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ice weed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4초

Combine 수확시 탈락볍씨의 경련 휴경조건하 자연상태에서의 수량성 (Productivity of the Rice Plants at the Abandoned Crop Field Established from the Shattered Grains by Combine Harvesting)

  • 허상만;임준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9-84
    • /
    • 1991
  • 기계수확시 탈립된 종자들이 이듬해 발아 생장하여 휴경조건하에서 수량 및 수량구성 요소에 많은 변이를 보였기에 무경운 직파재배의 가능성을 타진하려 수도의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또한 잡초종의 피도에 따른 수량변이를 상관계수를 통해 알아보았다. 무경운 무시비 조건에서도 단위면적당 최대 188kg/10a의 수량을 보여 입모확보가 보장된다면 무경운 직파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성공적 무경운 직파를 위해서는 충분한 입모확보, 천이, 두과식물과의 적절한 혼파 초형개발에 관한 연구가 기대된다.

  • PDF

휴경지의 웅덩이와 여울에 의한 수질정화특성 (Water Quality Improvement Characteristics in Fallow Paddy by the Shallow Pool and Shallows)

  • 김선주;김형중;김필식;지용근;양용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35-45
    • /
    • 2006
  • Fallow paddy areas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import of cheap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unbalance between farming cost and rice price since 1990. In domestic, rice production control that decrease paddy field area has been introduced for the control of rice demand and supply and stabilization of rice price since 2003. Because of the desire of paddy field's owner to create benefit by using paddy for other object, fallow paddy would be continuously increased. In the other aspect, many people in the world is suffering from hunger because of the shortage of food. In case of Korea, continuous drought and flood damages will be potential concern of stable food supply. From this viewpoint, the increasing fallow paddy area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devastation by weed breeding for the re-cultivation. In this study, fallow paddy managed with the shallow pools and shallows was selected fur monitoring and analyzing of water quality and plant body change. As the results, the managed fallow paddy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and the control of plant growth.

벼 무경운(無耕耘) 담수표면산파재배시(湛水表面散播栽培時)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잡초(雜草) 발생양상(發生樣相) 및 우점도(優點度) 변이(變異) (Changes in Weed Occurrence and Dominance Influenced by Seeding Dates in Water Seeded Rice Paddy under No-tillage Condition)

  • 권오도;구자옥;신해용;박태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9-185
    • /
    • 1998
  • 벼 무경운 담수표면산파재배에서 4월 20일, 5월 10일, 5월 30일에 파종량을 40kg/ha 수준으로 파종하여 각 시기별로 잡초 발생양상 및 우점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운조건에서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발생된 초종은 피, 사마귀풀, 물달개비, 올방개, 여뀌 등이었으나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사마귀풀, 물달개비, 올방개, 둑새풀, 나도겨풀, 올미, 벗풀, 물질경이, 가래 등이었다. 2. 4월 20일 파종에서 발생된 잡초는 경운조건에서 피 등 5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81.7 : 18.3%이었다.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7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월년 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90.6 : 0.4 : 9.0%이었다. 3. 5월 10일 파종에서 발생된 잡초는 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4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비율은 90.4 : 9.3%였다.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8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47.1 : 52.9% 였다. 4. 5월 30일 파종에서 발생된 잡초는 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5초종이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75.5 : 24.5%였다. 무경운조건에서는 피 등 8초종이 발생되었으며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발생 비율은 22.6 : 77.4%였다. 5. 파종시기별 발생본수로 본 우점초종은 경운조건의 4월 20일 파종에서는 물달개비, 5월 10일, 20일 파종에서는 피였고, 무경운조건의 4월 20일과 5월 10일 파종에서는 사마귀풀이, 5월 30일 파종에서 올방개였다. 발생량으로 본 우점초종은 경운조건하에서는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피였으며 무경운조건하에서는 발생본수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6. 파종시기별 잡초 발생 우점도는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4월 20일 파종에서는 각각 0.248 및 0.736이였으며, 5월 10일 파종에서는 0.481 및 0.261, 5월 30일 파종에서는 0.359 및 0.281이었다.

  • PDF

주요(主要) 논잡초(雜草)의 광도(光度)에 따른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의 초종간(草種間) 차이(差異) (Photosynthetic Activity of Major Paddy Weeds at Various Light Intensities)

  • 구연충;박태식;권규칠;박석홍;함영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1-155
    • /
    • 1983
  • 논에 발생(發生)하는 주요잡초(主要雜草)에 대(對)한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을 구명(究明)하여 벼와 잡초(雜草)와의 경합관계(競合關係)를 밝히고자 잡초(雜草) 8 종류(種類), 벼 2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종별(草種別)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너도방동산이 (Cyperus serotinus) > 물피 (Echinochloa crus-gall) > 가막살이 (Bidens tripartita) >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 여뀌바늘 (Ludwigia prostrata) 순(順)으로 높았으며 반면(反面)에 호흡율(呼吸率)용 가막살이 (Bidens triparlita) >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 > 너동방동산이 (Cyperus serotinus) > 알방동산이 (Cyperus difformis) 순(順)으로 높았다. 2. 광도별(光度別)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올미 (Sagittaria pygma) 등(等)은 30 Klux 정도(程度)가 광포화점(光飽和點)으로 보여졌으나 기타(其他) 잡초(雜草)들은 광도(光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광합성(光合成)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잡초(雜草)와 벼와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잡초(雜草)가 2 배(倍) 이상(以上) 높았으며 광도(光度) 증가(增加)에 따른 증가율(增加率)도 잡초(雜草)가 높았다. 4. 단위건물중당(單位乾物重當)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보다 광엽잡초(廣葉雜草)에서 높은 경향(傾向)이며 비엽면적(比葉面積)도 광엽잡초(廣葉雜草)에서 높았다.

  • PDF

벼 담수직파논에서 새섬매자기와 미국외풀 발생밀도에 따른 쌀 수량 감소와 경제적 방제수준 (Rice Yield Loss and Economic Threshold Levels by Densities of Scirpus planiculmis and Lindernia dubia in Wet-Seeded Rice Paddy Fields)

  • 권오도;안규남;이인;신서호;박흥규;신해룡;문병철;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8-354
    • /
    • 2011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잡초 경합밀도별 쌀 수량 감소는 새섬매자기의 경우, $m^2$당 24본 이상에서, 미국외풀은 48본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새섬매자기($m^2$당 192본)와 미국외풀($m^2$당 386본)의 최대 경합밀도에서 각각 43%, 22% 정도 감소되었다. 새섬매자기 발생밀도에 따른 수량 예측 모델식은 Y=531.3kg/(1+0.003931x), $r^2$=0.964, 미국외풀은 Y=547.0kg/(1+0.000792x), $r^2$=0.922으로 나타나 벼에 대한 새섬매자기의 경합력이 미국외풀 보다 약 5.0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usens(1985) 방법에 따른 초종별 경제적 방제수준은 새섬매자기는 $m^2$당 7.2본, 미국외풀은 34.9본으로 나타나 이에 비해 잡초 발생밀도가 높을 때는 방제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 건답직파재배시(乾畓直播栽培時) 조기담수(早期湛水)에 따른 벼 생육(生育) 및 잡초발생(雜草發生) 영향(影響) (Effects of Early Flooding in Dry Seeded Rice on Rice Growth and Weed Occurrence)

  • 박성태;황정동;황동용;손양;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1-186
    • /
    • 1996
  • 벼 건답직파재배시(乾畓直播栽培時) 상시담수시기(常時湛水時期)에 따른 벼 생육영향(生育影響) 및 잡초발생(雜草發生)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고자 화남(花南)벼를 5월(月) 6일(日)에 건답휴립(乾畓畦立)줄뿌림하여 담수시기(湛水時期) (출아직전(出芽直前), 출아기(出芽期), 2, 3, 4, 5엽기(葉期))를 달리할 때 벼 입모(立毛),도복관련형질(倒伏關聯形質) 및 수량성(收量性)과 잡초발생(雜草發生) 차이(差異)를 조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出芽日數)는 21-24일(日), 입모수(立毛數)는 89-101개(個)/$m^2$로 출아직전(出芽直前) 담수(湛水)는 출아일수(出芽日數)가 3일지연(日遲延)되었고 입모수(立毛數)도 떨어 졌으나 그외 담수시기간(湛水時期間)에는 출아일수(出芽日數)가 같고 입모수(立毛數)도 비슷하였다. 2. 파종후(播種後) 35일(日) 모생육(生育)은 초장(草長)과 엽수(葉數)는 비슷했으나 건물중(乾物重) 및 충실도(充實度)는 담수시기(湛水時期)가 늦을수록 약간씩 증가(增加)하였다. 3. 잡초발생(雜草發生)은 조기담수(早期湛水) 할수록 적었는데 4엽기(葉期) 담수대비(湛水對比) 출아기(出芽期) 및 2엽기(葉期) 담수(湛水)는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39-61% 경감(輕減)되었다. 4. 담수시기(湛水時期)에 관계없이 가장 우점초종(優占草種)은 피였고, 그 다음으로는 사마귀풀이었는데 사마귀풀은 대체로 조기(早期) 담수구(湛水區)에서 發生이 많았다. 밭잡초(雜草)로는 논냉이, 바랭이, 밭뚝외풀 등의 발생(發生)이 많았고 이들 잡초(雜草)는 담수시기(湛水時期)가 늦을수록 발생(發生)이 더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5. 도복지수(倒伏指數)는 127-152로 담수시기(湛水時期)가 늦을수록 약간씩 낮아 졌으나 전체적(全體的)으로 볼때 담수시기(湛水時期) 도복형질(倒代形質) 및 줄기 도복저항성(倒代低抗性)은 큰 차이가 없었다. 6. 쌀수량(收量)은 448-508kg/10a으로 4엽기(葉期) 담수대비(湛水對比) 출아직전(出芽直前) 담수(湛水)는 수수(穗數) 부족(不足)으로 8%, 5엽기(葉期) 담수(湛水)는 수당입수(穗當粒數)가 적어 4% 감소(減少)하였으나, 출아기(出芽期), 2엽기(葉期) 및 3엽기(葉期) 담수(湛水)는 등숙비율(登熟比率) 및 천립중(千拉重)의 증가(增加)로 쌀수량(收量)이 2-5% 증수(增收) 되었으나 통계적(統計的)으로 유의차(有意差)는 없었다.

  • PDF

IAA의 종자침지처리(種子浸漬處理)가 CNP와 Butachlor에 의한 수도약해(水稻藥害)의 경감(輕減)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AA Seed Pretreatment on Reduction of CNP and Butachlor Injury to Rice)

  • 변종영;권용웅;이은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1-145
    • /
    • 1982
  • IAA의 종자침지처리(種子浸漬處理)에 의하여 수도(水稻)에 대한 CNP와 Butachlor의 약해(藥害)를 경감(輕減)시킬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담수직파(湛水直播)와 건답직파조건(乾畓直播條件)에서 기초실험(基礎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1. 담수직파조건(湛水直播條件)에서 IAA 0.1, 1.0, 10.0ppm 에 수도종자(水稻種子)를 침지처리(浸漬處理)하므로써 CNP와 Butachlor에 의한 수도피해(水稻被害)의 경감효과(輕減効果)가 나타남에 따라 수도(水稻)의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은 IAA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增加)되었다. 2. 건답직파조건(乾畓直播條件)에서는 IAA 0.1, 1.0ppm에 수도종자(水稻種子)를 침지처리(浸漬處理)하므로써 수도(水稻)에 대한 CNP와 Butachlor의 피해(被害)는 크게 경감(輕減)되었다. 3.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Butachlor를 처리(處理)하거나 건답직파조건(乾畓直播條件)에서 CNP를 처리(處理)한 경우에 IAA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効果)는 더욱 현저한 경향(傾向)이었다.

  • PDF

제초제에 대한 벼 품종간 반응 (Differences in Response of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to Herbicides)

  • 신동현;키이쓰 무디;프란시스코 제이 쟈파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0-149
    • /
    • 1996
  • 벼의 제초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키 위하여 300 품종 및 계통을 대상으로 제초제 butachlor, thiobencarb, simetryn을 사용하여 선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에 대한 벼품종과 계통들의 반응은 사용한 제초제와 그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New Sabarmati(BAS), Gora, PTB 18 등은 butachlor에 내성을 보인 반면에 Azucena, IR44707-31-1-3-2, ARC 7293 등은 thiobencarb에 내성을 나타내었고, Gora, ARC 7293, and Dudmona 등은 두제초제에 공히 내성을 보였다. 그러나 simetryn에 대한 벼의 반응은 butachlor과 thiobencarb와는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2. 제초제 처리에 의한 신초의 생장과 생체중은 온도와 제초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제초제에 대한 벼의 반응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온실시험 결과와 비교한 결과 실내시험이 높은 온도(온실의 낮기온)에서 수행되었을 때 두가지 검정방법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벼와 피에서 Dithiopyr의 흡수(吸收) 및 이행(移行)과 선택성(選擇性) 기작(機作)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Dithiopyr and its Mechanism of Selectivity in Rice and Barnyardgrass)

  • 변종영;강광식;양환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27
    • /
    • 1994
  • 피리딘계(系) 제초제(除草劑) Dithiopyr의 벼와 피에 대한 선택성(選擇性)을 발아(發芽) 및 수경재배(水耕栽培) 실험(實驗)을 통하여 검정(檢定)하였으며 선택성(選擇性) 기작(機作)을 밝히고자 벼와 피에서 $^{14}C$-dithiopyr의 흡수(吸收) 및 이행(移行)을 조사(調査)하였다. 1. 벼는 피보다 Dithiopyr에 내성(耐性)을 보였으나 피는 감수성(感受性)를 나타냈다. 벼와 파에서 생장저해(生長沮害)는 줄기보다 뿌리에서 더 심한 경향(傾向)을 나타냈으며 2葉期(엽기)에서는 4葉期(葉基)보다 생장저해(生長沮害)가 더 심하였다. 2. 피는 벼보다 $^{14}C$-dithiopyr의 흡수량(吸收量뚫)이 많았으며 뿌리 뿐만 아니라 줄기 기부(基部)를 통하여도 흡수(吸收)되었으며 이행량(移行量)은 두 초종(草種)에서 모두 매우 적었으나 벼보다 피에서 이행속도(移行速度)가 빠른 경향이었다. 3. 따라서 Dithiopyr의 초종(草種)간 선택성(選擇性은) 주로 흡수량(吸收量)과 이행속도(移行速度)의 차이(差異)에 기인(基因)한다고 생각되었다.

  • PDF

벼에서 Dithiopyr의 약해발생(藥害發生) 기구(機構) (Mechanism of Phytotoxicity of Dithiopyr in Rice)

  • 강광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06
    • /
    • 1994
  • 수경재배(水耕栽培)와 폿트실험을 통하여 벼에서 이앙심도(移秧深度), 묘령(苗齡) 및 토성(土性)에 따른 Dithiopyr의 약해정도(藥害程度)를 검정(檢定)하였으며 벼에서 상기(上記) 요인(要因)에 따른 벼의 $^{14}C$-dithiopyr 흡수량(吸收量)을 측정(測定)하여 벼의 Dithiopyr 약해발생(藥害發生) 기구(機構)를 구명(究明)하였다. 1. 벼는 이앙심도(移秧深度)가 얕고 엽령(葉齡)이 어릴수록, 그리고 양토(壤土)나 사양토(砂壤土)에 비하여 사질토양(砂質壤土)에서 약해정도(藥害程度)가 더 심한 경향(傾向)이었다. 2. Dithiopyr의 흡수량(吸收量)은 벼의 이앙심도(移秧深度) 2, 3cm, 보다 0cm에서 그리고 엽령(葉齡) 2엽기(葉基)보다 3, 4엽기(葉基)에서 더 많았다. 그리고 사질양토(砂質壤土)은 사양토(砂壤土)나 양토(壤土)에 비하여 흡수량(吸收量)이 많은 경향(傾向)이었다. 3. 따라서 사질양토(砂質壤土)과 이앙심도(移秧深度)가 얕거나 뜬묘(苗)가 생긴 경우(0cm)에는 벼의 Dithiopyr 흡수량(吸收量)이 많기 때문에 벼의 약해발생(藥害發生)이 높은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