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 parietal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3초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 내장신경절 및 우 체벽신경절에 관한 연구 II. 미세구조적 방법 (Studies on the Visceral Ganglion and Right Parietal Ganglion in the African Giant Snail, Achatina fulica II. Ultrastructural Method)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101-108
    • /
    • 2001
  • 아프리카 왕달팽이 (Achatina fulica)의 내장신경절(visceral ganglion)과 우 체 벽신경절(right parietal ganglion)을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결과 5종류(type-A, B, C, D 그리고 E)의 신경분비세포(neurosecretory cell)와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신경망 등이 관찰되었다. A형 세포(직경 $35{\mu}m$)는 두 신경절의 피질부에서 가장 많이 관찰된 삼각형 또는 불규칙한 세포로서, 세포질에는 직경 $1{\mu}m$인 큰 과립과 $0.1{\mu}m$정도인 작은 둥근과립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작은 과립들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과 전자밀도가 중등도인 과립 등 두 종류로 구분되었다. B형 세포(직경 $19\times12{\mu}m$)는 두 신경절의 피질부와 수질부의 여러 부위에서 고르게 관찰된 세포로서 A형 신경분비세포와 그 형태가 비슷하였다. 세포질 내에는 $0.1{\mu}m$정도 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로 가득찬 반면 둥글고 큰 과립(직경 $0.7{\mu}m$정도)들은 드물게 관찰되었다. C형 세포는 크기가 $8\times6{\mu}m$정도인 가장 작은 세포로서, $6\times5{\mu}m$정도인 큰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세포질에는 $0.23{\mu}m$정도인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로 가득차 있었는데, 이들은 $0.03{\mu}m$정도 크기의 작은 과립들이 둥글게 모여 있는 특이한 형태였다. D형 세포는 $28\times20{\mu}m$정도 크기의 중형세포서,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태를 보였다. 이들은 두 신경절의 수질부와 피질부 중, 피질부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다. 세포질은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관찰되고 직경 $1.6{\mu}m$$0.6{\mu}m$인 두 종의 둥근 과립들이 관찰되었다. E형 세포는 크기가 $100\times50{\mu}m$정도인 대형세포로서 두 신경절의 상단부와 중앙부위에서 드물게 나타났다. 핵은 $70\times30{\mu}m$정도로 세포질 대비 매우 컸다. 이들은 다양한 크기의 전자밀도가 높은 둥근 과립(직경 $1\sim0.2{\mu}m$)을 소지하고 있었으며, 세포의 표면은 여러 형태의 사상족(filopodia)들을 뻗어 노쇠한 세포들을 포식하였다. 신경망(neuropiles)들은 신경분비세포를 둘러싸고 있었으며, 신경섬유 속에서 다양한 종류의 연접소포들(synaptic vesicles)이 관찰되었는데, 전자밀도, 크기 그리고 모양에 따라 6종류로 분류되었다.

  • PDF

과학과 미술 통합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뇌 활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and Art Integrated Program on Brain Activity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 권영식;이길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567-580
    • /
    • 2013
  • This study is to activate gifted students' brains for creativity ability and also an integrated science and art teaching program. The learning programs integrating science and art, which have 30 periods and 10 topics on art and the knowledge of science, were developed dependant on five steps - observing, having interests and curiosity, experimental designing and performing, internalizing, and expressing in an arts-based manner. This programs were applied to 20 senior gifted students in Y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by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results from these integrated programs of science and art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formance of science tasks, prefrontal lobe(F7, FT7) of left brain increase the relative power of theta wave, whereas in the performance of drawing tasks increase the relative power of beta wave in prefrontal lobe(FP1) of left brain, bilateral frontal(F7, F3, Fz, F4, F8, FT7, FC3, FCz), bilateral temporal(T7, TP7, TP8, P7), parietal lobe of left brain(CP3, CPz, P3, Pz), bilateral occipital(O1, Oz, O2). Second, in the performance of science tasks, the relative power of beta wave activity in the left temporal lobe(T7) of the brains of talented students in science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it was greatly activated in another part, the left frontal lobe(F3) of the brain (p<.05). Third, in the performance of drawing tasks, the relative power of theta wave activity in five areas of the brain, namely the left temporal lobe(T7), the left frontal lobe(F3), the right frontal lobe(F4), and the left and right parietal lobe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who took the course of the integrated programs, was considerably increased statistically(p<.05). On top of that, these programs were especially effective in balancing the symmetrical development of both cerebral hemispheres by multiplying theta wave activity in the frontal lobes(F3, F4) and the parietal lobes(CP3, P3, P4), which are particularly related to creative think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f brain-based teaching strategies combining science and art, it is an effective program to develop overall activate gifted students' brains for creativity ability. This is expected to be utilized to activate the brain areas for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마조람 에센셜 향기요법이 수면장애 성인 여자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iganum Majorana Essential Oil Aroma on the Electroencephalograms of Female Young Adults with Sleep Disorders)

  • 정한나;최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77-1084
    • /
    • 2012
  • 아로마 향기요법에서 마조람(Origanum majorana)향이 여성의 뇌기능에 미치는 효능을 살펴보기 위해 뇌파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20대 여자 성인(29명)을 대상으로 검증된 수면장애 조사를 통하여 수면질을 조사하여 수면에 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선별하고 마조람 향기요법을 실행하여 뇌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10-20 국제법에 의하여 전두부, 측두부, 후두부, 두정부에 뇌파 전극을 부착하였다. 마조람(50 ${\mu}l$)를 사용하여 향기요법 전 3분, 향기요법 중 3분, 그리고 향기요법 후 3분씩 나누어서 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에서 수면질이 좋은 여자에게 마조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은 양쪽 대뇌반구의 측두부, 좌측 전두부와 두정부, 우측 전두부와 후두부에서 세타파를 증가시키고, 좌측 후두부에서 알파파를 감소시키며, 우측 측두부에서 베타파를 감소시켰다. 또한 수면질이 나쁜 여자에게 있어서 양쪽 대뇌반구의 측두부와 우측 전두부에서 세타파가 증가되었으며, 알파파가 좌측 두정부에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마조람 에센셜 향기요법은 수면질이 좋은 여자에게 알파파와 베타파를 감소시킴으로써, 수면질이 나쁜 여자에게는 알파파 감소를 통하여 각성 상태에서 벗어나게하고, 수면질이 좋은 사람뿐만 아니라 수면질이 나쁜 사람에게도 세타파의 증가를 통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뇌기능 효능이 있었다.

전신에 새로이 발생한 다발성 기저세포암 1예 (Reoccurred Multiple Basal Cell Carcinomas: A Case Report)

  • 윤영수;김건휘;민경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26
    • /
    • 2023
  • Basal cell carcinoma (BCC) is the most common skin cancer. Ultraviolet radiation exposure and genetic predisposition are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etiological factors. Multiple BCC is often associated with genetic familial conditions such as BCC syndrome, basal cell nevus syndrome. We present a case of 54-year-old female who had multiple BCC that had reoccurred. She was completely cured after receiving radio-chemotherapy for leukemia 16 years ago. She had multiple lesions (scalp, left thigh, right popliteal fossa, and right buttock), and had underwent wide excisions of all lesions. All biopsies revealed BCC. Six years later, she had also multiple lesions; left forehead, frontal vertex scalp, parietal vertex scalp, right occipital scalp, and lower abdomen. We performed wide excisi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BCC. She had no signs of any BCC associated syndrome. We report a rare case of nonsyndromic multiple BCC that reoccurred at the new site.

백서(白鼠) 편측(片側) 신장절제(腎臟切除) 후(後) 좌신(左腎)과 우신(右腎)의 조직학적(組織學的) 및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관찰(觀察)과 형태계측학적(形態計測學的) 비교(比較) 연구(硏究) (Morphometrical, Histological and Electron Microscopical Comparison of Left and Right Kidney in Uninephrectomized Rat)

  • 이경태;송춘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43-60
    • /
    • 1998
  •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morphomeric and histological changes of the left and right kidney in uninephrectomized ra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ntrol, the right kidney was more prominent than the left in the basement membrane of glomerular capillaries. The podocyte had well developed Golgi apparatus in the left kidney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right kidney. 2. At the 30 days after unilateral nephrectomy, the basal lamina of glomerular capillaries was prominently thickened in the right kidney. The cytoplasm of the podocyte of the left kidney was markedly increased and had free ribosomes, developed Golgi apparatu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3. At the 30 days, the section of the glomeruli were more enlarged in the left kidney than in the right. 4. At the 20 day, the nuclear section of the podocytes were markedly enlarged in the right kidney, but those of the left kidney were diminished. The mitochondrial section of the podocytes were prominently increased in the right kidney. 5. The nuclear section of the parietal layer lining cells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ight kidney. That of the left kidney was increased at the 20 days and decreased at the 40 days. The nuclear section of glomerular endothelium of the left kidney increased earlier than the right. 6. In the morphometry of the control kidney, the section areas, long and short diameters, the nuclear section, the mitochondrial section of the proximal tubule cells, and the changes of those were more large in the right kidney than in the left. 7. The luminal secretory vesicles and peroxisomes of the left kidney were more than the right at the 20 days. The increase of mitochodrial section in the proximal tubule cells of the left kidney was more prominent than the right. The large cytoplasmic vacuoles were more prominent in the left kidney than in the right. 8. The thickness of cytoplasm and brush border was more thick in the control left kidney than in the control right. The change of cytoplasmic thickness of the left kidney was increased earlier than in the right and both kineys were increased in the thickness of brush border at the 30 days.

  • PDF

동일한 영상자극을 이용한 장조음악과 단조음악에 의해 유발된 뇌 활성화의 차이 : fMRI 연구 (An fMRI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Brain Regions Activated by an Identical Audio-Visual Clip Using Major and Minor Key Arrangements)

  • 이창규;음영지;김연규;;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9-1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brain activation evoked by music arranged in major and minor key used with an identical motion film during the fMRI testing. A part of the audio-visual combinations composed by Iwamiya and Sano were used for the study stimuli. This audio- visual clip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ombining a small motion segment of the animation "The Snowman" and music arranged in both major and minor key from the original jazz music "Avalon" rewritten in a classical style. Twenty-seven Japanese male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Brain regions more activated by the major key than the minor key when presented with the identical motion film were the left cerebellum, the right fusiform gyrus, the right superior occipital, the left superior orbito frontal, the right pallidum, the left precuneus, and the bilateral thalamus. On the other hand, brain regions more activated by the minor key than the major key when presented with the identical motion film were the right medial frontal, the left inferior orbito frontal, the bilateral superior parietal, the left postcentral, and the right precuneus. The study showed a difference in brain regions activated between the two different stimulus (i.e., major key and minor key) controlling for the visual aspect of the experiment. These findings imply that our brain systematically generates differently in the way it processes music written in major and minor key(Supported by the User Science Institute of Kyushu University, Japan and the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 PDF

이중과제 수행시의 간섭효과에 수반되는 신경기반: 산술연산과 기억인출간의 상호작용 (Neural Basis Involved in the Interference Effects During Dual Task: Interaction Between Calculation and Memory Retrieval)

  • 이병택;이경민
    • 인지과학
    • /
    • 제18권2호
    • /
    • pp.159-178
    • /
    • 2007
  • Lee와 Kang (2002)은 이중과제 수행동안 음운회로의 시연이 곱셈 수행을 유의하게 지연시키지만 뺄셈의 수행을 지연시키지는 못함을 보여주었다. 반면 심상을 유지하는 것은 뺄셈 수행을 지연시키지만 곱셈의 수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산술연산이 작업기억의 하부체계 특정적인 방식으로 관련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하여 Lee와 Kang이 얻은 결과의 신경기반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 목적을 위해 억제를 요구하는 이중과제 조건과 억제를 요구하지 않는 이중과제 조건에서의 뇌활성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두 조건이 모두 이중과제 조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간섭조건이 비간섭조건에 비해 더 활성화되는 영역들이 관찰되었다. 더 중요한 사실은 음운억제조건에서 우측 하전회(inferior frontal gyrus), 좌측 각회(angular gyrus), 그리고 하정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등의 영역이 활성화 된 것에 비해, 시각억제조건에서 활성화된 영역은 우측 상측두회(superior temporal gyrus)와 전대상회 (anterior cingulate gyrus)였다 억제조건에서의 결과와 달리 음운 비억제 조건에서 활성화된 영역은 우내측 전두회 (medial frontal gyrus), 좌측 중전두회 (niddle frontal gyrus)와 양측의 내측전두회 (medial frontal gyrus)였으며, 시각 비억제 조건에서는 전대상회, 그리고 해마이랑(parahippocampal gyrus)의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처리 부호를 공유할 때 야기되는 간섭을 억제하는 것의 신경기반이 과제의 양상에 의존적임을 보여준다.

  • PDF

예비교사들의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 과정 유형별 두뇌 활성화에 대한 fMRI 연구 (Brain Activities by the Generating-Process-Types of Scientific Emotion in the Pre-Service Teachers' Hypothesis Generation About Biological Phenomena: An fMRI Study)

  • 신동훈;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68-580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생물학 가설을 생성함때 나타나는 4가지 감성 생성 유형을 fMRI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두뇌 활동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건강한 여자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3.0T scanner를 사용하여 492초 동안 두뇌 영상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후 언어적 보고 자료를 수집하여 fMRI 영상 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언어적 보고의 분석 결과 BGP RGP에서는 10명의 피험자가 CGP와 AGP에서는 8명의 피힘자가 유의미한 과학적 감성을 생성하였다. 이들 피험자를 대상으로 SPM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fMRI 영상 자료를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 GPSE의 4개 유형별로 독특한 두뇌 활성화 영역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심리학적으로 규명된 4개의 감성 생성 과정이 두뇌에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경생리학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과학교육에서 fMRI를 활용한 새로운 연구방법의 확립과 사례 연구를 제시하였다는데 큰 가치가 있다. 그리고 생물학가설 생성과정의 총체적 이해에 도움이될 것이다.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관찰에서 나타나는 과학 교사들의 두뇌 활성 및 기능적 연결 (Science Teachers' Brain activation and functional connectivity during scientific observation on the biological phenomena)

  • 이준기;변정호;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30-740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적 관찰에서 나타나는 두뇌의 활성 양상 및 기능적 연결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26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과학교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 교사들의 과제수행 과정에서의 두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3.0T(테슬라)의 fMRI 시스템과 블록디자인의 관찰과제가 사용되었다. 신호의 수집과 분석에는 SPM2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관찰과정에서 과학교사들은 좌측 상전두이랑, 중전두이랑, 중심전두이랑, 하전두이랑, 양측 상두정소엽, 좌측 하두정소엽, 좌측 쐐기전소엽, 우측 중측두이랑, 양측 방추이랑, 좌측 상후두이랑, 양측 중후두이랑, 좌측 하후두이랑, 우측 혀이랑, 양측 방추이랑, 양측 쐐기소엽, 우측 해마옆이랑, 좌측 조가비핵, 그리고 양측 소뇌비탈의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영역 중 관찰과정에서 기능적으로 연결성을 보이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선정된 11개의 영역에서 10개의 유의미한 기능적 연결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명현상에 대한 과학적 관찰이 단순한 감각수용만을 넘어선 기능적 연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합곡(合谷) 침자(鍼刺)가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핵의학적 고찰 (The nuclear medical study on the effect of Hap-Kok(LI4) Acupuncture on cerebral blood flow)

  • 양유선;김성진;황유진;유동수;김민자;조은희;김현중;양명복;이병철;이인;이건목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8권6호
    • /
    • pp.93-104
    • /
    • 2001
  • Objective : To localize and compare the cerebral regions- activated by the the stimulation of traditional and burning acupunctures in right Hap-Kok (LI4) acupoints. Methods : Thirty-four healthy normal volunteers (19 males, 15 females, age 31${\pm}$11 years) were studies by rest/acupuncture Tc-99m HMPAO SPECT using same-dose sequential injection method using right Hap-Kok(LI4), traditional and burning acupunctures. All images were spatially normali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rest and acupuncture activation stat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M 96. Results :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 by the stimulation using traditional acupuncture in right L14 showe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crease in right inferior frontal lobe, right straight gyrus, left anterolateral frontal lobe, left anteroinferior temporal lobe, left posterior temporal lobe, and left cerebellum. In the stimulation using burning acupuncture in right LI4,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creased in right posterior prefrontal lobe, right precental gyrus, right postcentral gyrus, right poteroinferior temporal lobe, left precentral gyrus, left Broca's area, left anterior parietal lobe, left posterior prefrontal lobe, and left cerebellum. In right LA, diffuse perfusion increase were noted in the both inferior frontal lobe by traditional acupuncture compared to burning acupuncture. Conclusion : The results localized the cerebral areas showed the effect of the acupuncture on cerebral blood flow. The effects of traditional and burning acupunctures on cerebral blood flow were similar in right Hap-Kok (LI4) acupoints. But the effects of traditional acupunctures on cerebral blood flow are stronger than those of burning acupunctures on cerebral blood fl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