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iver basins

Search Result 43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ravity Survey of the Tertiary Basin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동남부에 분포하는 제3기 퇴적분지에 대한 중력탐사)

  • Min, Kyung Duck;Bang, Sung Soo;Hyun, Yong H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25 no.2
    • /
    • pp.167-177
    • /
    • 1992
  • The gravity measurement has been conducted at 53 and 34 stations with an interval of 1~1.5 km along the national roads of about 47 km and 34 km running from Duksungri to Yangpori and from Angangri to Byungpori, Kyungsangbookdo, respectively. The subsurface geology and geologic structure of Tertiary Pohang and Janggi basins along two survey lines are interpreted quantitatively by applying Fourier series and Talwani methods for Bouguer gravity anomaly. The depths of Conrad discontinuity vary from 11.8 to 12.5 km and 11.5 to 13.2 km along the survey lines between Duksungri and Yangpori, and Angangri and Byungpori, respectively. The depths of pre-Cambrian Gneiss complex underneath Kyungsang Supergroup vary from 3.8 to 4.2 km and 3.8 to 4.6 km along the survey lines between Duksungri and Yangpori, and Angangri and Byungpori, respectively. Massive granite bodies which are not exposed along the survey line between Duksungri and Yangpori are distributed on a large scale at the subsurface between Duksungri and Ochun, and Daegokri and Yangpori. Along the survey line between Angangri and Byungpori, it is exposed at Angangri, and extends underneath Chungrimdong, Pohang city. Andesite is distributed on a small scale underneath Pohang city and Ochun. The thicknesses of Tertiary Yonil and Janggi Groups are 0.2~0.9 km and 0.1~0.5 km, respectively. The Tuffaceous rocks which are the lowest formation of Tertiary sedimentary rocks are distributed with the thickness of 0.2 km at the surface and between Kyungsang Supergroup and Yonil or Janggi Groups. The Yonil and Janggi Groups are in fault contact by a fault running through Ochun and Chungrimdong, Pohang city. Two other faults are newly found near Heunghae-eup and Hyungsan river.

  • PDF

Parameters Study of Linear Reservoir Models for Rainfall-Runoff Response (강우-유출에 대한 선형저수지 모형의 매개변수 연구)

  • Seo, Yeong-Je;Kim, Jin-Gyu;Park, Hyeon-J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6
    • /
    • pp.711-720
    • /
    • 1999
  • In this study, a various rainfall-runoff modelling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to the runoff response of flood hydrograph in three experimental watershed of the western part of korea. Mathematical models of runoff response also have been studied including linear system theory based on modeling techniques. Eight models were operated at the five water level gauging stations and the parameters of each model were computed by the Rosenbrock's hill climbing method to minimize the objective function. For the parameter verification of the models, a different complex rainfall-runoff event was selected in the same of the three river basins and derived IUH of the each model could be calibrated. Furthermore multiple regressions of the logarithmic transformation method between model parameters and catchment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e selected five station.

  • PDF

Extraction of Snowmelt Parameters using NOAA AVHRR and GIS Technique for 5 River Basins in South Korea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 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3 no.2
    • /
    • pp.119-124
    • /
    • 2007
  • The few observed data related snowmelt was the major cause of difficulty in extracting snowmelt factors such as snow cover area, snow depth and depletion curve. Remote sensing technology is very effective to observe a wide area.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used remote sensing for snow observation, there were a few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Snow cover maps were derived from NOAA AVHRR images for the winter seasons from 1997 to 2006. Distributed snow depth was mapped by overlapping between snow cover maps and interpolated snowfall maps from 69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Model parameters (Snow Cover Area: SCA, snow depth, Snow cover Depletion Curve: SDC) building for 5 major watersheds in South Korea. Especially SDC is important parameter of snowmelt model.

Environmental Changes and Embankment Addition of Reservoir Gonggeomji, Sangju City between Late Silla- and Early Goryeo dynasty (나말여초 상주 공검지의 환경 변화와 제방 증축)

  • Hwang, Sangill;Kim, Jeong-yun;Yoon, Soon-Oc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1 no.4
    • /
    • pp.165-180
    • /
    • 2014
  • Embankment of reservoir Gonggeomji in Sangju has been continuously added since the construction. After approximately 1220 yr BP of late Unified Silla dynasty when the embankment was firstly constructed, there were piled up four times with an interval of approximately 50 years until ca. 980 yr BP of late Goryeo dynasty. The first two times were relatively piled up high, while another two times were made slightly high. After addition of embankment, water level gradually became low and the quality also bad with increase of benthic- and epipitic diatoms than planktonic ones. Shoaling of reservoir was probably resulted from severe vegetation destructions on the small river basins flowing into Gonggeomji. After approximately 980 yr BP, water level rose during approximately 50 years due to precipitation increase.

A Study on the Yongsan River Basins Water Management Plan Using the Models(HSPF) (유역모형(HSPF)을 이용한 영산강 유역 수질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Cho, MoonSoo;Yoon, Chun Gyung;Ryu, Je ha;Kim, Jinwon;Lee,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85-385
    • /
    • 2015
  • 정부는 1998년부터 4대강 물관리종합대책을 세워 하천의 수질보전을 위한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 중 대유역 중심의 수질개선대책은 전체적인 큰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며, 이러한 대유역의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유역의 수질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영산강유역에서는 도시하수종말처리장, 산업폐수처리장과 같은 점오염원 관리시설은 대폭 확충되었으나 하천과 호소의 수질은 크게 향상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중 소유역에 대한 효율적인 수질개선대책이 없기 때문이며, 특히 중 소유역 내 비점오염원 물질이 대량으로 하천 및 호소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소유역중심의 관리가 필요하며, 소유역 중심의 수질보전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대상 소유역에 대한 조사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여기에는 관거(우수관, 오수관) 시스템 조사와 하수의 차집조사가 관계되며, 또한 소유역내의 오염원(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및 잠재적인 오염원조사 등과 같은 광범위한 조사 작업이 필요하다. 한편 유역모형 중 HSPF모형은 모형의 적용에 필요한 방대한 자료와 노력을 최소화 되도록 개발되어 왔으며, HSPF는 광범위한 수문 수질과정을 장기 모의가 가능하도록 일련의 구조화된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복잡한 모형일수록 자료관리에 많은 노력이 요구되나 HSPF는 자료를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Time Series Management System에 가깝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HSPF 모델은 유역내의 토지이용에 따른 특정 오염물질의 비점오염 부하를 계산하며, 강우에 따른 물의 흐름을 하천의 수질오염모의와 연결시키는데, 광범위한 유역조건에 적용이 가능하고, 각 소유역을 구분하여 비교가 가능하므로 소유역별 관리방안을 비교하는데 가장 적합한 모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역모형(HSPF)을 이용하여 영산강 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중 소유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중 소유역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조사 분석하여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유역 관리계획을 수립해 봄으로써 중 소유역 수질관리에 지침서로서 역할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Evaluation of Hydrologic Effect of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by Juam Dam Water Conveyance Using SWAT (SWAT 모형을 이용한 주암댐 도수에 따른 영산강-섬진강 유역 수문 영향 평가)

  • Kim, Yong Won;Lee, Ji Wa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6-116
    • /
    • 2019
  • 2018년 환경부에 따르면, 영산강은 5대강 중 수질이 가장 열악하고 유량이 적어 수질개선이 어려우며 상류에 다목적댐이 없기 때문에 하천유지용수 확보가 어렵다고 보고 하였고, 섬진강은 생태 및 염해 피해 문제와 섬진강 유역의 수자원의 약 81%는 영산강과 동진강 및 남해로 공급되고 있어 이에 따른 용수 배분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을 보고했다. 이와 같은 수량문제는 두 개의 유역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유역에 위치한 도시지역들의 갈등 심화 및 두 개의 수계에 대한 미래 수자원 계획과 관리에 있어서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되어 영산강과 섬진강수계에 대한 물수지 분석을 통한 물수급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유역 ($3,371.4km^2$)과 섬진강유역($4,896.5km^2$)을 대상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모형을 이용하여 주암댐 도수에 따른 영산강유역과 섬진강유역의 수문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두 개의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각 유역을 표준단위 유역으로 구분 하였고, 기상자료와 섬진강 내 다목적댐 2개(섬진강댐, 주암댐)과 영산강 내 다기능 보 2개(승촌보, 죽산보)의 운영 자료와 국가 수자원관리 종합 정보 시스템(WAMIS)에서 관측 및 관리하고 있는 수문, 기상 자료와 도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암댐에서 방류하는 실제 도수유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SWAT 모형의 신뢰성 있는 수문과 수질 보정을 위해 영산강과 섬진강의 소유역 내 위치하는 다목적 댐 2개와 다기능 보 2개의 실측 방류량을 이용하여 댐과 보 운영모의를 하였으며, 댐 운영 자료와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검정 및 보정(2005~2017)을 실시하였다. 주암댐에서 도수하는 것을 모의하기 위해 영산강에서는 SWAT 모형 내에 있는 Inlet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유량을 유역 내 적용할 수 있도록 유역을 재구축 하여 실제 도수유량자료를 적용하였고 섬진강에서는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실제 도수유량 만큼을 제하고 방류 할 수 있도록 설정하여 모의기간(2005~2017)에 대해 주암댐도수에 따른 영산강 유역과 섬진강 유역의 수문 영향 평가를 실시하였다.

  • PD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building measures (수자원 통합관리를 위한 정보통신시스템 구축방안)

  • Yu, Se-Hwan;Jang, D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807-809
    • /
    • 2014
  • Individual dam water management is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all water-based analyzes, quantity, quality, and comprehensive disaster management as a way to analyze and change. K-water is mainly the four river basins, and multipurpose dams an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s realized, and suc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s also a user-centered development, dam management, so that you can perform and built electronically be.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s configured to manag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equipment controlling system lower sensor an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a field to store information, and to control the remote equipment capabilities. In this pape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sector bodeung da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best ways to learn about the system's security measures and systems to evaluate for weaknesses.

  • PDF

Relationship between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nd Cholangiocarcinoma in Korea

  • Kim, Hwa Sun;Nam, Ho-Woo;Ahn, Hye-Jin;Kim, Dongjae;Kim, Yeong H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60 no.4
    • /
    • pp.261-271
    • /
    • 2022
  •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clonorchiasis and cholangiocarcinoma (CCA), and their relationship in Korea during 2012-2020. Data were obtained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of Korea. Cluster, trend,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Gyeongsangnam-do and Seoul had the highest average number of cases (1,026 and 4,208) and adjusted rate (306 and 424) for clonorchiasis and CCA, respectively. The most likely clusters (MLC) for clonorchiasis and CCA were Busan/Gyeongsangnam-do/Ulsan/Daegu/Gyeongsangbuk-do (Relative Risk; RR=4.55, Likelihood Ratio; LLR=9,131.115) joint cluster and Seoul (RR=2.29, LLR=7,602.472), respectively. The MLC for clonorchiasis wa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while that for CCA was in the southern part. Clonorchiasis showed a decreasing trend in the southeastern districts, while increased in the southwestern districts. Cities in the central region had a decreasing trend, while the western districts had an increasing trend. In most adults (30-59), infection rate of clonorchiasi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until 2018, while thereafter increased, although not significant. CCA showed a sharply decreasing tendency. The incidence of clonorchiasis and CCA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general, the correlation was weak (r=0.39, P<0.001), but it was strongly positive around the 4 river basins (r=0.74, P<0.001). This study might provide an analytic basis for developing an effective system against clonorchiasis and CCA.

Act on the flood control plan for urban river basins (도시하천유역 침수피해대책법안의 주요 내용)

  • Kim, Sang U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22-422
    • /
    • 2023
  • 최근 발생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의 침수피해는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재산피해와 소중한 인명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피해가 발생된다.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높은 강우강도의 집중호우로부터 도시 피복의 불투수화나 부족한 우수유출저감시설로 인한 침투비율의 감소에 따른 유출량의 증대, 짧은 도달시간으로 인한 빠른 하천수위의 상승, 빠른 하천수위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되는 하수도의 만관에 따른 관수로화로 인한 역류 발생, 역류된 홍수류의 도시 내 저지대로의 유입, 최대 조위와 맞물려 발생되는 홍수류 배제의 어려움 등은 도시침수라는 결과를 제공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도시지역에서의 침수대책의 수립에 있어 과거와는 다른 특정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특히 도시침수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에 대한 개별적인 대책수립보다는 도시침수의 발생확률이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이러한 원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를 방어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행정안전부의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환경부의 특정하천유역치수계획 및 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기본으로 소하천정비기본계획, 하천기본계획 등 소관 부처를 달리하는 다양한 계획들을 수립하여 홍수로부터 귀중한 자산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계획들은 주로 홍수에 대비하고자 하는 특정 구조물의 설계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설계에는 항상 경제성의 개념이 수반되므로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자연재해의 발생에 대해서도 홍수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홍수예보 및 재난대응체계의 운용과 같은 비구조물적인 대책도 매우 중요하게 활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제 과거와는 달리 개별법에 의해 수립되는 각종 계획들을 특정공간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최적화하여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하나의 계획으로 수립될 필요가 있으며, 하천을 중심으로 시행되고 있는 홍수예보와 유사한 도시침수예보와 같은 비구조물적 대책의 기술적 제고와 시행의 확산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의된 「도시하천유역 침수피해방지대책법(안)」의 경과와 이 법률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내용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가 지향해야 할 도시지역의 침수피해에 어떻게 대응해나가야 하는지에 관해 살펴보았다.

  • PDF

The Application of Zooplankton Assemblage for the Evaluation of Aquatic Environments in Lentic Ecosystems (호소 생태계에서의 수환경 평가를 위한 동물플랑크톤 적용 연구)

  • Hyun-Woo Kim;Yu-Ji Heo;Kyung-Lak Lee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1
    • /
    • pp.83-93
    • /
    • 2023
  • This study compares the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organisms from pelagic regions, and considers particularly the trophic levels vs. zooplankton abundances and biomass.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three times from May to November 2022, at 30 temperate lakes and reservoirs, which belong to four different river basins. Th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biomass and species index were showed considerable spatial variation. The spatial pattern of rotifer abundance was similar to that of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hile there were not showed similar patterns of zooplankton biomass (㎍ L-1) in lentic ecosystems. The rotifer strongly dominated the zooplankton assemblage in smaller lentic system than that of larger. A total of 130 species of zooplankton were identified (83 rotifers, 34 cladocerans and 13 copepods). The total average of 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were 213.7±342.3 Ind. L-1 (n=129) and 1382.8±1850.4 ㎍ L-1, respectively. Total and average of zooplankton abundance were usually dominated by the rotifers (>56.9%), while those of zooplankton biomass were dominated by the cladocerans and copepods (>73.6%) in lentic ecosystems. Considering the Trophic State Index (TSI), the factors of zooplankton abundance and biomass were included in between meso- and eutrophic states(27 lakes, 90% of all). The mean abundance and biomass of zooplankton in eutrophic systems were higher than that of meso- and hypertrophic systems. From this result, we suggest that management strategy for the lentic ecosystem water environment has to be focused more on small-sized lakes and reservoirs, in terms of zooplankton assembl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