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barley cropping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한계기 구명 (Critical Date of Wet Direct Seeding of Rice after Barley Cropping at Honam Plain Area)

  • 백남현;최민규;박홍규;남정권;고종철;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08-212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 한계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1998{\sim}1999$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조생종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 중생종 금오벼 1호, 주안벼를 공시하여 6월 5일, 6월 10일, 6월 15일, 6월 20일에 10 a당 7 kg씩 담수표면산파하여 생육 및 쌀 수량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68{\sim}81%$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입모율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도복은 오봉벼, 주안벼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으나 삼천벼, 상미벼, 금호벼 1호는 도복발생이 심했다. 3. 안전출수기로 본 파종한계기는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의 경우 6월 20일까지, 금오벼 1호와 주안벼는 6월 15일까지였다. 4. 쌀 수량은 6월 5일 파종과 6월 10일 파종은 파종기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6월 15일 이후 파종에서는 수량감소가 컸다. 5.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출수기, 수량 등을 고려한 파종한계기는 6월 10일이었다.

맥류 생산 수급 전망과 대책 (Prospect of Wheat and Barley Production, Consumption and Supply in Korea)

  • 박문웅;하용웅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8년도 21세기 한반도 농업전망과 대책(한국작물학회.한국육종학회 공동주관 심포지움 회보)
    • /
    • pp.233-248
    • /
    • 1998
  • Food Self-sufficiency rate in Korea was 26.4 percent in 1996. It include $89.9{\%}$ for rice, $99.6{\%}$ for root and tuber crops, and $73.5{\%}$ for barley. To make things worse, self-sufficiency for wheat and corn were far less than 1 percent. As food is considered as weapon, every effort should be given to increase the self-sufficiency. In order to cope with expected food crisis, we suggest wheat and barley be grown in winter period, where there is climate fi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rvey systematically the status of food supply and demand of wheat and barley and to encourage farmers make double cropping systems with better stability in yield and economic return.

  • PDF

논타작물 작부체계의 효율성 분석 - 콩+보리 작부체계 농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fficiency of Cropping System for Substitute Crops - Focus on Farms with Cropping Systems for Soybeans + Barley -)

  • 엄지범;유찬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45-150
    • /
    • 2020
  • 논벼 재배로부터 대체작물로의 이행과정에서 해당 품목에 대한 수익성 및 효율성에 대한 정보의 제공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생산조정제의 정착과 확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필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콩+보리 작부체계의 효율성을 분석함으로써 논타작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농가에 의사결정을 보조하고자 하였다. 먼저, 콩+보리 작부체계의 수익성을 분석하였다. 콩+보리 작부체계를 가진 조사농가들의 평균 소득은 868천원이며, 소득 비율은 55.1%로 나타났다. 논벼 단작과 비교하여 약 1.7배의 소득을 얻는 것으로 나타나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DEA분석을 통해 농가들에 대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농가의 효율성은 CCR모형(0.927815), BCC모형(0.97544)으로 분석되었다. 효율값이 1인 경우는 CCR은 10개, BCC는 14개로 나타났다. 평균 0.9이상으로 나타나 대체로 효율적인 경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비효율적 농가로 나타난 DMU8에 대해서는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써 비효율적인 농가가 효율적인 농가가 되기 위한 목표값을 제공하였다.

Effect of phosphorus application on appearance of algal water bloom and rice yield in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 Hwang, Jae-Bok;Bae, Hee-Soo;Park, Tae-Seon;Choi, In-Ba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3-233
    • /
    • 2017
  • Algal communities are important to maintain the aquatic ecosystems function. Algae have short life cycles, they respond quickly to environmental change and their diversity and density can indicate and the quality of their habitat. The bloom forms before the rice seedings have emerged, it may present a physical barrier that prevents the seedlings from penetrating the floodwater. Wind may also move the algal bloom, pushing the young plants beneath the surface. Another harmful action develops when the water dries up and the algae form a layer at the bottom of the field. The layer envelops the seedlings, which are not yet deeply rooted, and drag them to the surface when the water is let in again. Soil utilization pattern can be the mail facter affecting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especially in soil phosphorus (P). Solid content of the algae culture solu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nitrogen rather the phosphors concentration. Phosphoric acid was treat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s (100-0%, before transplanting time-tillering stage), 50-50%, 0-100%, and un-treated. The herbicide was treated on the 7 DAT (day after transplanting). Green algae samples were collected 20 DAT. Total phosphoric acid was the highest at 0.06 in 50-50% treatment in 20 DAT. The amount of green algae was about twice (9.8 mg/20ml) that of un-treated. Total number of green algae was 54 species(Green algae 35 species, Euglena 9 species, Stone wheel 10 species). Among the phosphoric acid treatment method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green algae were the highest with 39 species in 0-100%, followed by 50-50%, 28 species, conventional treatments, 22 species, non-treatment, 18 species, respectively. Rice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phosphoric treatment time, but slightly higher than un-treated. The maximal algal biomass was observed about 2weeks or 1 month after transplanting; the subsequent decrease of the biomass was related to the consumption by grazers and to a deficient light under the rice canopy. Maximal algal growth was observed just before tillering. To estimate the suitable method of phosphorus application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available phosphorus appearance of algal water bloom, and rice yield were investigated in paddy soil of rice-barley double cropping system.

  • PDF

녹비작물 무 환원-벼 작부체계에서 질소와 인산수지 평가 (Evalu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Balance in Green Manure-Rice Cropping Systems without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 김태영;아일린;파리둘;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8-312
    • /
    • 2012
  • 본 연구는 녹비작물-벼 재배 작부체계에서 볏짚과 녹비작물을 전량 회수하여 사료작물로 활용시 농경지 비옥도 관리를 위한 양분수지를 평가하였다.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비율에 따른 녹비작물 생산량은 B75H2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B75H25 처리구의 벼 수량은 NPK 처리구 대비 90%를 보였다. 녹비작물과 볏짚을 전량 회수시 NPK, B100, B75H25, B50H50, B25H75, H100 처리구의 질소 수지는 각각 2.0, -80.8, -104.0, -93.5, -82.9, 76.2 kg N/ha 이었다. 그리고 질소 수지가 가장 낮은 B75H25 처리구의 인산수지는 -50.3 kg P/ha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녹비작물-벼 재배 작부체계에서 녹비작물과 볏짚을 전량 사료로 활용시 농경지 비옥도 유지를 위해서 각각 약 90 kg N /ha, 50 kg P/ha의 질소와 인산 시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금후 녹비작물을 사료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화학비료 시용량과 적정 녹비작물의 회수량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녹비작물의 경작형태와 우분액비시용이 벼와 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age Cropping System and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Productivity of Rice and Forage Crops and Nutrient Movement in Paddy Land)

  • 육완방;최기춘;이경보;강요셉;윤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5-64
    • /
    • 2011
  • 본 연구는 우분액비 및 녹비작물 도입에 의한 답리작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수확한 다음 우분액비시용이 벼 및 후작물인 답리작 사료작물의 생산성, 토양의 지력증진 효과 및 양분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축산진흥연구소내 식양토의 논에서 200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개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우분액비 시용은 벼는 이앙 전에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으며 총체보리 및 호밀은 파종전과 봄 생육 개시 전에 2회 균등분할 시용하였는데, 화학비료 대비 우분액비의 시용수준은 N를 기준으로 하였다. 처리는 벼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 벼+ 총체보리 2모작 우분액비 시용구, 벼+호밀 2모작 우분액비 시용구, 벼+자운영 및 벼+베치로 구성하여 5처리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배치하였으며 벼는 농가관행에 준하여 재배되었다. 3개년 평균 벼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있어서 초장 및 수장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길었으며 경수 및 낱알 수도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많았다. 등숙율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 총체보리 우분액비 시용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자운영 단작구 및 베치 단작구에 비해 높았다. 현미수량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가 가장 많았고 자운영 단작구 및 베치 단작구는 비슷한 수준으로 총체보리 우분액비 시용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에 비해 낮았다. 벼와 2모작으로 재배한 총체보리의 수량이 호밀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시용에 따른 토양내 pH, $P_2O_5$, T-N, OM 농도 및 치환성 양이온의 농도는 시험전에 비해 시험종료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배출수 중 $NO_3$-N, $NH_4$-N 및 $PO_4$ 농도는 총체보리 및 호밀 우분액비 시용구가 화학비료 단작 표준구에 비하여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앙 후 시일이 경과할수록 낮아졌다.

토양유선량(土壤流先量) 예측(豫測)을 위(爲)한 작부인자(作付因子) 검토(檢討) (Discussion of Cropping Management Factor for Estimating Soil Loss)

  • 정필균;고문환;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3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경사지(傾斜地) 토양보전대책수립(土壤保全對策樹立)을 위(爲)한 토양유실예측공식(土壤流失豫測公式) 확립(確立)과 적절(適切)한 작부체계(作付體系)의 선정(選定)으로 토양유실(土壤流失)을 억제(抑制)하는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수원시(水原市) 구운동(九雲洞) 예산사양토(禮山砂壤土)에서 20% 경사지(傾斜地)에 Lysimeter를 설치(設置)하고 보리-콩 작부체계(作付體系)를 비롯한 14개 작부체계별(作付體系別)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작부체계(作付體系)에 의(依)한 토양유실방지효과(土壤流失防止效果)는 나지(裸地) 12.8 ton/10a에 비(比)해 옥수수단작(單作) 5.4 ton/10a, 보리-콩 작부(作付)에서는 3.1 ton/10a, 목초(牧草)는 1.2 ton/10a 로 좋았다. 한편 토양유실예측공식(土壤流失豫測公式)에 적용(適用)할 작부인자(作付因子)의 값은 옥수수가 0.47로 가장 높고 콩간작(間作) 맥후작(麥後作)옥수수 0.42%, 고구마간작(間作) 맥후작(麥後作)옥수수 0.37, 육도(陸稻) 0.34, 맥후작(麥後作)옥수수 0.34, 고추 0.32, 참깨 0.28, 감자-콩 0.26, 밀-콩 0.25, 밀-참깨 0.20 보리-고추 0.19, 보리-콩 0.18, 보리-고구마 0.10, 목초(牧草) 0.08 순(順)이었다. 토양유실예측공식(土壤流失豫測公式)에 작부인자(作付因子) 값을 적용(適用)한바 실측치(實測値)와 계산치(計算値)의 차(差)는 옥수수의 작부체계(作付體系)에서 35.8%로 가장 크고, 보리-콩의 작부체계(作付體系)에서 3.7%정도로 가장 적었다.

  • PDF

Effects of Rice Straw Amendment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Rice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Reclaimed Tidal Paddy Field

  • Lee, Sanghun;Bae, Hui-Su;Lee, Soo-Hwan;Lee, Kyeong-Bo;Noh, Tae-Hwan;Lee, Geon-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5-212
    • /
    • 2015
  • Farmers with forage barley (Hordeum vulgare L.)-rice (Oryza sativa L.) cropping system at reclaimed tidal lands burn crop residues to facilitate seedbed preparation or remove them for feed stoc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ce straw amendment and N fertilization on soil properties and N uptake of rice under forage barely-rice cropping system at reclaimed tidal paddy field. Rice straw was applied at the rates of 0, 2.5 and $5.0ton\;ha^{-1}$ and N was fertilized at 0, 100, 200 and $400kg\;ha^{-1}$.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fresh and dry weight of forage bare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rice straw. The amount of N uptake of rice at harvesting stage was $65.8-69.2kg\;ha^{-1}$ by the amount of rice straw amend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ice straw amendment levels. After harvesting the rice, the soil salinity decreased with rice straw amendment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forage barely and rice cultivation,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creased to $2.6-2.8g\;kg^{-1}$ and $3.2-3.5g\;kg^{-1}$, respectively. The amount of N uptake of rice at harvesting stage increased up to $82kg\;ha^{-1}$ in $400kg\;ha^{-1}$ N applied plots which were $37.8kg\;ha^{-1}$ higher than the control. Nitrogen fertilization decreased N recovery efficiency. The highest yield of rice was observed at $244kg\;ha^{-1}$ N fertilization level, but the optimum N level was estimated at $168kg\;ha^{-1}$ in order to keep the protein content of rice under 6.5%. Further researches on N uptake and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according to soil salinity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N use efficiency at reclaimed tidal paddy field.

남부(南部)논에서의 수도작기변동(水稻作期變動)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경합특성(競合特性)에 연구(硏究) (Weed Emergence and It's Competition in the Differently Cropped Paddy Fields in Southern Districts)

  • 허상만;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4-34
    • /
    • 1985
  • 남부지역(南部地域)의 논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경합특성(競合特性)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농산(農産)벼와 동진(東津)벼를 공시(供試)하여 보통기(普通期)와 맥후작기재배(麥後作期栽培)에서 비교(比較)하였다. 이앙후(移秧後) 15일간격(日間隔)으로 조사일정(調査日程)을 정(定)하고 각기간(各其間)까지 잡초방임(雜草放任) 또는 무잡초상태(無雜草狀態)를 유지(維持)하면서 시험구별(試驗區別)로 잡초발생(雜草發生)을 조사(調査)하고 수확기(收穫期)에 수도생육량(水稻生育量) 수량요소(水量要素) 및 수량조사(收量調査)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우점종(優占種)은 물달개비와 올챙고랭이었으며, 사초과(莎草科) 잡초(雜草)의 종우점도(種優占度는 맥후작(麥後作)보다 보통기작(普通期作)에서, 동진(東津)벼 보다는 농산(農産)벼 재배지(栽培地)에서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2. 잡초발생(雜草發生)은 보통기(普通期)의 경우, 동진(東津)벼 보다 농산(農産)벼에서 발생수(發生數)는 적었으나 생육량(生育量)은 컸으며, 맥후작기(麥後作期)에서는 오히려 농산(農産)벼에서 발생수(發生數)가 많고 생육량(生育量)은 적은 경향(傾向)이었다. 3. 공시(供試)했던 두 품종(品種)의 벼 모두가 잡초경합(雜草競合)으로 엽중(葉重)과 정조중(正租重)의 감소(減少)가 인정(認定)되었으며, 보통기작(普通期作)에서는 수당영화수(穗當穎花數)(농산(農産)벼), 맥후작(麥後作)에서는 두 품종(品種) 모두 등숙율(等熟率)(동진(東津)벼)의 감소(減少)에 의하여, 맥후작(麥後作)에서는 두 품종(品種) 모두 등숙율과(等熟率)과 립중감소(粒重減少)로 감수(減收)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물달개비와 올챙고랭이가 우점(優占)했던 본 연구(硏究)의 경우, 수도(水稻)의 잡초경합특성(雜草競合特性)은 치명적(致命的)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고 잡초발생허용기간(雜草發生許容期間)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짧은 경향(傾向)이었다. 5. 잡초경합(雜草競合)으로 인한 벼의 최대감수(最大減收)는 품종(品種)과 작기변동(作期變動)에 따라 무잡초구(無雜草區)의 25~55%에 달하였다.

  • PDF

농경지의 이용형태가 토양성 절지동물 군집 및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ricultural Land Use on Abundance,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Epigeic Arthropods)

  • 어진우;김명현;남형규;송영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39-144
    • /
    • 2019
  • BACKGROUND: Epigeic arthropods participate in ecological functions as predators, decomposers and herbivo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ponses of some dominant arthropods in rice fields to different forms of agricultural land management. METHODS AND RESULTS: The abundance of microarthropods was compared between rice fields and uplands in the non-growing season. Collembola, Oribatida and Mesostigmata were more abundant in the upland fields than in the paddy fields. The community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epigeic arthropods were compared between fallow and rice fields. The total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of spiders and ground beet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types of agricultural fields. The abundance of Arctosa kwangreungensis was greater in fallow fields than in cultivated fields. The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s was compared between paddy fields with and without barley. The cropping system altered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spiders but not their biodiversity. Barley cultivation increased the abundance of ground beetles but decreased that of spiders. We suggest that this contrast was partly due to the availability of plants that provided shelter and food for ground beetle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soil use intensity and cropping system alter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epigeic spiders and ground beetles. This could result in ecosystem-level alteration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of pests and weeds.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biodiversity of ground-dwelling arthropods may not increase during short fallow peri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