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development

검색결과 2,148건 처리시간 0.024초

박피 유무에 따른 전처리 백연근의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 효과 (Antioxidant Capacities and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of Dried Lotus Root by Different Pretreatment)

  • 김진숙;황동주;강은정;김경미;최송이;김기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67-671
    • /
    • 2015
  • 본 연구는 혈관벽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위벽보호, 해독작용, 치매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연근의 가공 식품 소재로써 활용 편의성을 높이고자 전처리 단계 중 인력에너지 소모가 많은 부분인 박피공정 처리 여부에 따른 연근의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을 조사하였다. 연근의 박피여부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박피하지 않은 연근의 경우, DPPH 전자공여능은 85.07%, SOD 유사활성은 20.84% 그리고 ACE 저해활성은 53.4%로 박피한 연근보다 높았다. 통상적으로 연근은 조리용 또는 가공식품 소재로 이용할 때 껍질의 떫은 맛, 색깔 등과 같은 이유로 박피 과정을 가지게 되는데, 본 실험결과, 박피로 인해 연근이 가지는 항산화능 및 항고혈압능이 특성에 따라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근 사용 시 당연하게 수반되었던 박피 전처리 공정의 생략 여부를 고민하는 것이 더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연근의 껍질에도 항산화에 도움이 되는 유용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연근의 과육과 껍질의 성분 분석,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분석을 통해 연근의 껍질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연근의 일반적인 박피 이외 다양한 전처리 과정을 통한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면 좋을 것이라 판단된다.

근부환경(根部環境)에 따른 수도(水稻)의 영양생리적(營養生理的) 반응(反應)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Nutrio-physiological Response of Rice Plant to Root Environment)

  • 박준규;김영섭;오왕근;박훈;시택문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68
    • /
    • 1969
  • 생산력이 서로 다른 두 토양(土壤)에 유기물(有機物)을 첨가(添加)하여 근부(根部) 환경(環境)의 변화(變化)와 수도품종별(水稻品種別) 근(根)의 근부(根部) 환경(環境)에 대(對)한 반응(反應)을 육안(肉眼) 관찰(觀察)하고 양분흡수(養分吸收)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위답토양(高位畓土壤)은 유기물(有機物)의 분해(分解)가 완만(緩慢)하며 분해평형점(分解平衡點)에서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높고 저위답토양(低位畓土壤)은 유기물(有機物)의 분해(分解)가 급속(急速)하며 분해평형점(分解平衡點)에 함량(含量)이 낮다. 2) 저위답토양(低位畓土壤)은 근(根)의 발육(發育)이 조해(阻害)되며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에 의(依)하여 더욱 조해(阻害)된다. 유기물(有機物)의 분해(分解)로 생기는 gas가 근(根) 주변(周邊)에 피막(被膜)을 형성(形成)하는데 기인(起因)하는것 같으며 이 결과(結果)로 T/R 값이 심히 떨어진다. 3) 품종간(品種間) 근부(根部) 환경(環境)에 반응력(反應力)이 현저하여 수원(水原) 82호(號)는 농림(農林) 25호(號) 보다 고위답(高位畓) 토양(土壤)에서는 흡수력(吸收力)이 강(强)하고 저위답토양(低位畓土壤)에서는 흡수력(吸收力)이 떨어진다. 4) 유기물(有機物) 첨가(添加)로 가리흡수(加里吸收)가 조해(阻害)되고 저위답토양(低位畓土壤)에서는 인산흡수(燐酸吸收)가 가장 조해(阻害)되는데 저위답토양(低位畓土壤)에 유기물(有機物)을 첨가(添加)하여 이 두 인자(因子)가 공역(共役)할 경우 양분흡수조해(養分吸收阻害)는 상승적(相乘的)으로 야기(惹起)된다. 5) 근(根)의 활력(活力)과 근수(根數), 지상부(地上部) 생육량(生育量) 및 근부생육량(根部生育量)과의 상관(相關)은 각각(各各) r=0.839, r=0.834, r=0.948로 모두 1%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고 지상부(地上部)와 근부(根部)의 N.P.K. 흡수량(吸收量)과도 각각(各各), r=0.751, r=0.670, r=0.769, r=0.729, r=0.742, r=0.815로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며 근부(根部)의 생육량(生育量) 및 가리(加里)의 흡수량(吸收量)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가 가장 크다. 6) 근부환경(根部環境)이 나쁜곳에서는 좋은 곳에서보다 수도지상부(水稻地上部)의 질소농도(窒素濃度)는 낮고 근부(根部)는 훨씬 높아서 ammonia 과잉(過剩)의 해독(害毒)이 예상되며 인산(燐酸)과 가리(加里)는 양부위(兩部位)에서 모두 심히 낮으며 특히 간(稈)과 엽초(葉稍)에서 더욱 낮았다. 7) 근부환경(根部環境)이 나쁜 곳에서는 좋은곳에서보다 지상부(地上部)의 당(糖)과 전분(澱粉) 및 전탄수화물(全炭水化物) 함량(含量)이 높은데 반(反)하여 근부(根部)에서는 낮은데 환원당(還元糖)에서 더욱 심하여 근부(根部)에서는 당(糖)의 이상소모(異常消耗)가 예상되고 지상부(地上部)에서는 이에 대비하여 당(糖) 대사(代謝)가 해당방향(解糖方向)으로 주력(注力)함이 예상된다. 8) 근부환경(根部環境)이 나쁜곳에서는 근부(根部)에서 지상부(地上部)로 양분(養分)의 전류(轉流)가 극히 나빴다. 9) 근부환경(根部環境)이 나쁜곳에서는 황산(黃酸)의 함유율(含有率)이 높은데 엽신(葉身)에서 특히 높아 황산(黃酸) Ion에 의(依)한 ATP 생성(生成) 조해(阻害)가 예상되고 $P_2O_5/S$ 값은 고위답(高位畓) 유기물무시용구(有機物無施用區)의 1/5에 불과(不過)하여 P-S 비(比)가 관련된것 같다. 10) 근부환경(根部環境)이 나쁜곳에서는 지상부(地上部) 철(鐵)의 함량(含量)에는 차이(差異)가 없으나 Mn 함량(含量)은 상당히 적은 편이어서 $Fe/P_2O_5$ 값이 큰데 간(稈)과 엽초(葉稍)에서 7배(倍)나 되어 철인산(鐵燐酸) 침전에 의(依)한 통도(通導)의 기계적(機械的) 장해(障害)가 예상된다. 11) 토양중(土壤中) 조해성(阻害性) 인자(因子)는 유기물(有機物) 분해속도(分解速度)가 빠른 경우 악화(惡化)되어 근부기능기(根部機能基)를 조해(阻害)하여 양분(養分)을 조지(阻止)하고 체내(體內) Ion 평형(平衡)(N. P. K. S. Fe)을 교란(攪亂) 이상대사(異常代謝)(해당작용(解糖作用) A. T. P 생성약화(生成弱化))를 일으켜 전류(轉流)가 방해(防害)되고 따라서 각부위(各部位)의 생육(生育)의 불균형(不均衡)을 초래(招來)하는 연발생(連發生) 조해작용(阻害作用)이 순환가속(順換加速)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12) 고위답(高位畓)에서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근분포(根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저위답(低位畓)은 표토부분(表土部分)에 분포(分布)하나 고위답(高位畓)에서는 심토(心土)에 분포비율(分布比率)이 많다. 질소(窒素) 무시용(無施用)은 지하(地下) 0~7cm 부위(部位)에 분포(分布) 비율(比率)이 크고 질소(窒素)를 시용(施用)하면 7~14cm 부위(部位)에 근분포(根分布) 비율(比率)이 많다. 전(全) 근중(根重)은 저위답(低位畓)에 비(比)하여 고위답(高位畓)에 많고 질소(窒素) 무시용(無施用)에 비(比)해서 질소(窒素) 10a 12kg 시용(施用)에서 많았다.

  • PDF

작약근(芍藥根)의 박피정도(剝皮程度)와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품질(品質) 특성(特性) (Effect of Peeling Degrees and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기재;유오종;박준홍;박소득;김세종;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1-216
    • /
    • 1997
  • 작약(芍藥) 수확후(收穫後) 조제과정(調製過程)과 관련하여 양질의 약재(藥材)를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박피정도(剝皮程度)에 따라 건조방법(乾燥方法)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약은 수확후 수세(水洗)만 거치고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무박피가 박피기로 기계박피한 것에 비하여 박피노력절감 및 15%의 수량 손실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작약(芍藥) 건조시(乾燥時) 수분함량 14%에 도달하기 위한 소요시간은 무박피가 박피보다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3. 주성분(主成分) Paeoniflorin 함량은 표피에 5.11%, 피층에 3.28%로 껍질부분에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무박피가 Paeoniflorin함량이 유실없이 그대로 보존되어 박피작약보다 높았고, 건조방법 간에는 상온 음건이 가장 높았다. 4. 박피작약(剝皮芍藥)의 경우 건조근(乾燥根)의 색상은 연탄불 건조후 열풍건조가 가장 양호하여 연 탄훈증 효과가 현저하였으나 무박피작약(無剝皮芍藥)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므로 열풍만으로도 건조가 가능하였다.

  • PDF

코레우스의 삽목시 배양액과 생장조절제처리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trient Concentra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Rooting in Coleus Stem Cuttings)

  • 조은희;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7-283
    • /
    • 1997
  • 본 실험은 초화류인 코레우스의 삽목시 삽수의 발근율을 높이기 위하여 배양액과 NAA 및 IBA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모래삽목보다는 배양액을 이용한 것이 발근소요일이나 생육면에서 월등히 효과적이었다. 특히 배양액 농도는 일본 원시표준액보다는 표준액의 1/4 배양액 농도에서 재배한 것이 가장 발근이 빨리 되었으므로 삽목초기에는 낮은 양액농도가 경제적일 것으로 보인다. 생장조절제의 농도별로는 NAA나 IBA 0.01mg/$\ell$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IBA처리보다는 NAA처리시의 발근소요일이 더 짧았다. 또한 NAA 및 IBA을 처리한 수돗물을 사웅하여 삽수의 발근을 유도할 경우 NAA와 IBA를 삽수에 침지처리한 후 수돗물에 재배하는 것보다 발근에 효과적이었으며, 무엽지삽보다는 유엽지삽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배양액이나 생장조절제를 단용처리한 것보다 배양액과 생장조절물질의 혼용처리가 발근소요일이 단축되었고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 PDF

Morphological Difference of Rice Seedling Grown under Different Dissolved Oxygen Conditions

  • Won Jong Gun;Choi Jang Soo;Ahn Deck Jong;Lee Seung Phil;Lee Sang Chul;Yoshida Tomohik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84-288
    • /
    • 2004
  • The response of dissolved oxygen (DO) concentrations caused significant change in root number, root length, coleoptile length, shoot length and leaf age of seedlings. The genotypic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O also highly significant (P<0.01) for all of the seedling traits. The number and length of root were extremely inhibited at the condition of $0.39\pm0.09$ DO concentration. While the coleoptile elongated markedly in the lowest DO concentrations, the shoot did not develop. The root growth was improved slightly at the $1.39\pm0.27mg L^{-1}$,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genotypes at these two low DO concentrations. As the DO concentration become higher, the growth of root and shoot was improved remarkably. Root number, root length and shoot leng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0\;and\;30^{\circ}C$ in DO rich and normal conditions, the development of those traits were apparently accelerated in high water temperature, however those traits of seedlings in DO deficienc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temperatures except for shoot length. On the other hand the coleoptile length was not affected by the stagnant water temperature; it was stimulated by the low DO concentration. The competition of DO was greater as the seedling density was increased in the stagnant water, therefore the seedlings grown under high density have long and white coleoptiles, and the growth of roots and shoots was retarded severely.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처치를 통한 치근 형성유도 (GUIDANCE OF ROOT FORMATION BY FORCED ERUPTION FOR INVER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 장은영;임광호;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44-651
    • /
    • 1999
  • 미맹출된 상악 중절치는 비교적 흔히 임상에서 8세이상의 아동에서 관찰될 수 있다. 맹출실패의 원인으로는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육이 언급되는데 아직 명백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이는 외상이나 선행유치의 치근단 감염으로 유발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외상의 병력이 없어 유치의 치근단 감염에 의한 상악 중절치의 매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치아의 맹출과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에 의한 지속적인 치근 발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외과적 노출과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견인이 치료방법으로 시행될수 있다. 본 증례는 역위 매복으로 인해 치근의 만곡이 예상되며 치근의 발육이 지연된 치아를 치근형성 전 조기에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견인에 의해 정상적인 맹출과 인접치와 유사한 치근 발육이 얻어졌다. 하지만 향후 완전한 치근 형성 유무에 대한 주기적인 검진과 부착치은 획득을 위한 치주적인 처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Biodiversity, Spore Density and Root Coloniz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t Expressway Cut-slopes in Korea

  • Lee, Kyung Joon;Lee, Kyu Hwa;Tamolang-Castillo, Evangeline;Budi, Sri Wilars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5호
    • /
    • pp.539-54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biodiversity, spore density and root colonization in relation to site ages at expressway cut-slopes in Korea. Stabilization of exposed surface involved soil amendments and spraying seed mixture of turf grasses and/or nitrogen-fixing shrub species. Eighteen sites were selected with varying ages (2 to 16 years). Soil samples collected in October from each site were analyzed for fungal diversity and spore counts. Fine root samples from the plants were assayed for fungal colonization. Of the total 37 plants inspected in the sites, 26 species had endomycorrhizal colonization with an average root colonization rate of 18%, and with a range from 1 to 67%. The average endomycorrhizal colonization rate of initially introduced Festuca arundinacea which became the most dominant grass in later stage showed 22.8%, while that of Lespedeza bicolor which became the most dominant woody species were 21.6%. Naturally-invading Robinia pseudoacacia showed higher colonization rate in the old sites. Although site ag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fungal diversity, the root colonization rates of initially introduced plants decreased with the site aging, while those of invading plants increased with aging of the sites.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pH, N, and P cont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pore density, root colonization and endomycorrhizal species diversity. A total of forty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species in seven genera were identified. Of the 40 species, Acaulospora lacunosa, Glomus aggregatum, Glomus constrictum, Scutellospora erythropa, and Acaulospora spinosa were the fiv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decreasing order.

Effect of White,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Extracts on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Muscle Cells and Proliferation of β-cells

  • Cha, Ji-Young;Park, Eun-Young;Kim, Ha-Jung;Park, Sang-Un;Nam, Ki-Yeul;Choi, Jae-Eul;Jun, Hee-Soo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92-197
    • /
    • 2010
  •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at $\beta$-cell dysfunction and insulin resist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white,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on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muscle cells and proliferation of $\beta$-cells. Extracts of the fine roots of Taegeuk ginseng significantly enhanced glucose uptake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te ginseng lateral root extracts enhanced insulin-induced glucose uptake. Proliferation of $\beta$-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aegeuk ginseng main and lateral root extracts and by red ginseng lateral and fine root extracts. In conclusion, different root parts of white, Taegeuk, and red ginseng differentially affect glucose uptake and pancreatic $\beta$-cell proliferation.

Study on Chemical Components of the Aerial Parts and the Roots of Buckwheat

  • Ham, Young-Min;Hyun, Ho-Bong;Yoon, Seon-A;Yoon, Weon-Jong;Yang, Woo-Sam;Oh, Dae-J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61-61
    • /
    • 2018
  • Buckwheat is a important vegetable in asia for long time. Recently, Buckwheat has attracted attention to its potential for health benefit and especially as a gluten-free food. Conventional buckwheat studies have focused on seeds and sprouts, but we studied the components of the aerial parts and roots of buckwheat after harvesting. Therefore,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be a basic study to expand the application range of buckwheat plants which are discarded after harvesting. The ethanol extracts of aerial part and roots of buckwheat (Daegwan, Yangjul) were analys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Rutin was detected as the major compound in Daegwan, Yangjul aerial part and Daegwan root extracts, except yangjul root extract. So we analysed Yangjul root extract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and then obtained the informations about the components in Yangjul root extract. Yangjul root extract was analysed by $LC-MS^n$ in negative ESI mode within the range m/z 150-2000 amu. Totally, four components was found in the Yangjul root extract and obtained the fragments ion patterns of ones. Further study, we have to confirm the structure of components in Yangjul root extract and try to more biological activity test the components for development as useful food or cosmetic ingredients.

  • PDF

세신의 재배년차에 따른 근수량 및 정유성분 함량변화 (Changes of Root Yield and Essential Oil Content by Cultivated Years in Asaram siebold Mio)

  • 김동원;송영주;최영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0
    • /
    • 1999
  • 야생 약초인 세신의 재배년수별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구명하고 주요 정유 성분인 methyleugenol과 safrole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세신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품질의 규격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93년부터∼1997년까지 5년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년차별 생육은 재배년수가 경과함에 따라 지하부 생육의 신장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근장의 크기에 따라 수량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2. 10a당 건근 수량은 3년재배(127kg/10a)에 비하여 4년재배 191%, 5년재배 259% 순으로 증수되었다. 3. 재배기간별 정유함량은 재배 기간에 따라 3년 5%, 4년 4.5%, 5년은 4.3% 순이었다. 4. 주요 정유 조성성분인 methyleugenol은 재배년수가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safrole함량은 점차 감소하여 methyleugenol과 safrole 함량은 서로 상반된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