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bed chang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5초

실시간 beacon DGPS를 이용한 도시하천의 하상변화 파악 (Identifying the Change of Urban Stream Bed Using Real-time Beacon DGPS)

  • 이규석;이상화;신동훈;안승만;서병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56
    • /
    • 2003
  • The urban stream include the channel and its adjacent banks, or hillslopes and it consists of various landscape elements. The riparian ecosystem is important to people. Its water is extracted for irrigation and drinking supplies. Biodiversity and many wetland species are protected here. The riparian ecosystem is diverse and needs to be preserved well. So,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features of the urban stream accurately to figure out the change of the riparian ecosystem. However, the traditional Electronic Distance Measurement(EDM) surveying is difficult to measure the curvilinear features of the stream - e, g, angle, curve. The beacon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DGPS) can handle to measure the curvilinear sh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hange of the river bed in urban stream accurately using realtime beacon DGPS, and ultimately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change of the river ecosystem.

하천 횡단구조물에 의한 하상변동 예측 - 행정중심복합도시 주요 하천구간을 중심으로 - (A Riverbed Change Prediction by River-Crossing Structure -Focused on the Major River Reaches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 연규성;정상만;윤찬영;이주헌;신광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07-11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 및 주변지역의 금강과 미호천 일부 구간을 대상으로 하상변동의 실태분석과 수위유지 시설 설치에 따른 장기 예측을 실시하였다. 1988년, 2002년 및 2007년의 횡단자료를 이용하여 대상구간의 종방향 하상변동 실태를 분석한 결과 금강과 미호천 구간 모두 2007년 최심하상고는 1988년에 비해 심한 저하가 발생된 반면 2002년에 비해서는 미소한 변화가 발생되었다. 수위유지시설 설치에 따른 하상변동 장기 예측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모형인 HEC-RAS 4.0 모형을 적용하였다. 고정상 모형의 수행을 통하여 수면고를 보정(calibration)하였으며, 1988년과 2002년 횡단자료를 사용하여 이동상 모형에서의 검정(verification)을 실시하였다. 2007년을 기준으로 하여 2017년까지 향후 10년간 수위유지시설의 설치 높이에 따른 시나리오별 하상변동을 예측한 결과 미호천 대상구간은 그 영향이 미미하였으나 금강 대상구간은 수위유지시설의 높이가 높을수록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위유지시설의 설치 높이가 7 m일 경우 금강 대상구간은 설치하지 않을 경우보다 미호천합류점 상류부근에서 1.59 m의 퇴적이 발생할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수위유지시설 하류부근에서 1.98 m의 침식이 발생할 것으로 모의되었다.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예측 (Prediction of River Bed Variation using Numerical Model)

  • 안상진;윤석환;백남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693-701
    • /
    • 2002
  • 본 연구는 보청천 하도형태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1차원 유사이동 모형인 HEC-6 모형과 준 2차원 유사이동 모형인 GSTARS 2.1 모형을 적용하였다. GSTARS 2.1 모형에 포함된 Ackers와 White공식, Engelund와 Hanson공식 그리고 Yang공식의 세 가지 유사이송공식이 1993년부터 2000년까지의 하상재료에 대해 모의되었으며, 그 결과 Ackers와 White공식이 실측치에 근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원 유사이동 모형인 HEC-6모형과 GSTARS 2.1 모형과의 장기 하상변동 분석에 있어서 두 모형 모두 하천변화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이 실측치의 하상변동 경향의 결과와 유사했다. 실측치와의 횡단면 변화의 비교에서 GSTARS 2.1 모형이 HEC-6모형의 모의결과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감입곡류 지형과 암질 차이가 하상 퇴적물 입경 및 형상에 미친 영향: 공릉천 중상류 구간을 사례로 (The Effects of Incised Meandering Valley and Lithological Differences on the Grain Size and Shape of Channel Bed Materials: A Case Study of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Gongneungcheon River)

  • 진훈;김종욱;한민;변종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26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ain size, lithological type, and shape of coarse bed materials in the upper and middle reaches of Gongneungcheon River. For this purpose, 11 sampling points were selected along the river. For 100 samples of the coarse bed materials at each point, three axes (long, intermediate, and short) of samples were measured, and their lithological types were also identified. By measuring grain size, the sphericity and flatness of samples were calculated. Finally, every particle was classified into four shape categories: sphere, disc, blade and rod. We found that the grain size in incised meandering reach is the largest. This is mainly due to the supply of coarse materials from steep valley sides along the meandering channel. According to the lithological analysis, all samples were identified as granite, gneiss and schist, and quartz. The proportion of granite decreased, whereas the proportion of gneiss and schist increased downstream. These patterns indicate that the bedrock distribution within the study area accounts for the downstream lithological variation of coarse bed materials. With regard to the grain shape, sphericity gradually decreased while flatness gradually increased downstream. In the case of the shape classification, unlike the general downstream pattern of grain shape, the proportion of the sphere type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blade type increased downstream. Such a reversal change in the downstream direction turns out to be determined by the lithology (such as foliation, bedding and the pattern of weathering) of coarse bed materials.

CCHE2D를 이용한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 -창녕함안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on Hydraulic Structure using CCHE2D : Focusing on Changnyong-Haman)

  • 안정민;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7호
    • /
    • pp.707-717
    • /
    • 2013
  • 충적하천에서 발생하는 하천의 침식과 퇴적은 흐름을 통해 발생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침식 및 퇴적과 관련된 수치모형을 이용한 분석은 하천에 존재하는 보와 같은 수리구조물들의 유사이송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보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낙동강수계에 위치해 있는 창녕함안보를 대상으로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2차원 모형은 CCHE2D를 이용하여 유사이송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다기능보 상 하류 구간 12 km를 대상으로 침식과 퇴적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2003년 태풍 "매미"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 보정 하였으며, 모의결과와 관측값의 비교를 통하여 전체 모의구간에서 신뢰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함안창녕보가 건설된 이후 태풍사상에 의한 하상변동은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상변동은 유사의 재분배를 야기하였다. 보와 같은 수리구조물들은 하도내 흐름과 유속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세굴과 퇴적 문제를 심화시켰다.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 변화 (Change in Stream Morphology after Gongneung Weir 2 Removal)

  • 최성욱;이혜은;윤병만;우효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425-432
    • /
    • 2009
  • 공릉2보는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하여 1970년대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인근 지역의 토지 이용의 변화로 용도를 다하여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다. 공릉2보는 높이 1.5 m의 소형 보 이며, 공릉천의 하상재료는 가는 모래에서 가는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공릉2보는 2006년 4월 14일 완전히 철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 철거 전 후의 하상재료의 입도분포, 종단 하상고, 그리고 단면형의 변화가 고찰되었다. 보를 포함한 1 km 구간에서 순 퇴적량이 산정되었으며, 결과로부터 평형하상을 유도하는 유사이동 과정이 초반 45일동안 무척 빠르게 진행되었음을 보였다.

한강 신곡수중보 하류 하구부에서의 선박 통행 가능성 (Possibility of Inland Navigation Downstream of the Singok Weir in the Han River)

  • 김원;반채웅;김명환;이두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1호
    • /
    • pp.20-30
    • /
    • 2023
  • 본 연구는 한강 하구 신곡수중보에서 공릉천 합류점까지를 대상으로 선박 통행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측량자료와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강 하구부에서 250 - 400 ton급 선박의 운행 가능일수는 연간 119일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00 - 1,500 ton급 선박의 경우 연간 47일 정도만 운행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구간에서는 대규모 홍수가 없는 상황에도 강한 조석에 의해 하상이 지속적으로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수로 확보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안정적인 선박 통행을 위해서는 수로 확보 가능성과 안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도 층구조 이력조사를 통한 하도내 국지퇴적 특성 분석 (Study on Characteristics for Local Deposit of Sediment by Surveying River Bed's Layer History in High Berm of River Channel)

  • 류영훈;이삼희;안원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0호
    • /
    • pp.883-891
    • /
    • 2010
  • 최근 기후변화에 기인하는 유출특성 변화와 유역 및 하도 환경 변화에 따라 하도형태가 바뀌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하도내 국지퇴적이 전국에 걸쳐 중 대하천에서 야기되고 있다. 이 가운데 고수부지 형태로 나타나는 복단면 하도에서 홍수터가 일방향적 성장과 저수로의 저하현상이 현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홍수량 관리는 물론 하천생태관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에서의 하도내 국지퇴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국지퇴적 현상이 사실로 확인되었으며, 하천관리상 현실적인 당면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동안 하상변동특성에 관한 주된 관심사는 저수로에 분급된 하상재료를 토대로 저수로 하상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 고수부지(홍수터)의 표층 퇴적이 지피상황 변화와 상호연관성이 높으며, 결국 하도전체의 하상변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하도내 국지퇴적의 대표적인 장소인 한강하구 고수부지에서의 집중조사 결과에 의하면, 고수부지에 퇴적하는 미세립토가 하천 식생의 정착 및 성장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수림화를 동반하는 육역화가 진행되어 홍수 소통에 장애 요소는 물론 건전한 하천생태계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위적인 보 수위조절로 인한 영산강 하도 지형 변화 (Changes in the Riverbed Landforms Due to the Artificial Regulation of Water Level in the Yeongsan River)

  • 임영신;김진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9
    • /
    • 2020
  • A river bed which is submerged in water at high flow and becomes part of the river at low flow, serves as a bridge between the river and the land. The channel bar creates a unique ecosystem with vegetation adapted to the particular environment and the water pool forms a wetland tha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nvironment. To evaluate anthropogenic impacts on the river bed in the Middle Yeongsangang River, the fluvial landforms in the stream channel were analyzed using multi-temporal remotely-sensed images. In the aerial photograph of 2005 take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large weirs, oxbow lakes, mid-channel bars, point bars, and natural wetlands between the artificial levees were identified. Multiple bars divided the flow of stream water to cause the braided pattern in a particular sec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eungchon weir, aerial photographs of 2013 and 2015 revealed that most of the fluvial landforms disappeared due to the dredging of its riverbed and water level control(maintenance at 7.5El.m). Sentinel-2 images were analyz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weir gate. Change detection was performed with the near infrared and shortwave infrared spectral bands to effectively distinguish water surfaces from land. As a result, water surface area of the main stream of the Yeongsangang River decreased by 40% from 1.144km2 to 0.692km2. A large mid-channel bar that has been deposited upstream of the weir was exposed during low water levels, which shows the obvious influence of weir on the river bed. Newly formed unvegetated point bars that were deposited on the inside of a meander bend were identified from the remotely sensed images. As the maintenance period of the weir gate opening was extended, various habitats were created by creating pools and riffles around the channel bars. Considering the ecological and hydrological functions of the river bed,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e in bar areas through weir gate opening will reduce the artificial interference effect of the weir.

The Increment Of The Local Scour Depth At Piers By Constructing The Bridge Between Existing Bridges

  • Choi, Gye-Woon;Kim, Gee-Hyoung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59-168
    • /
    • 2000
  • In this paper, the increment of the local scour depth at piers by constructing the bridge between existing bridges is examined through the experiments in which 5 piers in the non-cohesive bed material in the experimental flume were installed. In the experiments the maximum distance of 25 times of the pier length and the maximum distortion width of 8 times of the pier width were utilized.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ies, it was indicated that low flow,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flow having low Froude numbers, the maximum bed configuration change is obtained when the piers are installed in the straight line in the flor direction without any distortion. However, In the high flow,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flow having high Froude numbers, the maximum bed configuration change is obtained when the piers are installed with some distortion from the flow direction. The influence of the bed configuration by interaction between bridge piers is changed depending upon the Froude numbers, the distance between piers, and the distortion width between adjacent bridge piers. Also, because the scour patterns are affected by the bed configuration, the maximum scour should be increased by about 60% compared to that in a single pier if the interaction between bridge piers exis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aximum scour depth at bridge piers predicted by applying the existing equations should be increased if the interaction between bridge piers exist. Those cases are found when new bridges are constructed successively in the river in the urba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