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discharge

검색결과 1,268건 처리시간 0.03초

홍수시 한강 하류부의 하상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iver-Bed Variation from Goan to Indogyo due to Flood in Han River)

  • 박정응;김경수
    • 물과 미래
    • /
    • 제24권2호
    • /
    • pp.109-119
    • /
    • 1991
  • 댐 건설로 인하여 상류로 부터 토사공급이 중단 상태인 하천에 있어서의 하상변동이나 유사 이송 현상은 상당히 복잡한 물리적 현상이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수치모형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에 대한 수치해석방법으로 정류개념보다는 점변부정류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홍수기록과 하상변동에 관한 자료가 비교적 풍부한 한강하류부에 이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유량변화(홍수기록, 특정계획유량) 및 하상고 변동(기존, 계획)을 모의 하였다.

  • PDF

섬진강 댐 하류 구간에서의 하천 생태유량 산정 (Estimation of River Ecological Flow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Seomjingang Dam)

  • 배정아;이찬주;김진관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3
    • /
    • 2021
  •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sufficient river maintenance flow for the ecosystem, since the ecosystem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dam is greatly affected by the stream maintenance flow from the dam. However, the amount of discharge from the Seomjingang Dam is decreasing year by year, this study estimated the ecological flow required for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Seomjingang Dam, which is known as the habitat of the endangered Acheilognathus somjinensis, in order to secure the river flow of the Seomjingang Dam. For this purpose, the proper discharge was calculated using the PHABSIM model, which is a hydrological survey and physical habitat simulation method, and the proper discharge of other fish species were also comprehensively review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urrent river maintenance flow at the Seomjingang Dam partially satisfies the ecological maintenance flow including the Acheilognathus somjinensis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Seomjingang Dam. However, this is recognized as the minimum discharge to maintain the ecology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Seomjingang Dam, and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secure larger river maintenance flow than this. This study can contribute the determination of the river maintenance flow of the Seomjingang Dam by proposing the river maintenance flow considering the fish habitat environment in the river.

태화강 하류의 적조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Red Tide Blooms in the Lower reaches of Taehwa River)

  • 조홍제;윤영배;강호선;윤성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3-462
    • /
    • 2011
  • This study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cause of red tide at 10 and 30 days antecedental rainfall, stage and discharge in the Taehwa River, tidal data of Ulsan port, also, it was analyzed variation of red tide population, salinity, BOD, COD, T-N, T-P at S1, S2 each point. Most of the red tide in the Taehwa River occurred by provision of proper nutrients with antecedent, the proximity between discharge and low-flow capacity, and stage and discharge of stabilized condition after the sea water was inflowed by maximum tide difference. Red tide population is not nearly related to the change of salinity, the Taehwa River seems specific features of Non-coastal rivers downstream, because red tide was occurred when salinity quite low-end condition.

권역별 충적층 지하수의 해안 유출량 분포 (Distribution of Coastal Ground Water Discharge from Surficial Aquifers of Major River Districts)

  • 한수영;홍성훈;박남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1-6
    • /
    • 2006
  • 낙동강, 섬진강, 영산강, 그리고 금강 권역의 충적 대수층에서 해안선을 통하여 바다로 유출되는 지하수 해안유출량이 평가되었다. 증반산, 하천 유출과 같은 수문학적 주요 인자와 양적으로 비교하면 지하수 해안유출량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아니다. 하지만 수문순환 과정에서 최하류라는 특징에 의하여 지하수 해안 유출의 개발은 환경적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며, 현재 물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해안지역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수자원이다. 유출량 평가를 위하여 기 조사된 지하수위 조사 자료와 Darcy의 법칙에 기반을 둔 평가방법을 이용하였다. 주요 변수의 산정에는 해안선의 복잡성과 해수쐐기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 4개 하천 권역의 지하수 해안 유출량은 연간 18억$m^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권역별 강수총량의 2.3%에 이르는 수치이다. 지하수 개발 측면에서 는 낙동강 권역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산천의 유사특성 및 장기하상변동 예측 (Sediment Properties and Long-term Bed Change of Munsancheon)

  • 이재근;안재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29-341
    • /
    • 2011
  •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문산천의 유사량을 직접 실측하여 유사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수치모형에 적용하여 장기적인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직접 실측된 유사랑을 이용하여 유량-총유사량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기존의 추정공식을 통해 산정된 총유사량과의 비교를 통해 적절한 유사량 추정방법을 평가하였다. 실측에 의한 문산천의 연간 총유사량은 5,478ton/year, 비유사량은 29.23ton/$km^2$/year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공식과 비교한 결과 Ackers & White공식이 실측치와 매우 유사한 값을 산정하였다. 실측된 유사량 및 지형, 수문자료를 입력변수로 하여 HEC-6와 GSTARS 모형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HEC-6 모형이 문산천의 장기하상변동 예측에 적합한 모형으로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본 연구의 장기하상변동 예측에 적용하였다. HEC-6 모형을 이용한 장기하상변동 예측결과 문산천의 경우 하류부에서는 지속적으로 퇴적이 나타나고 상류부에서는 전반적으로 침식이 발생하였으며, 향후 20년 후의 하상상태로 안정화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상 변동량은 20년동안 1m 이내로 유의한 수준에 있다. 그러나 감조부의 영향을 받는 하류부에서는 유출구로부터 2,000m~7,000m 사이의 구간에 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향후 하천관리계획 수립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낙동강 상류 유역에서의 유량변동에 따른 수질의 통계학적 분석 (A Stochastic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with Discharge Variation in Upper Nakdong River Basin)

  • 최현구;한건연;최승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6호
    • /
    • pp.833-84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pollutant loading of upper Nakdong River basi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discharge. The correlation between discharge and pollutant concentration and between discharge and pollutant loading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respectively. Regression equation of pollutant loading and discharge was represented as $L=_aQ^b$ in which L = pollutant loading(kg/day), and b = regression coefficients, and Q = discharge($m^3/da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study area was in range of 0.8428 to 0.9935. The SS was the highest b value 1.2856~1.7730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because the pollutant loading of SS was much affected by flow. Additionally, the applicability of the regression equations was verified by comparing predicted results with observed valu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verification was in range of 0.8983 to 0.9987 and NSEC was in range of 0.7018 to 0.9960. Therefore the pollutant loading was good correlated with discharge. The main resul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design of environment fundamental facilities.

소양강댐 방류량에 따른 하천의 수리특성 분석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 by Soyanggang Dam Discharge)

  • 전계원;전병희;이호진;오채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15-718
    • /
    • 2008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s by dam discharge change affecting in the river environment. To do this, survey variability of the Soyanggang dam discharge. We analyze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rivers by the discharge using HEC-RAS model(linear dimension) and RMA2 model(two-dimension) and show the results.

  • PDF

부산-김해 강우조건이 낙동강 유역 하구둑 실방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san-Gimhae Precipitation Conditions on the Real Barrage Discharge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윤한삼;윤창호;유창일;박정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9-174
    • /
    • 2010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 하천 방류 특성을 해석함에 있어 보다 정도 높은 기상 자료를 선정할 목적으로 1996년부터 2008년까지(13년간) 얻어진 하구둑 실방류량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산과 김해간의 기상자료(강우량 등)를 사용하여 그 차이를 계산하였다. Tank model을 사용하여 추산된 하천유량은 실제 하구둑 방류량과 비교하였고, 하구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와 방류량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총 13년동안의 낙동강 하구둑으로부터 총방류량은 $272,653.3{\times}10^6\;m^3$/month으로 산출되었다. 방류량이 가장 많은 달은 7월이 $73,212.9{\times}10^6\;m^3$/month(26.9%)으로 가장 많고 8월이 22.0%, 9월이 18.9%의 순이었다. 최종적으로 낙동강 하구역의 유입하천유량을 산정함에 있어 부산 기상자료를 사용할 경우 실제 김해지역의 결과보다 하천유출량이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STARS 모형을 이용한 한강 상류부에서 유량변동에 따른 하상변동 민감도 분석 (Sensitive analysis of river geometry under various flow conditions in South Han River using GSTARS model)

  • 안정규;이종문;김영도;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4호
    • /
    • pp.347-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유량의 변화에 따른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장기간, 장구간에 걸친 하상변동 양상을 예측하였다. 준2차원 수치모형인 GSTARS를 이용하여 남한강의 하상변동 모의에 적합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홍수위에 대한 하상변동 모의결과와 실측치에 대한 결정계수, 평균제곱근 오차, 모형효율성계수를 비교한 결과, 모의에 적합한 결과를 나타내어 GSTARS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수류튜브를 활용하여 개수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류튜브 3개일 때 하상변동이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너무 많은 수류튜브는 깊이만 깊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유사량 공식으로는 Ackers and White공식, Yang 공식이 적용성이 좋았다. 유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하도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며 기후변화로 인해 유량이 늘어날수록 하도가 깊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Tank모델에 의한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예측 (Seasonal Variation Estimation of Inflow Pollutant Loads of Yeong-il Bay by using Tank Model)

  • 이인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3-71
    • /
    • 2003
  • 형산강 유역의 일별 하천유량과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한 유역유출모형(강우-유출모형)인 Tank 모델을 구축하여 영일만으로 유입하는 오염부하량의 계절별 변동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산정된 영일만으로 유입되는 형산강의 연평균 하천유량은 878.34×10/sup 6/㎥/year로 형산강 유역면적내 연평균 총강우량의 약 73%로 나타났다. 영일만내 유입되는 연평균 오염부하량은 각각 15.11 ton-COD/year, 23.24 ton-SS/year, 10.65 ton-TN/year, 0.54 ton-Tp/year로 산정되었다 또한 계절별 변동특성으로 하천유량이 증가하는 하계 6~7월과 춘계 10월에 유입오염부하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일만내로 유입하는 주된 오염부하원은 형산강 하구인근에 위치한 포항시와 포항공단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영일만의 효율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오염부하원으로부터의 오염부하량 저감대책수립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