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parian zon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1초

하반 식생의 입지 적정성 분석-미지형 토양환경을 중심으로- (Analysis of Riparian Vegetation for the Location Character-Focus on Relationship between Microtopographical Feature and Soil Character-)

  • 안홍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3-200
    • /
    • 2001
  • 본 연구는 하반식생이 일정 지역에 정착할 때 밀접하게 관여하는 토양환경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하반 미지형 이라는 특수 지역에서 생각할수 있는 미지형 형성의 토양구조와 하반미지형이 식물에 미치는 토양수분, 그리고 식생과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결과 각 미지형마다 그 퇴적상태가 다르며 이에따라 하반식생도 달리 나타났다. 또한 모두 조사구에 서 모래층 밑에는 반드시 자갈층의 단계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반복된 과거의 홍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지형을 고려한 식생을 도입하여야 하며, 토양수분과 지라수위와 식생과의 관계는 하천마다 다르므로 현지 지형에 맞는 식생 도입이 요구된다. 앞으로 보다 지속적, 장기적 현장조사와 하천 수문, 수리학적 data의 축정에 따른 하반식생과 입지환경요인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식생호안공법의 개발이 향후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Riparian Forests of Idle Land to Build Design Using the IPA Strategy

  • Choi, Sang Hyun;Woo, Jong 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82-188
    • /
    • 2016
  • In this study 'forest design in waterside unused land' of 'waterside area' in the specificity that multilateral, including landscape, recreation,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the space, taking into account by multiple factors :Raise 'practicality' than a functional management and police to hang out with, each element is usually way to improve the beauty. There is currently carried out waterside green area creation, which is artificial plantation and open spaces only emphasizing 'landscape' with lacking multi-function purpose, as a 'forest design in waterside unused land' strategy but it should be lowered by performance in this strategy. And the study suggested a strategy which prepared cultural and social infrastructure to be able to attract different fund and build local character as an alternative demand plan considered environmental character as a top priority.

하안림 영향 검토를 위한 수심평균 2차원 수치모형 적용 (Application of Depth-averaged 2-D Numerical Model for the Evaluation of Hydraulic Effects in River with the Riparian Forest)

  • 김지성;김원;김혜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B호
    • /
    • pp.165-1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평수위면을 따라 하안림을 조성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흐름특성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FESWMS FST2DH 모형을 이용하였다. FESWMS 모형은 개별 수목에 작용하는 항력을 직접 계산하여 수목으로 인한 흐름저항의 증가를 계산하고, 식재부와 비식재부 영역간의 운동량 교환을 포물선형 난류모형으로 비교적 정확히 해석할 수 있는 수심평균 2차원 수치모형이다. 모형의 적용성 검증을 위하여 홍수터 식재후 횡방향 유속변화 수리실험 결과와 비교하였고, 두 가지 수목밀도의 경우 모두 계산 유속은 실측 유속과 잘 일치하였다. 실제 하천내 수목 식재구역에 적절한 Manning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식재후 수위 및 유속변화를 추정하는 기존 방법은 본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홍수위 변화는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식재부 유속 산정에는 다소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수목영향 평가절차는 향후 하천내 수목식재를 계획할 경우 실무적으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토지이용 특성에 어울리는 완충식생 활용 계획 (A Plan for Utilizing the Buffering Vegetation based on the Land use Type)

  • 안지홍;임치홍;임윤경;남경배;피정훈;이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65-474
    • /
    • 2016
  • Since Gyungan stream is included in the protected zone of the water supply source of the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water quality needs to be continuously managed. Therefore, a measure is required that can inhibit the flow of water pollutant into the water body and facilitate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elements established on the downstream catchment of the Gyungan stream, the result of which showed that the paddy field and urbanized area can be regarded as point pollution sources. The upland field can be regarded as a non-point pollution source.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the Paldang lake, we first recommended creating a riparian vegetation belt. We also suggested introducing a treatment wetland and an artificial plant island to places in which the creation of a riparian vegetation belt is not ensured. We recommend creating a treatment wetland equipped with diverse functional groups. For creating the plant island, we recommend Zizania latifolia and Typha orientalis, which showed the highest productivity among aquatic plants. The former could be introduced around the outlet of a paddy field and the estuary of tributaries, while the latter could be introduced to a water body directly sourced from mountainous land.

수질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완충식생 복원 모델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Restoring a Vegetation Belt to Buffer Pollutant Discharge)

  • 안지홍;임치홍;임윤경;남경배;피정훈;문정숙;방제용;이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5-215
    • /
    • 2016
  •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Paldang Lake, a riparian vegetation belt, treatment wetland, and artificial floating island were designed for introduction in the upland field, the estuary of tributaries, and the section of water facing mountainous land, respectively. We synthesized veget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reference river and found that herbaceous, shrubby, and tree vegetation zones tended to be dominated by Phragmites japonica, Phalaris arundinacea, etc.; Salix gracilistyla, S. integra, etc.; and S. koreensis, S. subfragilis, and Morus alba, respectively. In our plan, the herbaceous vegetation zone, which is established on floodplains with a high frequency of disturbance, will be left in its natural state. A shrubby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reference river in the ecotone between floodplain and embankment. A tree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species composition on the embankment slope. In the treatment wetland, we plan to create emerged and softwood plant zones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Zizania latifolia community, the Typha orientalis community, the P. communis community, the S. integra community, and the S. koreensis community. The floating island will be created by restoring Z. latifolia and T. orientalis for water purification purposes.

건기 및 우기 때의 WHAT system과 유량측정에 의한 기저유출량 비교 (Baseflow Comparison using the WHAT system and Flow Rate Measurements in the Dry and Rainy Seasons)

  • 남경훈;김규범;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3권2호
    • /
    • pp.117-125
    • /
    • 2013
  • 강우패턴의 변화에 의한 대하천변 지하수홍수발생은 농 경작지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대하천변의 지하수홍수 발생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하천의 유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직접유출량과 기저유출량의 정량적인 해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수변구역에서 WHAT system이라는 Web GIS 기반의 수문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기저유출량과 실제 하천에서 산출된 기저유출량을 정량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지역의 기저유출량은 우기인 2012년 07월 17일에는 0.489 $m^3/s$, 2012년 07월 18일에는 0.260 $m^3/s$, 2012년 07월 19일에는 0.279 $m^3/s$이었고 건기였던 2013년 03월 06일에는 0.006 $m^3/s$, 2013년 03월 30일에는 0.009 $m^3/s$의 기저유출량이 산출되었다. 분석결과 수변구역 충적층 지역에서 강우 발생 시 기저유출량의 증가가 발생하였으며 건기 시 오차가 다소 적게 나타났다.

한강 지류 토지 이용 특성과 하천 내의 미지형에 따른 탈질량과 조절 인자 (Denitrification Rates in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in Relation to Landuse Patterns and Microtopology)

  • 김영주;권민정;강호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39-146
    • /
    • 2012
  • 하천 생태계는 질소 제거를 포함해 수질 개선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산업화 이후에 가속화된 토지이용특성 변화는 이와 같은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주변의 토지이용특성과 각 하천의 미지형에 따른 하천의 탈질량 및 이의 조절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토지 이용 특성에 따라 한강의 5차 하천 10 곳을 선정하고 각 하천을 하변, 저토, 중간사주의 두부와 미부 네 개의 미지형으로 구분하여 현장 탈질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농경 하천, 도심 하천, 산림 하천에서의 탈질량은 각각 $289.62{\pm}70.69$, $157.01{\pm}37.06$, $31.38{\pm}18.65mg$ $N_2O-N\;m^{-2}\;d^{-1}$ 으로 나타났다. 미지형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변에서 가장 높고 중간사주 두부보다 미부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탈질량을 결정하는 환경요인으로는 수온, 토양의 미사와 점토 함량, 무기 질소와 탄소원이 있었고, 이들 모두 탈질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유역 내의 토지 이용특성이 하천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질소 제거능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지형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탈질량을 실측한 결과는 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하천 관리 및 복원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변완충녹지 설계 고찰 - 한강수계 경안천변 매수토지 사례 연구 - (Design of Riparian Buffer Zone by Citizen's Participation for Ecosystem Service - Case Study of Purchased Land along Gyeongan-cheon in Han River Basin -)

  • 반권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0-184
    • /
    • 2022
  •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행위 빈도가 높은 수역과 육역의 중간지대에 구축되는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적 환경계획 과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경안천변 용인시 모현읍 갈담리 582-2 일원의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및 설계를 소통적 행위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과정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관 주도의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 거버넌스인 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 개선하였다. 두 번째,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기능 증진 측면의 설계 요소를 도입하고 선호하는 공간, 시설의 계획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물 서식처, 물순환 기반의 생태환경, 주민 생태체험·휴식공간 등의 균형있는 계획과 더불어 향후 이용 주체인 주민들이 조성 효과와 생태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체감하고 조성지의 운영, 관리에 참여,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설계 과정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주민참여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정착하여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작동되어 주민의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Seed Bank and Above-ground Vegetation in a Sandy Floodplain, South Korea

  • Cho, Hyung-Jin;Jin, Seung-Nam;Lee, Hyohyemi;Marrs, Rob H.;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3호
    • /
    • pp.145-155
    • /
    • 2018
  • In a monsoonal climate, the soil seed bank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lant regeneration after the severe annual floods that disturb above-ground vegetation within the riparian z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seed bank and vegetation, we measured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oil seed bank and the extant above-ground vegetation in six major plant communities (Artemisia seleng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Persicaria nodosa, Phalaris arundinacea, Phragmites japonica, and Rorippa palustris)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A total of 21 species germinated from the floodplain soil seed banks. The most diverse seed bank (21 species) was found in the A. selengensis community, wheres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was found in the R. palustris community (2 species). Most soil seed banks were composed of annuals (90%), exceptions being Rumex crispus and Artemisia princeps, which are perennial ruderals. The similarity of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he soil seed bank and above-ground vegetation was low with Sorensen's similarity indices averaging 29% (range 12 - 42%). Crucially, existing dominant perennials of the extant vegetation including A. selengensis, M. sacchariflorus, P. japonica and P. arundinacea were absent from the soil seed bank. In conclusion, the soil seed banks of the floodplains of the Cheongmicheon Stream were mainly composed of viable seeds of ruderal plants, which could germinate rapidly after severe flood disturbance. The soil seed bank may, therefore, be useful for the restoration of the early succession stages of riparian vegetation after flood disturbances.

중부지방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at Stream in Middle Part of Korea)

  • 한정은;김소영;김원희;이지연;김주환;노태호;최병희
    • 환경생물
    • /
    • 제25권2호
    • /
    • pp.115-12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중부지역 하천에서의 귀화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자연하천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류군 수 및 비율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도심하천의 귀화식물 비율은 자연하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귀화식물의 생활형은 1년생 초본이, 원산지는 유럽과 북아메리카 원산이 많았다. 귀화식물의 유사도를 조사해 본 결과, 하류인 홍천강과 중류인 내촌천이 가장 높았다. 조사지의 모든 초본의 비율과 귀화식물 비율은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도시하천인 중랑천은 다른 하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