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bank filtrat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창원시 대산면 강변여과수의 수질과 낙동강 수질의 관련성 연구

  • 장성;함세영;김형수;차용훈;정재열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51-454
    • /
    • 2004
  • The study aims to assess the quality of bank filtrate in relation to streamflow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tream. Turbidity, pH,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DO) of Nakdong River and riverbank filtrat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verbank filtrate were measured from irregularly different seven pumping wells every day. Auto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he qualities of stream water and bank filtrated water. Temperature, pH and DO of streamflow shows strong linearity and long memory effect, indicating the effect of seasonal air temperature and rainy season. Temperature of riverbank filtrate shows weak linearity and weak memory, indicating differently from the trend of stream temperature. Turbidity of steramflow shows strong linearity and long memory effect, while turbidity of riverbank filtrate indicates weak linearity and weak memory. Cross-correlation analysis shows low relation between turbidity, pH, temperature and DO of riverbank filtrate and those of streamflow. Turbidity of streamflow was largely affected by the streamflow rate, showing a similar trend with autocorrelation function of streamflow rate. The turbidity of riverbank filtrate has a lag time of 25 hours. This indicates that turbidity of streamflow in a dry season has very low effect on the turbidity of riverbank filtrate, and a high turbidity of the stream in a rainy season has a fairly low effect on the turbidity of riverbank filtrate.

  • PDF

창원시 대산면 취수 부지의 지하수와 낙동강의 수리화학적 특성 비교

  • 함세영;정재열;이정환;김형수;류상훈;김태원;김문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07-311
    • /
    • 2006
  • Chem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or Nakdong River water and riverbank filtrate in Daesan-Myeon area, Changwon City in 2005. Chemical components show different trends in wet season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and dry season (the other months). The patterns of chemical variation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Chemical components belonging Type I, as Na and $HCO_3$, show decrease in concentration during wet season and increase in concentration during dry season for both Nakdong River water and the riverbank filtrate. Chemical components belonging Type II, as Mg and $SO_4$, show decrease in concentration during wet season and increase in concentration during dry season for Nakdong River water while show the opposite trend for the riverbank filtrate. Chemical components belonging Type III, as Cl and $NO_3$, show increase in concentration from the start of wet season and high concentration during dry season for both Nakdong River water and the riverbank filtrate. Chemical components belonging Type IV, as Fe, show increase in concentration during wet season and decrease in concentration during dry season for both Nakdong River water and the riverbank filtrate.

  • PDF

강변여과수 취수에 따른 지하수위의 계절적인 변동 특성

  • 정재열;함세영;이정환;김형수;류상훈;김태원;김문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68-71
    • /
    • 2006
  • Seasonal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by pumping amount and stream discharge at the riverbank filtrate site adjacent to the Nakdong River in Daesan-Myeon was characterized.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shows increase in wet season (June, July, August and September) and decrease in dry season (the other months). Seasonal variation of pumping amount shows similar trend to the groundwater fluctuation due to higher consumption of potable water in summer. The relation of specific capacity, Nakdong River and pumping quantity was analyzed. The logarithmic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capacity and the stream discharge gives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0.96.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increase of stream discharge rate reduces the rate of drawdown in the pumping area in wet season.

  • PDF

A KINETIC ANALYSIS OF ORGANIC RELEASE FROM THE AQUIFER SOIL IN RIVERBANK/BED FILTRATION

  • Ahn, Kyu-Hong;Moon, Hyung-Joon;Kim, Seung-H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199-204
    • /
    • 2005
  •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organic release from the aquifer soil in riverbank and/or riverbed filtration via a kinetic approach. Organic release was assumed as a reaction of first order regarding concentrations in both soil and water phases. The reaction rate constants were obtained by comparing the model predictions with the experimental data of organic release reaction and the equilibrium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between water and soil phases. Results show that the organic release from the aquifer soil was not negligible under normal conditions in Korea reaching 4.7mg-COD/L-day. This indicates that manganese and iron start to be released from aquifer soil in the riverbank filtration in the middle reach of the Nakdong river if the travel time of the filtrate exceeds about 5 days. It was also seen that the COD of the soil organic matter was 0.89mg-COD/mg-OM and that 65% of the COD was BOD5.

창원시 대산면 강변여과수 취수부지 주변의 지하수 유동 모델링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a Riverbank Filtration Area, Deasan-Myeon, Changwon City)

  • 함세영;정재열;김형수;한정상;차용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1호
    • /
    • pp.67-78
    • /
    • 2005
  • 선진국에서 강변여과수 개발은 15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90년대에 강변여과수에 대한 조 사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낙동강 하류는 지리적으로 상수원수인 표류수 의 수질이 상류지역보다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 창원시 대산면 낙동강 본류 하 안의 강변여과수 취수장 주변지역의 물수지분석과 지하수 모델링을 하였다. 물수지분석 결과, 강수량 1,251.32 mm에 대하여, 지표유출량은 153.49 mm, 증발산량은 723.95 mm, 기저유출량은 127.63 mm(강수량의 10.20%), 지하수 함양 량 245.26 mm(강수량의 19.68%)이다. 지하수모델링에 의하면, 강변여과수 취수시에 낙동강으로부터의 유입량은 취수 량의 65%, 배후지의 지하수 유입량은 13%, 낙동강에 평행하게 강변대수층의 동측과 서측으로부터 유입량은 22%이 다. 입자 추적 모델링에 의하면, 취수정을 중심으로 낙동강쪽으로부터 입자의 이동은 50일 만에 약 100 m이고, 배후 지로부터는 100일 만에 약 100 m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변여과에서 여과거리에 따른 페놀, 1,4-다이옥산 그리고 다이아지논의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r of Phenol, 1,4-dioxane and Diazinon along the Travel Distance in Riverbank Filtration)

  • 최홍규;정일화;정관수;이영득;김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36-441
    • /
    • 2013
  • 복류수와 천변여과지 그리고 점차 여과거리가 짧아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강변/하상여과 등이 가지는 미량오염물에 대한 저항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5 m 길이의 모래칼럼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우리나라 하상의 토양은 유기물 함량이 상당하여 염소이온의 토양표면 흡착이 비교적 활발함 알 수 있었다. 페놀은 칼럼의 여과수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1,4-다이옥산과 다이아지논은 하상토양과 흡착반응을 일으키면서 이동하며, 2.5 m의 이동과정에서 1,4-다이옥산의 첨두농도는 유입농도의 약 40%로 그 농도가 감소하였고, 다이아지논의 첨두농도는 약 60%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규모 설비에서는 여과거리가 5 m 보다 더 길기 때문에 첨두농도의 감소효과는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되었다.

창원시 대산면 강변충적층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level Fluctuation in Riverside Alluvium of Daesan-myeon, Changwon City)

  • 정재열;함세영;김형수;손건태;차용훈;장성;백건하
    • 지질공학
    • /
    • 제13권4호
    • /
    • pp.457-47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창원시 대산면 강변여과수 취수장 부지의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하수위 및 하천수위 변동과 하천-대수층간의 상호작용은 장기적으로 취수정의 적정양수량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2003년 2월부터 2003년 10월까지의 지하수위 분포를 보면 지하수위는 대체로 배후지쪽에서 낙동강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으며, 수두경사는 0.008 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취수정의 양수와 강수량에 의한 낙동강 수위 상승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동방향이 역전되기도 한다. 낙동강 수위는 강수량 변화에 따라 해수면 기준으로 0 ∼ 10m를 보인다. 6개 지하수 관측공(DS1, DS2. DS3, DS4, DS6, DS7)에 대해서 자기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1그룹(DS1호공과 DS3호공)은 강한 선형성과 기억효과를 보여주고, 2그룹(DS2호공과 DS6호공)은 중간정도의 선형성과 기억효과를 나타내며. 3그룹(DS4호공과 DS7호공)은 가장 약한 선형성과 기억효과를 보였다. 1그룹은 낙동강 수위변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고, 2그룹은 낙동강수위와 취수량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3그룹은 취수량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홍수터여과에서 집수관의 최적설계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Design of Horizontal Collectors in Floodplain Filtration)

  • 피성민;김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30-437
    • /
    • 2012
  • 홍수터여과에서 집수관의 설계에 대한 자료를 얻기 위해 실험실 규모의 모래통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집수관의 직경, 모래의 투수계수, 집수정의 수위 그리고 지표에서의 원수공급률 등의 변화에 따른 집수관에서의 수두분포와 지하수면 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수치해석코드에 적용하여 집수관 각 부위에서의 여과수 유입률도 파악하였다. 이들 자료로부터 홍수터여과에서 집수정의 운영수위를 낮춤으로 인한 부작용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적절한 회수능력에 비해 원수공급률이 큰 경우 대수층에서의 수평방향의 흐름이 발달하여 수평집수관의 통수능 부족을 보완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여과수의 토양중 이동거리가 늘어나므로 여과수의 수질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고, 따라서 홍수터여과에서는 강변/하상여과에서보다 더 작은 직경의 수평집수관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수두손실중 수평집수관에서의 수두손실이 차지하는 비율이 수평집수관 출구유속과 비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면 홍수터여과에서 수평집수관의 설계와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