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 basin

검색결과 2,358건 처리시간 0.027초

GIS를 이용한 안양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Estimation of Pollution Load in Anyang Stream Basin Using GIS)

  • 최종욱;유병태;이민환;김건흥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3호
    • /
    • pp.1-9
    • /
    • 1999
  • In the estimation of pollution load in water basin, a data information has generally used from surveyed data.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was adopted to evaluate the amount of pollution load in Anyang stream basin which is one of the major tributaries in the Han river flows through urban area. The digital maps of administrative boundary, stream network, sub-basin, soil type, and land-use for spatial data as well as attribute data were generated. And the database of sub-basins and pollution source was structured to estimate pollution load in Anyang stream basin by an Arc/Info GIS.A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he pollution load of Mokgam-chun sub-basin was the highest amount. And that of Hagi-chun sub-basin and the fourth main stream sub-basin were also high amount in Anyang stream basin.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the pollution load generated from the upstream area in Kyunggi province was higher than that from downstream area in Seoul. Because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played very significant role in th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of the Anyang stream, an integrated approach to water quality management should be required for the sub-basins of high pollution load amount.

  • PDF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에 의한 유출해석 (Runoff Analysis Using the Discrete, Linear, Input-Output Model)

  • 곽기석;강인식;정연태;강주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59-866
    • /
    • 1994
  • 대부분의 중소규모 하천 유역에서는 수위 또는 유량 등의 실측자료가 빈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홍수시의 유출량을 정확히 추정하고,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적절한 대책을 세우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방에 위치한 온천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중소 하천 유역에 대한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1993년 6월부터 실측한 유출량 자료와 저류함수법에 의해 산정한 유효강우량을 사용하여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의 매개변수를 최소자승법과 상관함수법에 의해 추정하였다.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에 의한 유출 수문곡선은 실측 수문곡선을 잘 재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매개변수와 강우자료만을 사용하여 모의발생시킨 수문곡선 역시 실측 수문곡선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낙동강유역 시멘트혼합토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ed Sand of Nak-dong River)

  • 김영수;정우섭;석태용;임안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43-52
    • /
    • 2006
  • 최근 이상기후 및 집중호우로 인해 낙동강유역의 많은 지역이 재산 및 인명손실을 크게 입고 있다. 이러한 재해 대책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본댐공사시 가물막이댐으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CSG공법의 제방축조재료로서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낙동강 유역의 하상재료인 빈입도의 모래를 시멘트와 혼합한 시멘트혼합토의 강도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낙동강유역 2지점의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율을 2~8%까지 변화시키면서 다짐 및 CBR시험, 일축압축시험 그리고 중형삼축시험을 실시하여 시멘트혼합율과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탄성계수, 그리고 변형에 따른 응력의 특성등을 검토함으로서 제체재료의 적합성 검토, 설계 및 해석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지형학적 인자에 따른 설계홍수량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sign Flood Discharge Characteristics by Topographical Parameters)

  • 박기범;김교식;황성환;차상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82-1186
    • /
    • 2006
  • 하천유역에 있어 설계홍수량의 결정은 치수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유역의 대소와 중요도에 따라서 하천의 설계홍수량이 산정이 된다. 갈수록 홍수의 피해정도가 심해지고 홍수에 대한 방어의 중요성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현실에서 설계홍수량의 추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홍수량을 산정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강우량이다. 그러나 똑같은 강우량이라 할지라도 유역의 특성에 따라 산정되는 홍수량은 상이하게 된다. 유역의 특성이 홍수량의 산정에 있어 영향이 크다는 것은 선행 연구의 결과와 경험에 의하여 확인이 된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하천들이 각각의 유역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들과 산정된 설계홍수량의 관계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왕에 하천정비기본계획에 의해 산정된 설계홍수량과 지형인자들이 어떤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가에 대하여 연구하여 미계측유역이나 하천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중소하천 유역의 설계홍수량 추정에 있어 추가적인 정보의 제공측면에서 유역의 지형인자와 설계홍수량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 PDF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하천 유황의 해석 (Analysis of River Flow Change Based on Some Scenarios of Global Warming)

  • 신사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623-634
    • /
    • 2000
  • 온난화에 의한 하천유역의 수문응답(강우유출, 특히 일단위의 유황)의 변화양상을 수치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따른 온난화의 진행으로 야기되는 수문학적 평가는 많은 관측자료를 필요로 하며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장래의 기후를 예측하는 수단으로서 적정한 시나리오를 상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상정할 수 있는 시나리오 중 기온은 $0^{\circ}C$에서 $4.0^{\circ}C$까지 변화하며 강수량은 15%까지 증감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불확실성이 큰 지구온난화의 문제에 대하여 간단하면서 명확한 가정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대상 유역인 안동댐 유역에 대한 장래의 하천 유량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야기되는 강수량을 발생시켜 탱크모형에 의하여 일 유량을 모의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30년을이산화탄소 농도가 배증되는 시점($2{\times}CO_2$), 2010년, 2050년을 각각 $(1.5{\times}CO_2),\;(1.75{\times}CO_2),\;(2.5{\times}CO_2)$로 설정하였으며, 이 시기에 대한 하천유화의 해석 및 온난화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와의 비교검토를 실시하였다.

  • PDF

낙동강 유역에 위치한 폐수처리시설 최종방류수의 수질과 항생물질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Components and Antibiotics in the Final Effluent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박경덕;강동환;조원기;유훈선;윤연수;김병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57-870
    • /
    • 2020
  • In this study, the antibiotic components in the final effluent from the 12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located in the Nakdong River basin were investig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c matters, nutrients and antibiotics was analyzed. In the final efflu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hree sulfonamides antibiotics (sulfamethazine, sulfathiazole, sulfachlorpyridazine) and tetracyclines antibiotics (oxytetracycline, doxycycline) were detected. Sulfamethazine were detected at all points and ranged from 10.398 to 278.784 ng/L. Sulfathiazole were detected at 6 points (Andong, Gumi, Hapcheon, Miryang, Uiryeong, Haman), and ranged from 23.773 to 144.468 ng/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sulfathiazole and TSS, COD, TOC, NH3-N, NO2-N, and T-N components were high in the range of 0.73 to 0.9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ulfamethazine and T-N was 0.48,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rest of the water quality components was low.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ulfamethazine and sulfathiazole was 0.78.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sulfonamides antibiotics was hig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s antibiotics in the final effluent of 12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and the concentration of sulfathiazole increased with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한강과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기후 특성: I. 유역평균 시계열의 변동 (The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nthly Precipitation over Han- and Nakdong-river Basins: Part I. Variability of Area Averaged Time Series)

  • 백희정;권원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111-119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49년간 (1954-2002년) 한반도 기상 관측소 자료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의 유역평균 월강수량 시계열의 변동에 대한 기후특성을 분석하였다. 비록 두 유역의 연강수량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나 월별 변동 특성은 매우 유사하였다. 특히 4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감소 경향이 뚜렷하였고, 8월 유역평균 강수량은 증가 경향이 매우 뚜렷하였다. 또한 1970년 중반에 유역평균 월강수량의 변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NINO3 지수와 한강과 낙동강 유역평균 월강수량 편차와의 동시상관분석으로부터 유역평균 9월 강수량은 NINO3 지수와 지속적인 음의 상관을 보였고, 11월 유역평균 강수량과는 양의 상관이 크게 나타났다.

낙동강 유역 BOD, COD 및 TOC의 수문학적 플럭스 추정 (Estimating BOD, CDO and TOC Hydrologic Flux in Nakdong River Basin)

  • 이아연;박무종;조덕준;김상단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830-83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오염총량관리제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부하량 추정기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수정 TANK 모형을 통하여 8일 간격 유량자료의 1일 간격 유량자료로의 확장을 시행하여 유황곡선의 작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7변수 대수 선형 모형 적용 통한 BOD, COD 및 TOC 부하량 추정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적용의 일환으로, 낙동강유역의 BOD, COD 및 TOC 항목의 부하량 유황 곡선을 작성하여 전체적인 분포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부하량 유황곡선은 해당 지점의 현재 전체적인 수질현황을 확률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를 시각적으로 도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GIS를 이용한 SCS-CN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CS-CN Using GIS)

  • 조홍제;오준호;남병호;정경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4
    • /
    • 2004
  • GIS 활용을 위한 수치지도의 보급이 확대되고 위성영상분석 등 정밀한 자료의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하천유역의 수문해석에 대한 GIS 이용은 필수적이 되었다. SCS-CN법은 소유역 농경지를 대상으로 개발된 방법으로서 큰 유역이나 산지지역에 대한 적용에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 자연하천유역의 산지비율이 70% 이상이고 대부분 미계측 유역임을 감안할 때, 합리적인 기준이나 보완 없이 기존의 SCS-CN법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에서 강우의 손실이나 유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역경사를 고려한 SCS-CN 산정방법을 개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고, 기존의 면적가중평균 방법과 GIS를 이용한 분포형 SCS-CN 산정방법 그리고 유역경사를 고려한 분포형 SCS-CN 산정방법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중인 시험유역 설마천에 대한 적용결과, SCS-CN법에 의한 유효강우량 산정시 유역경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GIS 기반의 유역경사를 고려한 분포형 SCS-CN 산정방법이 산지하천유역의 유효강우량 산정방법으로 제안되었다.

  • PDF

수질오염총량제 시행 이후 낙동강수계 41개 지점의 BOD와 T-P의 목표수질과 초과율의 공간변화 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Variation of Target Water Quality and Excess Rate at 41 Stations in Nakdong River Basin afte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 조현경;곽은태;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6호
    • /
    • pp.97-10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patial variation of the target water quality criteria and excess rate in Nakdong river basin after the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For this, 41 total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were selected BOD and T-P data were collected from 2003 to 2019. The annual average water quality of BOD and T-P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target water quality for each stations by peroi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OD, Kumho A, Nakbon F, Namgang D, Miryang B, Wicheon B and Hoecheon A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criteria for two consecutive times. For T-P, Nakbon N, Naeseung B, Miryang A, Hwanggang A and Hoecheon A exceeded the target water quality criteria twice in a row. In the case of T-P, the target water quality excess rate was relatively low after the TMDLs implementation compared to before the TMDLs implementation. However, in the case of BO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arget water quality excess rate before and after TMDLs. As a result, the overall annual average water quality shows a decreasing trend, bu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water quality for the Nakdong river basin that exceed the target water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