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ening stage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7초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4보(第4報) Amino acids.유기산(有機酸).당(糖)의 변화-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4) Changes in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sugars-)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43-50
    • /
    • 1971
  • 신미종(辛味種) 고추 과피(果皮)의 추숙(追熟)에 따른 free amino acid, 유기산(有機酸), 유리당(遊離糖)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free amino acid로서 glutamine, asparagine, glutamic acid 등(等)이 많고, free amino acid의 총량(總量)은 추숙(追熟)에 따라 심하게 감소(減少)하였다. 2.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유기산(有機酸)으로서 주(主)가 되는 것은 malic acid와 citric acid로서 이들의 함량(合量)은 전추숙기간(全追熟期間)을 통하여 전산(全酸)의 80%에 이른다. 그러나 추숙(追熟)에 따라 malic acid는 심하게 감소(減少)하고 citric acid는 증가(增加) 하였다. 그리고 산(酸)의 총량(總量)은 추숙(追熟)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가운데서 post-cli. stage에서 격감(激減)하고 있다. 3.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유리당(遊離糖)은 glucose가 주(主)가 되고 fructose, galactose, sucrose가 동정(同定)되었고, raffinose의 존재(存在)가 추정(推定)되었다. 그리고 추숙(追熟)에 따라 유리당(遊離糖)의 총량(總量)은 post-cli. stage에서 25% 정도(程度) 감소(減少)하였고, 환원당(還元糖)과 비환원당(非還元糖)도 각각(各各) 추숙(追熟)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 PDF

기능성재료를 첨가한 오이지의 숙성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Oiji with various antimicrobial 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 심영현;유창희;차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9-33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s of Oij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by preparing the samples with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Chinese pepper(Sancho), onion, pine leaves) exerting antimicrobial effect. The pH values of all experiment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the ripening period(P<0.05). Control and Chinese pepper-added groups showed a rapid decrease in pH after 5 days of ripening, and Onion- and Pine leaves-added groups after 3 days of ripening.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the lowest pH value at the 20th day of ripening. Rapid permeation of salt solution occured in all groups at the 3rd day of ripening. But the increase rate of salt permeation decreased gradually after 3 days of ripening. Lightness and redness in color decreased gradually in all groups, but the redness of Pine leaves-added group increased at the 30th day of ripening. Yellowness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after 10 days of ripening(P<0.05), and the yellowness of pine leaves-added Oiji was the lowest among all after 5 days of ripening(P<0.05). The maximum cutting force of raw cucumber was observed at stem end followed by blossom end and middle part, and the Oiji samples also showed the same order at the early stage of ripening. In general, maximum cutting force of minor ingredient-added Oij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nd maximum cutting force was decreased at the 30th day of ripening. Onion-added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all at the 40th day of ripening. Chinese pepper-added group was ranked low, but onion- and pine leaves-added groups were ranked high in sensory evaluation.

  • PDF

참깨의 등숙진전특성에 관한 품종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with Some Sesame Cultivars on Ripening Development)

  • 구자옥;이석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8-63
    • /
    • 1980
  • Early Russian, 수원 005 및 흑색재래종의 3참깨 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최대개화기에 개화결실한 삭을 대상으로 품종간의 등숙과 수량특성을 경시적으로 추적조사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Early Russian은 대형삭을 착생하며 개화후 30일정도에 성숙하고 지방함량이 높아서 우리 나라의 기상조건에 적합한 등숙특성을 갖는 품종이라 하겠다. 그러나 충분한 등숙기간과 등숙조건하에서는 삭과 종실의 건물 및 용적증대 경향 및 삭당종실수의 증가 경향으로 보아서 상대적으로 삭의 발달에 취약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수원 005는 다수성 품종으로서 유리한 점은 갖으나 충분한 등숙조건과 등숙기간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삭에 비하여 종실의 건물형성이 늦고 개화후20일경까지 종실수가 확보되므로 등숙후기에 형성되는 종실의 등숙 발육에 충분한 등숙조건과 등열기간이 요구되므로 우리나라의 남부에서 생산체재력이 잘 발현될 가능성이 있다. 3. 흑색의 육각재래종은 비교적 수양성이 낮으며 종실의 용적과 건물생성은 성숙기까지도 서서히 증가하는데 반하여 삭의 형성은 개화후 20 일경까지도 제한되고 있어서 등숙기간이 연장되어도 수량성의 증대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머스크멜론의 과실성숙기 토양수분이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il Water Content during at Fruit Ripening Stage on Yield and Quality in Musk melon)

  • 권준국;이재한;엄영철;김회태;최영하;박동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30-335
    • /
    • 1998
  • 네트 멜론 재배에 있어서 과실비대성숙기의 토양수분관리방법이 과실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원더풀하계1호 품종을 플라스틱하우스 내에서 착과후 20일부터 관수개시점을 -10, -20, -30, -50, -100kPa로 각각 달리하여 검토한 결과, 경엽의 생체중은 관수량이 가장 많았던 -10kPa에서 가장 무거웠고 -100kPa에서 가벼웠으나 그 차이는 작았으며, 건물율은 100kPa구가 가장 높고 -10kPa에서 낮았다 상품수량은 -50kPa, -100kPa, -30kPa, -20kPa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토양수분이 많았던 -10kPa구에서 가장 적었다. 과실의 크기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당도는 -50kPa구가 15.1 $^{。}$ Brix로 높았던데 비해 -10kPa구가 14.4 $^{。}$ Brix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숙기에는 -50kPa 도달시 10mm 내외로 관수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2보(第2報) 신미성분(辛味成分)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2) Changes in hot-taste component-)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29-34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신미성분(辛味成分)의 추숙(追熟)에 따른 변동(變動)을 측정(測定). 고찰(考察)하였다. (1) 추숙중(追熟中)의 각(各) stage의 sample을 진공동결건조(眞空凍結乾燥)하므로서 생리작용(生理作用)을 정지(停止)시켜 capsaicinoid의 함량(含量)을 측정(測定) 하였든 바 추숙(追熟)에 따라 줄곧 증가(增加)하였다. (2) capsaicin의 vanilly amine부(部)의 생합성과정(生合成過程)을 고찰(考察)하기 위하여 추숙(追熟)에 따른 phenylalanine 함량(含量) 과 PAL활성도(活性度)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므로서 capsaicin이 추숙(追熱)에 따라 서서(徐徐)히 생성(生成)되어 최종대사산물(最終代謝産物)로서 축적(蓄積)되어 나가는 것으로 추정(推定) 할 수 있었다. (3) lignin 양물질(樣物質)은 추숙(追熟)에 따라 capsaicinoid와 한가지로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4) polyphenol물질함량(物質含量)과 polyphenol oxidase 활성도(活性度)는 상온구(常溫區)보다 저온구(低溫區)가 높았다.

  • PDF

보리 등숙기 고온에 따른 전분합성 및 동화산물 전류 특성 변화 (Changes in Starch Synthe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ate Translocation at High Temperature during the Ripening Stage in Barley)

  • 이현석;황운하;김대욱;정재혁;안승현;백정선;정한용;윤종탁;이건휘;최경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24-133
    • /
    • 2017
  • 등숙기 고온에 따른 전분합성 및 동화산물 전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숙기 평균온도가 약 $3^{\circ}C$ 상승함에 따라 등숙기간은 약 5일정도 단축되었으며, 천립중이 약 4.2 g 정도 감소하였고, 전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등숙기 고온($+3^{\circ}C$)에 따라 전분합성 최대속도는 약 11%정도 증가하였지만, 전분합성속도가 최대가 되는 시점은 약 3일, 전분합성 완료 시점은 약 4일정도 앞당겨지는 경향을 보였다. 3. 전분합성 각 단계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양상은 앞에서의 전분합성과 마찬가지로 고온처리에서 초기 발현량이 증가하였지만, 발현 지속정도가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oluble starch synthase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4. 동화산물의 이삭분배 속도는 전분합성속도와 마찬가지로 고온처리구에서 증가하였지만, 줄기 및 지엽에서의 분배비율은 고온처리구에서 급격하게 감소한 결과를 보아 동화산물의 전류속도가 고온처리구에서 빨라진 것으로 생각된다. 5. 엽신의 노화속도(Nr)는 온도가 상승할수록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화속도가 등숙이 거의 완료된 이후에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고온에 따른 등숙기간의 단축은 엽신의 노화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자두 '대석조생'의 숙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및 품질특성 (The Chilling Injury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Ooishiwase' Plums (Prunus salicina L.) according to Ripening Stages and Cold Storage Temperature)

  • 조미애;홍윤표;최선영;정대성;임병선;박수정;이승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51-660
    • /
    • 2011
  • 자두 '대석조생'의 생육단계별 수확시기 및 저온저장 온도에 따른 저온장해과 발생 양상과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고자, 자두 '대석조생'을 60%, 80% 그리고 90% 이상의 착색율로 구분하여 수확한 후, 1, 4, 5, $6^{\circ}C$ 그리고 $20^{\circ}C$에 최대 48일간 그리고 $20^{\circ}C$에서 3일간 숙성시키면서 호흡 변화, 품질 특성 및 저온 장해과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60% 착색기에 수확한 자두를 보다 낮은 저온에 저장하였을때 경도, 색도, 중량감소율과 적정산도의 유지에 효과적이었으며, 이 조건에서 에틸렌 발생량과 호흡량도 보다 낮게 유지되었다. '대석조생' 자두의 저온장해 증상은 주로 내부 갈변을 동반한 gel breakdown과 과육투명화 현상이었는데, 이러한 저온장해과는 모든 숙기별 처리구 그리고 $6^{\circ}C$ 이하의 모든 저장 온도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성숙이 진행되지 않은 과일일수록, 그리고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저온장해과 발생율을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석조생' 자두의 저온장해과 발생이 저장기간 동안의 호흡 양상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등숙기 온도에 따른 쌀가루 가공용 벼의 등숙특성 변이 구명 (Effects of Temperature on Grain Filling Properties of Rice Flour Varieties during the Ripening Stage)

  • 양서영;황운하;정재혁;이현석;이충근;최명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7
    • /
    • 2021
  • 쌀가루용 품종의 등숙기 온도에 따른 등숙특성 변이를 구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고온(28℃)에서는 바로미2의 천립중이 21% 감소하면서 새누리(6% 감소)와 설갱(12% 감소)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으며, 전분함량의 감소 또한 바로미2에서 10% 이상으로 새누리와 설갱의 1~3% 감소와 대비되었다. 2. 저온(18℃)에서는 새누리나 설갱에 비해 바로미2의 등숙 속도가 매우 감소하였으며 특히 등숙 초반에 종실중의 증가가 매우 느렸다. 그러나 최종 천립중 및 전분함량은 22℃보다도 약간 증가하며 다른 품종과도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 3. 앞서 언급한 것처럼 쌀가루 가공용 품종 중 분질미(바로미2)는 등숙기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추후 분질미 재배시 등숙기에 고온을 피할 수 있도록 이앙시기를 늦추는 편이 좋으며, 다만 과도하게 늦출 경우 저온조건에서 등숙기간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여 등숙이 충분히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연구(生理化學的硏究) [제 5 보(第 5 報)] -색소(色素)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5) -Changes in pigments-)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49-156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따른 carotenoid 색소(色素)와 chlorophyll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 고찰(考察)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신미종(辛味種) 고추의 carotenoid 색소(色素)를 column chromatography로 6 fraction으로 분리(分離)한 다음 각(各) fraction을 다시 TLC에 의하여 54종(種)을 분리(分離)하고 그 가운데서 30종(種)을 동정(同定)하였다. 2. carotenoid색소(色素) 총량(總量)은 cli. stage에서 급증(急增)하였고 group별(別)로 보니 diol가 가장 함량(含量)이 높고 추숙(追熟)에 따른 함량증가율(含量增加率)이 가장 높았다. 3. carotenoid 색소(色素) 개별당(個別當) 함량(含量) 변화(變化)에서 주목(注目)되는 것은 phytoene이 post cli. stage.에서 감소(減少)하고 고추의 중요(重要)한 carotenoid 색소(色素)인 ${\beta}$-carotene, capsanthin, capsorubin, violaxanthin의 함량(含量)이 크게 증가(增加) 하였다. 4. chlorophyll은 a, b, total 함량(含量)이 다같이 추숙(追熟)에 따라 감소(減少)하고 post-cli. stage에서 소실(消失)하였다.

  • PDF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관(關)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연구(硏究) -제3보(第3報) 지질(脂質)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after-ripening of hot pepper fruits -(Part 3) Changes in lipids-)

  • 이성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1호
    • /
    • pp.35-41
    • /
    • 1971
  • 신미종(辛味種)고추의 추숙(追熟)에 따른 지질(脂質)의 변화(變化)를 중성지질(中性脂質)과 극성지질(極性脂質)로 분획(分劃)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중성지질(中性脂質)의 함량(含量)은 cli. stage에서 최저치(最低値)가되고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은 post-cli. stage에서 격감(激減)하고있다. 2.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지방산(脂肪酸)으로서 주(主)가 되는 것은 linoleic acid이고 이것은 추숙(追熟)에 따라 점감(漸減)하고 있다. 3. 중성지질(中性脂質) fatty acid의 saturates/unsaturates치(値)가 cli. stage에서 최저(最低)가 되는데, 이것을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도 cli.stage에서 최저(最低)를 가리키는 것과 아울러 생각할때 climacteric rise가중성지질(中性脂質)의 대사(代謝)와 관계(關係)가 있는것 같다. 4.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추숙(追熟)에 따라 linoleic acid가 줄곧 감소(減少)하고 linoleic acid가 증가(增加)하여 cli. stage에서 역전(逆轉)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추의 climacteric rise에 따라 일어나는 막성분(膜成分)의 변화(變化)를 가리키는 한 지표(指標)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