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ck-fill zon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9초

단층 및 파쇄대가 분포하는 Fill Dam 기초의 보강대책 (Geotechnical treatment for the fault and shattered zones under core foundation of fill dam)

  • 김연중;최명달
    • 지질공학
    • /
    • 제2권1호
    • /
    • pp.19-35
    • /
    • 1992
  • 화강편마암을 지반으로 하는 지역의 Fill Dam 코어기초에 3-12m 폭의 단층대와 40여m 폭의 단층파쇄대가 신선한 암반사이에 분포하며, 이들 각각의 암반의 탄성특성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평판재하시험 및 시추공내 변형시험 등의 현장 원위치 시험결가 신선한 암반의 변형계수는 $42,000~168,000kg/\textrm{cm}^2$의 범위를 보이나 단층대의 변형계수는 $963~2,204kg/\textrm{cm}^2$, 파쇄대에서는 $1,238~2,098kg/\textrm{cm}^2$의 범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큰 차이의 변형계수값을 갖는 단층대 및 단층파쇄대와 신선한 암반 사이에는 댐 성토 후 부등침하가 예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강을 위하여 증분식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FEADAM 84를 이용한 지반과 보강에 따른 변위 등을 검토하였다. 이때 구성된 유한요소망은 지표조사 및 시추조사에서 확인된 불연속면이 기하학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였다. 유한요소 해석을 통하여 계산된 단층대와 신선한 암반 사이의 보강 전 부등침하량은 약 6cm에 달하며, 콘크리트 치환 보강 후에는 0.5cm 이내로 나타났다.

  • PDF

필댐 제체 재료의 동적 물성치 평가 : I. 현장 전단파 속도 주상도 (Estimation of Dynamic Material Properties for Fill Dam : I. In-situ Shearwave Velocity Profiles)

  • 김종태;김동수;박헌준;권혁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2호
    • /
    • pp.69-85
    • /
    • 2009
  • 댐체의 내진설계를 위해서 각 부분의 정확한 동적 물성치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댐체의 내진 설계시 현장 시험결과 없이 가정 물성을 이용하거나 문헌연구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장 실험을 통하여 댐체의 전단파속도로 대표되는 동적물성치를 효율적으로 획득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면파 탐사 기법을 적용하여 락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의 전단파 속도를 도출하였다. 대표적인 표면파 기법인 SASW기법과 새롭게 개발된 HWAW 기법을 이용하여 6개 댐에서 수행하여 전단파 속도를 획득하였으며, 기존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댐체의 깊이별 전단파 속도의 D/B와 구속압-전단파속도 관계식를 구축하였다. 획득한 D/B와 관계식은 기존에 사용되었던 Sawada와 Takahashi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사력댐에서의 표면파 기법 적용성 평가 연구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surface wave method to rock fill dams)

  • 김종태;김동수;박헌준;방은석;김성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1호
    • /
    • pp.9-23
    • /
    • 2010
  • 댐의 심벽부 및 사력부의 전단파 속도는 내진응답해석 시 매우 중요한 물성이나, 일반적으로 현장 시험을 통해 획득하는 사례가 많지 않았다. 시추공 탐사법의 경우 댐 체의 안정성 및 보안상의 이유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고, 표면파 기법은 열악한 현장조건 때문에 적용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영의 내진응답해석 시 현장 시험결과 없이 물성을 가정하여 적용하거나 문헌 자료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력댐에서의 전단파 속도의 획득 및 신뢰성 있는 전단파 속도 측정 기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존하는 'M' 댐의 마루 및 사면에서 표면파 기법을 수행하였으며, 표변파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댐체 각 부의 전단파 속도를 도출하였으며, 수치해석과 탄성파 탐사 및 표면파 기법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사력댐에서의 표면파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표면파 탐사 기법을 이용한 락필댐 사력재의 전단파 속도 획득 (Evaluation of Vs profile of Rock-fill Zone using Seismic Surface wave Method)

  • 김종태;박헌준;김경섭;김동수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101-106
    • /
    • 2008
  • 댐체의 내진설계를 위해서 각 부분의 정확한 동적 물성치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국내 댐의 내진설계의 경우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물성치 산정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댐 전체 부피의 80%이상을 차지하며 강성유지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사력존의 경우, 현장 시험결과없이 가정 물성을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장 실험을 통하여 사력재의 전단파속도로 대표되는 동적물성치를 효율적으로 획득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면파 탐사 기법을 사력부에 적용하여 락필댐 사력재의 전단파 속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표적인 표면파 기법인 SASW기법과 새롭게 개발된 HWAW 기법을 이용하여 2개 댐의 사력부에서 시험을 수행하여 전단파 속도를 획득하였으며,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향후D/B 제안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물성치 변동성에 의한 불확실성이 고려된 국내 필댐 사력부를 위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 모델 (Determination of Shear Wave Velocity Profile Model Considering Uncertainty Caused by Spatial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y in Rockfill Zone of Fill Dam)

  • 박형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29-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필댐 사력부 전단파 속도 주상도 결정시 물성치 변동성에 의해 발생 가능한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평가된 불확실성이 반영된 국내 필댐 사력부를 위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가된 불확실성을 바탕으로 국내 필댐 사력부에 존재 가능한 깊이-전단파 속도 곡선 400개를 결정하고, 이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깊이별 전단파 속도 상한과 하한 곡선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곡선을 바탕으로 Burger 모델 형태의 깊이별 전단파 속도 상한과 하한 주상도 모델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모델은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awada-Takahashi 모델과 비교하였다.

표면파 탐사에 의한 필댐 사력죤의 전단파속도 산정 연구 (Study on Shear Wave Velocity of Fill Dam rock zone using Surface Wave Method)

  • 권혁기;신은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필댐 사력죤의 전단파속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필댐 사력죤의 특성상 주로 표면에서 비파괴적으로 수행되는 표면파 탐사 기법을 적용하여 전단파속도를 도출 하였다. 대표적 표면파 기법인 SASW기법과 새롭게 개발된 HWAW 기법을 이용하여 6개댐 사력죤에서 시험을 통해 심도별 전단파속도와 구속압에 따른 전단파속도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기존에 많이 사용되었던 Sawada와 Takahashi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표면차수벽 석괴댐의 물리탐사 경향 분석 (Aanalysis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ndency of C.F.R.D)

  • 김재홍;신동훈;임은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871-876
    • /
    • 2010
  • When surface Concrete Face Rock fill Dam constructs than existent center core type rock fill dam, it is much prevalent form in domestic these day by quality control of that is profitable and weather condition etc. of coreZone. C.F.R.D is less research about seismic survey(Refractional Seismic Prospectin, Resistivity Prospecting) of levee body than fill dam. Thus as C.F.R.D seismic survey is less, safety of that consist is short most development flue is high reason. That is not checking target of minuteness safety diagnosis and so on by short operation period. Wish to analyze inquiry incidental and difference with center core type dam and acquire C.F.R.D preservation administration upper necessary inquiry condition forward hereafter.

  • PDF

조립재료에 대한 MD 구성모델 캘리브레이션 연구 (A Study of MD Constitutive Model Calibration for Coarse-grained Soils)

  • 최창호;신동훈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63-72
    • /
    • 2013
  • 필댐의 안정성은 댐 축조시 주재료로 활용되는 조립재료인 암석존(rock zone)의 공학적 거동에 의존하므로 조립재료인 rockfill 재료의 전단강도 뿐만 아니라 하중-변형 특성(stress-strain characteristics)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댐 제체의 거동을 예측하고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조립재료의 거동을 모사하기에 적합한 구성모델을 활용하기 위한 물성값 분석 및 모델 파라미터의 캘리브레이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항댐 제체 재료에 대한 대형삼축압축 실험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조립재료에 대한 구성모델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였다. 부항댐 제체 재료를 고밀도와 저밀도로 구분하여 시료를 제작하고 다양한 구속압으로 수행된 실험결과와 캘리브레이션 된 구성모델 시물레이션 결과를 상호 비교한 결과 MD 모델이 조립재료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신뢰성 기반 해석을 위한 국내 필댐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 결정 (Determination of Coefficient of Variation of Shear Wave Velocity in Fill Dam for Reliability Based Analysis)

  • 박형춘;오현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31-39
    • /
    • 2020
  • 지진 하중 하에서 필댐의 거동은 필댐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또는 전단 탄성계수) 분포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필댐의 전단파 속도 분포는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댐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는 일반적으로 필댐 내부에서 공간에 따른 변동성을 가지며, 댐에서 허용되는 한정된 수의 실험에서는 이러한 재료 물성치 공간 변동성을 결정론적으로 규명할 수 없다. 따라서 실험에서 얻어진 전단파 속도 주상도는 불확실성을 가지게 되며, 재료 물성치의 불확실성은 해석결과에 불확실성을 야기하게 된다. 신뢰성 기반 해석은 이러한 재료 물성치 불확실성에 의한 해석결과의 영향을 평가 할 수 있다. 신뢰성 기반 해석에서는 변동계수를 통해 재료 물성치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불확실성에 의한 영향을 해석에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 구성 재료의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COV, Coefficient Of Variation)를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에서 표면파 시험을 통해 결정된 전단파 속도 주상도들에 대해 Hwang and Park(2013)에 의해 개발된 랜덤 전단파 속도 주상도 생성 기법을 적용하여 국내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에 존재 가능한 전단파 속도 주상도 600개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통계처리를 통하여 필댐 심벽부와 사력부의 깊이별 전단파 속도 변동계수를 결정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와 무수보링을 이용한 국내 필 댐 코어존의 건전성 평가 (Structural-Health Evaluation for Core Zones of Fill Dams in Korea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No Water Boring Method)

  • 이상종;임희대;박동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8호
    • /
    • pp.21-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 3개 필 댐의 ECRD(Earth Core Rock-fill Dams) 댐체의 코어존에 대한 건전성 평가를 목적으로 2차원 및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대부분의 점토재로 축조된 코어존은 $50{\sim}400ohm{\cdot}m$ 이하의 저비저항대로 나타났으며, 그 하부의 기반암은 $1,000ohm{\cdot}m$ 이상의 고비저항대로 나타났다. 또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에 의하면 코어존의 연약대로 판단되는 $100ohm{\cdot}m$ 이하의 저비저항대의 공간적인 분포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코어존의 토질시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조사와 토질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시추조사 시 굴착수에 의한 댐체 내의 구조적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수보링 방법을 택하였다. 그 결과 저비저항대로 나타나는 코어존의 시료는 모두 통일분류상 CL에 해당되며, 일부 저비저항대에서는 함수비가 높은 포화상태의 시료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CRD 댐체 코어존의 건전성 평가에 전기비저항 탐사와 무수보링의 적용성은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