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temperature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7초

김치발효에 미치는 온도 및 식염농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 민태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3-450
    • /
    • 1984
  • 온도와 식염농도를 달리하여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생화학적 및 미생물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김치의 적숙시기는 발효온도와 식염농도에 따라 달랐다. 김치발효는 저온, 고식염농도에서 보다, 고온 저식염 농도에서 더 빨리 진행되었고 김치의 비휘발성 유기산에 대한 휘발성 유기산의 비는 김치 적숙시기에 최대로 되었다가 김치가 시어지면서 감소되었다. 식염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 하여 숙성시킨 김치에서 Leu. mesenteroids, Lac. brevis, Lac. plantarum, Ped. cerevisiae, St. faecalis 및 산생성이 낮은 Lactobacilli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주 미생물은 Leu. mesenteroides이며, Lac. plantarum은 김치의 숙성보다는 산패와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 생균수는 발효초기에 급증하여 적숙기간에 최대로 되었다가, 그 이후 서서히 감소되었고, 호기성 세균과 사상균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계속 감소하였고, 효모는 $10^{\circ}C$ 전후의 온도와 고 식염농도에서 그 수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되었다.

  • PDF

등숙시기를 달리한 경우 Japonica 품종과 Indica ${\times}$ Japonica 품종의 광합성능력과 등숙과의 관계 - 실험 II. 등숙기간중 온도가 광합성능력과 등숙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the Photosynthetic Ability and Grain Filling of Japonica and Indica ${\times}$ Japonica Rice Varieties under Different Ripening Climates. Experiment II. Effects of air temperature on Photosynthetic Ability and Grain filling during Ripening period)

  • 권용웅;이석영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86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24-25
    • /
    • 1986
  • PDF

Chilling Responses of Chilli Pepper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to Low Temperature during Storage

  • Lim, Chae-Shin;An, Chul-Geon;Huh, Moo-Ryong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1-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ripeness stages on fruit quality of chilli pepper (cv. Nockgwang) during storage at 5, 7, and $10^{\circ}C$. Fruits at three ripeness stages were selected based on uniform fruit size and three maturities on peel color: S1 (fully developed fruit just before the onset of ripening), S2 (fruits in the onset of color change), and S3 (fruits in completely red in color). Lower temperature attributed to increase fruit weight loss (WL) and WL was higher in S2 than the other ripeness stages. The highest respiration rate and ethylene production was found at S2 fruit while those of fruit in green and red showed similar and remained lower level during storage. Electrolyte leakage (EL) was higher as storage temperature decreased. After 28 d storage, EL rates of fruits at $5^{\circ}C$ were 43, 36, and 17% in S1, S2, and S3 while those at $10^{\circ}C$ were 17, 19, and 1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at chilli pepper fruits are tended to lose more water at lower temperature partially associated with increased EL. Thus, threshold storage temperature must be considered for avoiding chilling during storage and for extending the storage life of fresh pepper fruits.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2보(第2報) 신미성분(辛味成分)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2) Changes in hot-taste component-)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29-34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의 추숙(追熟)에 따른 변동(變動)을 측정(測定). 고찰(考察)하였다. (1) 추숙중(追熟中)의 각(各) stage의 sample을 진공동결건조(眞空凍結乾燥)하므로서 생리작용(生理作用)을 정지(停止)시켜 capsaicinoid의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하였든 바 추숙(追熟)에 따라 줄곧 증가(增加)하였다. (2) capsaicin의 vanilly amine부(部)의 생합성과정(生合成過程)을 고찰(考察)하기 위하여 추숙(追熟)에 따른 phenylalanine 함량(含量) 과 PAL활성도(活性度)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므로서 capsaicin이 추숙(追熱)에 따라 서서(徐徐)히 생성(生成)되어 최종대사산물(最終代謝産物)로서 축적(蓄積)되어 나가는 것으로 추정(推定) 할 수 있었다. (3) lignin 양물질(樣物質)은 추숙(追熟)에 따라 capsaicinoid와 한가지로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4) polyphenol물질함량(物質含量)과 polyphenol oxidase 활성도(活性度)는 상온구(常溫區)보다 저온구(低溫區)가 높았다.

  • PDF

Ostwald Ripening Stability of Curcumin-Loaded MCT Nanoemulsion: Influence of Various Emulsifiers

  • Kim, Sun-Hyung;Ji, Yeun-Sun;Lee, Eui-Seok;Hong, Soon-Tae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89-295
    • /
    • 2016
  • Curcumin is a flavonoid found in the rhizome of the turmeric plant (Curcuma longa L.) and has recently attracted interest because it has numerous biological functions and therapeutic properties.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incorporate curcumin into medium-chain triglyceride (MCT) nanoemulsions (0.15 wt% curcumin, 10 wt% MCT oil, and 10 wt% emulsifiers) with various emulsifiers [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laurate (Tween-20), sorbitan monooleate (SM), and soy lecithin (SL)].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nanoemulsions including the Ostwald ripening st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initial droplet size was found to be 89.08 nm for the nanoemulsion with 10 wt% Tween-20 (control), and when Tween-20 was partially replaced with SM and SL, the size decreased: 73.43 nm with 4 wt% SM+6 wt% Tween-20 and 67.68 nm with 4 wt% SL+6 wt% Tween-20 (prepared at 15,000 psi). When the nanoemulsions were stored for 28 days at room temperature, the droplet size increased as the storage time increased. The largest increase was observed for the control nanoemulsion, followed by the 4 wt% SL+6 wt% Tween-20 and 4 wt% SM+6 wt% Tween-20 systems. The Turbiscan dispersion stability results strongly sup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roplet size and storage time. The time-dependent increase in droplet size was attributed to the Ostwald ripening phenomenon. Thus, the Ostwald ripening stability of curcumin-loaded MCT nanoemulsions with Tween-20 was considerably improved by partially replacing the Tween-20 with SM or SL. In addition, curcumin may have acted as an Ostwald ripening inhibitor.

수산에타놀법에 의한 $PbTiO_3$ 말의 합성 (Preparation of Lead Titanate Powders from Oxalates)

  • 최희락;이봉;문창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7-43
    • /
    • 2000
  • $PbTiO_3$ was prepared by addition of lead-tltanium mixed aqueous solution to an ethanol solution of oxalic acid. The influence of various ripening factors was invesiga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e mono-component system we studied the foramtion of $PbTiO_3$ phase with various ripening conditions. The $PbTiO_3$ phase formation was accelerated with the ripening time temperature and ultrasonic irradiation.

  • PDF

흑미 품종의 이앙기와 등숙기 온도 변화에 따른 품질 및 수량 변화 특성 구명 (Variation in Grain Quality and Yield of Black-colored Rice Affected by the Transplanting Time and Temperature during Ripening Stage)

  • 배현경;서종호;황정동;김상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63-69
    • /
    • 2019
  • 본 실험은 흑미 품종14종을 이용하여 남부지방에서 현미수량과 안토시아닌 함량을 동시에 고려한 적정 이앙시기 및 등숙온도(출수 후 30일간 평균온도)를 구명하기 위해 2014년~2017년 까지 4년간 밀양에서 실시하였다. 1. 최대 현미수량을 얻기 위한 흑미의 적정 이앙시기는 조생종의 경우 6월 20일, 중생종과 중만생종의 경우 6월 5일~6월 20일 사이였으며 적정 등숙온도는 $24{\sim}26^{\circ}C$였다. 2. 흑미의 기능성 성분인 안토시아닌은 이앙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하여 모든 흑미 품종에서 6월 30일에 이앙하였을 때 가장 높았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고품질 흑미 생산을 위한 적정 등숙온도는 $22{\sim}23^{\circ}C$였다. 3. 현미수량과 안토시아닌 함량을 동시에 고려한 안토시아닌 생산량은 이앙기 6월 30일, 등숙온도 $22{\sim}23^{\circ}C$에서 가장 높았다.

Rennin 및 Starter의 첨가(添加)가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ennin and/or Starter Addition on the Manufacture and Ripening of Soybean Cheeses)

  • 정재홍;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7권2호
    • /
    • pp.190-201
    • /
    • 1980
  • 대두(大豆) 추출물(抽出物)로부터 대두(大豆)치즈를 제조(製造)하기 위한 최적(最適) 조건(條件)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대두(大豆) 단백질(蛋白質)의 추출(抽出), 응고(凝固) 및 starter의 비교(比較) 시험(試驗) 등(等)을 수행(修行)하였고, 제품(製品)의 기호성(嗜好性) 향상(向上)을 위하여 skim milk와 미생물원(微生物原) 및 송아지원(原)의 rennin을 첨가(添加)한 경우, 숙성(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실험(實驗)하였다. 1. 대두추출(大豆抽出)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고형물(固形物) 및 단백질(蛋白質) 추출율(抽出率), curd의 수율(收率) 등을 고려(考慮)하여 가수량(加水量) 9배(倍), 추출온도(抽出溫度) $100^{\circ}C$, 추출기간(抽出時間) 10분(分)이었다. 2. 두유(豆乳)의 응고(凝固)를 위하여는 응고제(凝固劑)로서 sodium gluconate가 좋았고 젖산 발효(醱酵)에 의한(依)한 방법(方法)으로 S. thermophilus의 starter 5%의 접종(接種)이 가장 좋았다. 3. 대두(大豆)치즈의 제조(製造) 및 숙성과정(熟成過程)에 미치는 skim milk 및 rennin 첨가(添加)의 영향(影響)은 (1) curd의 형성시간(形成時間)은 rennin을 첨가(添加)하였을때 단축(短縮)되었으며, skim milk와 rennin을 병용(竝用)하였을 때 현저히 단축(短縮)되었고, 공시(供試)한 두 개(個)의 rennin 중(中)에서는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가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형성(形成)이 늦었다. (2) 수분함량(水分含量)의 변화(變化)에는 큰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며, 제품(製品)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미생물(微生物) rennet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높았다. (3) pH의 변화(變化)는 숙성초기(熟成初期)까지 급격(急激)히 저하(低下)되었고 그 이후(以後)에는 저하경향(低下傾向)이 완만(緩慢)하였으며,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치즈에서 전기간(全期間)을 통(通)하여 낮은 수준(水準)의 pH를 유지(維持)하였다. (4) 세균수(細菌數)는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 $10^8cells/g$의 수준(水準)으로 증가(增加)한 다음 숙성기간(熟成期間)에 계속(繼續) 감소(減少)하였고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월등(越等)히 높은 수준(水準)의 세균수(細菌數)가 측정(測定)되었다. (5) 숙성기간중(熟成期間中) 총질소(總窒素)의 함량(含量)은 변화(變化)되지 않았으나 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는 계속(繼續) 증가(增加)되었으며 이에 따라서 숙성률(熟成率)을 계산(計算)하면 skim milk를 첨가(添加)하여 제조(製造)한 치즈에서 또 rennin 첨가(添加)의 것에서 숙성률(熟成率)이 높았고 미생물원(微生物原)의 rennet 첨가(添加)에서 송아지원(原)의 것보다 높은 숙성률(熟成率)을 보임으로서 skim milk와 미생물(微生物) rennet 첨가(添加) 치즈에서 가장 높은 55%의 숙성률(熟成率)을 나타내었다.

  • PDF

등숙기 기상조건이 벼알의 탈립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eorological Condition during Ripening on the Grain Shattering of Rice Plant)

  • 신진철;권용웅;정창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9-234
    • /
    • 1982
  • 이앙기에 따른 등숙기상조건의 차이가 수도의 탈립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탈립성이 큰 태백벼와 비탈립성인 진흥을 재료로 40일 묘를 5월 11일부터 15일 간격으로 4회 이앙하고 출수 후 40일 및 55일의 시기에 각각 벼알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작기 및 수확시기의 영향, 그리고 기상요인들과 탈립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벼알의 인장강도는 각 처리를 통틀어 진흥의 경우 214-251g의 변이폭을 보였고 이 범위의 인장강도는 벼의 포장손실에 무관하나 태백벼의 경우 인장강도는 127.5-204g의 변이폭을 보였고 이앙기 및 수확시기가 탈립성 및 벼의 포장손실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컸다. 2. 벼알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태백벼의 경우 수확시기, 이앙기 및 이앙기와 수확시기와의 상호작용이 모두 컸으며, 특히 이앙기가 6월 25일 경우 현저히 탈립성이 커졌다. 진흥의 경우에는 이앙기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즉 벼알이 건조될수록 인장강도가 다소간 커지는 경향이었다. 3. 기상요인들의 탈립성에 미치는 영향은 일평균, 최저, 최고기온 및 일기온교차가 컸고, 특히 수확전 30일간의 이들의 영향이 컸으며, 태백벼의 경우 일사량과 대기온도가 영향하지 않았지만 진흥의 경우에는 수확전 10일간의 일사량과 수확전 30일간의 대기온도가 영향하였다.

  • PDF

Characteristic Changes in Brown Rice (Oryza sativa L.) Cultivars of 3 Ecotypes During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Oh, Sea-Kwan;Hwang, Pil-Seong;Lee, Choon-Ki;Kim, Yeon-Gyu;Seo, Woo-Duck;Cho, Kye-Man;Choung, Myoung-Gun;Lee, Jin-H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091-1095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uctuations of 3 characters from 3 ecotypes [early ripening (ER), middle ripening (MR), and late ripening (LR)] of 20 Korean brown rice cultivars in different storage systems [time: 12 and 24 weeks, temperature: low ($10^{\circ}C$) and room ($25^{\circ}C$)]. With increase of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lipoxygenase activity, and fat acidity increased, whereas germination rate was reduced. ER cultivars exhibited the highest lipoxygenase activity of $35.49{\pm}2.46$ unit/mg protein during 24 weeks storage at $25^{\circ}C$, followed by LR ($32.73{\pm}1.33$) and MR ($32.66{\pm}1.62$) cultivars. The amounts of fat acidity also were observed by the same order (ER: $20.40{\pm}2.12$>LR: $19.68{\pm}1.86$>MR: $19.64{\pm}1.35$ mg KOH/100 g). Germination rate slightly decreased with increase of time and temperature (MR>LR>ER), but MR and LR cultivar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ER: $60.90{\pm}23.47%$, MR: $32.66{\pm}13.95%$, and LR: $32.53{\pm}5.87%$).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MR cultivars were evaluated the highest quality, because high lipoxygenase activity, high fat acidity, and low germination rate have deteriorated in quality and generated off-odor. Thus, MR cultivars might be very important sources in food processing and stored dietary supplement asp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