M. incognita)에는 은대두, 백천, 동북대, 단엽콩이 저항성 이었으며 광두, 황금총, 부석은 중정도 저항성이었고 광교외 8품종은 감수성 이었다. 2. 당근혹선충(M. hapla)에는 장엽콩 한 품종만이 저항성이었으며 단엽콩, 힐, 동북태, 함안대립, 충북백은 중정도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육우 3호 외 9품종은 감수성이었다. 3.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단엽콩과 둥북태는 인코니타혹선충(M. incognita)에는 저항성을 가지면서 당근혹선충(M. hapla)에는 중정도 저항성을 나타내는 좋은 품종이었다.

  • PDF

국내 참깨와 들깨품종의 뿌리혹선충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Sesame and Perilla Cultivar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하지혜;강헌일;은근;이재현;김동근;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84-189
    • /
    • 2016
  • 고부가가치 작물인 참깨와 들깨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참깨 10품종, 들깨 10품종, 총 20품종을 고구마 뿌리혹선충과 땅콩 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참깨 10품종 모두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이었다. 들깨 10품종은 모두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이었다. 참깨와 들깨를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참깨는 시설재배지에 감염되어있는 뿌리혹선충의 종을 먼저 동정하여, M. arenaria가 감염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M. incognita가 감염되어 있을 경우에는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들깨는 2종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으로 이들 선충이 감염된 시설하우스에서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생강에서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의 사멸을 위한 온탕침지처리 연구 (Study on Hot Water Immersion Treatment for Control of Meloidogyne spp. and Pratylenchus spp. in a Ginger, Zingiber officinale)

  • 조동훈;박교남;김양호;고경봉;박영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1-177
    • /
    • 2017
  • 식물기생성 선충인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국내에서 생강을 포함한 수입 구근류에서 주로 검출되는 검역대상 해충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충류가 검출된 수입 생강의 경우 적절한 소독처리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폐기 및 반송처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강에 침입한 검역 대상 선충의 사멸을 위한 식물소독처리 기준 마련을 위해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을 사멸할 수 있는 온탕침지법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뿌리혹선충과 뿌리썩이선충은 각각 $48^{\circ}C$$49^{\circ}C$에서 30초간의 온탕침지 처리로 사멸되었다. $52.5^{\circ}C$로 설정된 60 L의 항온수조에 침지된 생강의 열전도 조사에서 생강 중심부와 내부 5 mm 두께의 온도가 $50^{\circ}C$까지 도달하기까지는 각각 10~32분과 6~16분이 소요되었으며 $51^{\circ}C$에서 30분 동안 온탕침지한 생강은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뿌리혹선충의 유충을 생강에 인공접종 한 후 $51^{\circ}C$에서 30분간 온탕침지 하였을 때 처리한 선충이 모두 사멸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온탕침지 처리 조건은 생강에 영향을 주지 않고 두 종의 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는 식물소독법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곰팡이(Paecilomyces lilacinus)를 이용(利用)한 고추 및 상치의 당근뿌리혹선충(線蟲)(Meloidogyne hapla)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방제(防除)에 관(關)하여 (Biological Control of Meloidogyne hapla on Lettuce and Pepper by Paecilomyces lilacinus)

  • 조명래;최영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65-70
    • /
    • 1990
  • 선충기생(線蟲寄生)곰팡이(Paecilomyces lilacinus)를 이용(利用)한 당근뿌리혹선충(線蟲)(Meloidogyne hapla)의 생물학적방제(生物學的防除) 가능성(可能性)을 규명(糾明)하기 위(爲)하여 Telone II, Telone C-17, Dowfume MC-II 등(等) 3종(種)의 토양훈증제(土壤燻蒸劑)와 함께 밀양(密陽)의 시설원예포장(施設園藝圃場)에 처리(處理)하여 상치와 고추를 전후작실험(前後作實驗)한 결과(結果), 뿌리혹선충(線蟲) 밀도(密度)는 처리후(處理後) 25일(日)에 P.lilacinus 처리구(處理區)는 22마리, Telone II, Telone C-17, Dowfume MC-II구(區)는 각각(各各) 2, 24, 0마리로 무처리구(無處理區)의 685마리에 비(比)해 현저(顯著)히 낮았으며 처리후(處理後) 350일(日)에는 P. lilacinus, Telone II, Telone C-17, Dowfume MC-II구(區) 각각(各各) 2,917, 173, 180, 361마리로 무처리구(無處理區) 8,635마리에 비(比)해 각각(各各) 66%, 98%, 98%, 96%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전작물(前作物)인 상치는 P.lilacinus, Telone II, TeloneC-17, Dowfume MC-II구(區)에서 각각(各各) 49, 43, 31, 109% 증수(增穗)되었다. 고추의 생체중(生體重)과 초장(草長)은 훈증제(燻蒸劑)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P. liacinus처리구(處理區)는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하여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by Organic Acid-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WiKim0069 Isolated from Kimchi

  • Seo, Hye Jeong;Park, Ae Ran;Kim, Seulbi;Yeon, Jehyeong;Yu, Nan Hee;Ha, Sanghyun;Chang, Ji Yoon;Park, Hae Woong;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62-673
    • /
    • 2019
  • Root-knot nematodes (RKNs) are among the most destructive plant-parasites worldwide, and RKN control has been attempted mainly using chemical nematicides. However, these chemical nematicides have negative effects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us necessitating the search for eco-friendly alternative RKN control methods. Here, we screened nematicidal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imchi and evaluated their efficacy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RKNs. Of 237 bacterial strains, Lactobacillus brevis WiKim0069 showed the strongest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the second-stage juveniles (J2) of Meloidogyne incognita, M. arenaria, and M. hapla and inhibited the egg hatch of M. incognita. The culture filtrate of WiKim0069 had a pH of 4.2 and contained acetic acid (11,190 ㎍/ml), lactic acid (7,790 ㎍/ml), malic acid (470 ㎍/ml), and succinic acid (660 ㎍/ml). An artificial mixture of the four organic acids produced by WiKim0069 also induced 98% M. incognita J2 mortality at a concentration of 1.25%, indicating that its nematicidal activity was derived mainly from the four organic acids. Application of WiKim0069 culture filtrate suppressed the formation of galls and egg masses on tomato roots by M. incognita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 pot experiment. The fermentation broth of WiKim0069 also reduced gall formation on melon under field conditions, with a higher efficacy (62.8%) than that of fosthiazate (32.8%).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kimchi LAB against RKNs and to demonstrate that the organic acids produced by LAB can be used for the RKN management.

골프장 잔디 해충과 천적의 종류 (Turfgrass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Golf Courses)

  • 추호렬;이동운;이상명;이태우;최우근;정영기;성영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1-179
    • /
    • 2000
  • 우리 나라 골프장의 잔디 가해 해충과 천적에 관한 조사에서 잔디를 가해하는 해충은 6목 10과 28종이 확인되었고, 잔디흑응애(Eriophydae zoysiae)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도 피해를 주고 있었다. 풍뎅이 유충인 굼벵이는 전 조사 골프장의 모든 코스에서 피해를 조고 있었으며, 검거세미나방이나 거세미나방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었다. 그리고 푸충나방류(Crambus sp.)와 깍지벌레류, 각다귀(Tipula sp.)도 잔디에 피해를 주고 있었다. 반면, 일본왕개미(Camponitus japonicus), 곰개비(Formica japonica), 고동털개미(Lasins japonicus)는 직접적인 잔디 피해보다는 간접적인 피해가 많았다. 즉, 잔디나 골프장 군데군데에 집을 만들거나 골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었다. 잔디 해충의 천적으로는 곤충병원성 선충과 곤충변원성 곰팡이 및 유화병균등의 곤충 병원미생물과 파리매와 같은 포식성 천적류, 그리고 굼벵이벌 등과 같은 기생성 곤충류가 채집되었다. 병원성 선충으로는 Heterorhabditidae과의 Heterorhabditis sp.와 Steinernematidae과의 Steinernema glaseri와 S. longicaudum이 굼벵이와 잔다밭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골프장에서 발견된 Heterorhabditia sp,는 동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풍뎅이 유충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와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경산의 대구 골프장에서 발견되 Heterorhabditis sp.는 등얼룩풍뎅이와 주둥무늬차색?뎅이 유층에서 분리되었는데 병원성이 매우 뛰어났다. 병원성 곰팡이는 Beauveria bassiana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등얼룩풍뎅이에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화병(milky disease)을 일으키는 Paenibacillus popilliae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아 등얼룩풍뎅이(Exomala orentalis),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녹색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에서 발견되었다. 관찰된 파리매 3종 중 파리매(Promachus yesonicus)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였다. 굼벵이벌(Tiphia sp.)은 주둥무늬차색풍뎅이와 등얼룩풍뎅이의 유충에서 확인되었는데 발견된 개체수는 많지 않았다. 식무 기생선충으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 들잔디(Zoysia japonica)와 금잔디(Z.matrella), 버뮤다그라스(Cynodon dactylon)에서 발견되었다.

  • PDF

고구마 재배지의 뿌리혹선충 발생 상황 및 품종별 저항성 반응 (Occutrrence of Root-knot Nematodes in Sweet Potato Fields and Resistance Screening of Sweet Potato Cultivars)

  • 최동로;이재국;박병용;정미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11-216
    • /
    • 2006
  • 고구마 주산단지를 중심으로 36개 포장에서 뿌리혹선충 발생 상황을 조사한 결과 선충의 검출률이 해남 61%, 익산 40%, 여주 31%이었으며, 평균밀도는 토양 300 g당 324마리이었다. 고구마 뿌리혹선충 저항성 검정체계 확립 시험은 온실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시험기간동안 화분내 지하 10 cm의 평균온도는21.5$^{\circ}C$이었다. 뿌리혹선충의 접종 방법별 시험에서 접종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유충을 접종하는 것 보다 알을 접종하는 방법이 처리가 쉽고 결과가 안정적이었다. 고구마 품종에 따라 뿌리혹선충의 증식량이 다르게 나타났으며(3.7$\sim$63.2배), 저항성 품종보다 감수성 품종에서 난낭 당 알의 수가 많았다. 주요 뿌리혹선충 4종에 대한 국내품종의 저항성 조사에서 고구마 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품종은 없었으나, 진미, 증미, 보라미는 땅콩뿌리혹선충, 자바뿌리혹선충 및 당근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