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DANCE OF ROOT FORMATION BY FORCED ERUPTION FOR INVER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처치를 통한 치근 형성유도

  • Jang, 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im, Kw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장은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임광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1.30

Abstract

It is a relatively common clinical experience to see an unerup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This phenomenon is apparent at the dental age of almost eight years and over. Among the possible cause for failure of eruption, ectopic development of the tooth germ is mentioned. This is not fully understood but trauma or periapical imflammation of primary predecessors is accepted. The case with no history of trauma may be impacted by the periapical imflammation of primary predecessors. For bringing into the tooth eruption and the continued normal root developement by the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there are early considered of surgical invention and orthodontic traction with removable appliance. We reported successful treatment for inver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proper eruption and normal root developement by forced eruption using removable appliance. But further observation will be required to evaluate the final root developement state and amount of keratinized attachment gingiva.

미맹출된 상악 중절치는 비교적 흔히 임상에서 8세이상의 아동에서 관찰될 수 있다. 맹출실패의 원인으로는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육이 언급되는데 아직 명백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이는 외상이나 선행유치의 치근단 감염으로 유발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외상의 병력이 없어 유치의 치근단 감염에 의한 상악 중절치의 매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치아의 맹출과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에 의한 지속적인 치근 발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외과적 노출과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견인이 치료방법으로 시행될수 있다. 본 증례는 역위 매복으로 인해 치근의 만곡이 예상되며 치근의 발육이 지연된 치아를 치근형성 전 조기에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견인에 의해 정상적인 맹출과 인접치와 유사한 치근 발육이 얻어졌다. 하지만 향후 완전한 치근 형성 유무에 대한 주기적인 검진과 부착치은 획득을 위한 치주적인 처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