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paddy soils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4초

습답(濕畓)에서 수리특성(水理特性)과 수도생육(水稻生育)과의 관계(關係) (Relation between Hydraulic Properties and Growth of Rice in Poorly Drained Paddy Soils)

  • 박창서;임정남;류관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5-189
    • /
    • 1982
  • 습답(濕畓)의 저수요인(低收要因)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수분이동(水分移動) 방향(方向),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산화환원전위(酸化還元電位)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곡간습답(谷間濕畓)에서는 지점(地点)에 따라 ${\Delta}Hp$의 변이(變異)가 크고 수도(水稻)의 작황(作況)도 차이(差異)가 심(甚)하였으나 평탄습답(平坦濕畓)에서는 지점간(地点間)의 ${\Delta}Hp$가 거의 균일(均一)하였다. 2. 물의 이동(移動) 방향(方向)에 따라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수도생육(水稻生育)의 차이(差異)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3. ${\Delta}Hp$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수량간(收量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 지하수(地下水) 용출(湧出)이 많을수록 수량(收量) 감소(減少)가 심(甚)하였다. 4. 토양온도(土壤溫度)와 수도(水稻)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간(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으며, $16^{\circ}C$로 유지(維持)된 지점(地点)에서는 생육(生育)이 정지(停止)되어 수량(收量)이 전혀 없었다. 5. 토양(土壤)의 산화환원전위(酸化還元電位)는 ${\Delta}Hp$가 0의 부근(部近)에서 낮았고 물의 이동(移動)이 심(甚)한 곳에서는 높았다.

  • PDF

Ammonia Volatilization from Rice Paddy Soils Fertilized with 15N-Urea Under Elevated CO2 and Temperature

  • Lim, Sang-Sun;Kwak, Jin-Hyeob;Lee, Dong-Suk;Lee, Sun-Il;Park, Hyun-Jung;Kim, Han-Yong;Nam, Hong-Shik;Cho, Kyeong-Min;Choi, Woo-J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3-237
    • /
    • 2009
  • It has widely been observed that the effect of elevating atmospheric $CO_2$ concentrations on rice productivity depends largely on soil N availabilities. However, the responses of ammonia volatilization from flooded paddy soil that is an important pathway of N loss and thus affecting fertilizer N availability to concomitant increases in atmospheric $CO_2$ and temperature has rarely been studied. In this paper, we first report the interactive effect of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on ammonia volatilization from rice paddy soils applied with urea. Urea labeled with $^{15}N$ was used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contribution of applied urea-N to total ammonia volatil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emperature Gradient Chambers (TGCs) with two $CO_2$ levels [ambient $CO_2$ (AC), 383 ppmv and elevated $CO_2$ (EC), 645 ppmv] as whole-plot treatment (main treatment) and two temperature levels [ambient temperature (AT), $25.7^{\circ}C$ and elevated temperature (ET), $27.8^{\circ}C$] as split-plot treatments (sub-treatment) with triplicates. Elevated temperature increased ammonia volatilization probably due to a shift of chemical equilibrium toward $NH_3$ production via enhanced hydrolysis of urea to $NH_3$ of which rate is dependent on temperature. Meanwhile, elevated $CO_2$ decreased ammonia volatilization and that could be attributed to increased rhizosphere biomass that assimilates $NH_4^+$ otherwise being lost via volatilization. Such opposite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 and $CO_2$ resulted in the accumulated amount of ammonia volatilization in the order of ACET>ACAT>ECET>ECAT. The pattern of ammonia volatilization from applied urea-$^{15}N$ as affected by treatments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otal ammonia volatiliz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elevated $CO_2$ has the potential to decrease ammonia volatilization from paddy soils applied with urea, but the effect could partially be offset when air temperature rises concomitantly.

99Tc의 토양-쌀알 전이 감소를 위한 소석회와 유기질 비료의 토양첨가 (Soil Applications of Slaked Lime and Organic Fertilizer for Reducing 99Tc Transfer from Soil to Rice Seeds)

  • 최용호;임광묵;전인;김병호;금동권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68
    • /
    • 2013
  • 논의 $^{99}Tc$ 오염 시 소석회와 유기질 비료의 토양 첨가가 쌀알 내 $^{99}Tc$ 농도 저감 대책으로서 유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온실 내에서 두 가지 논토양에 대해 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내기 15 일 전에 약 20 cm 깊이에 해당하는 상부 토양을 상기 농용 물질과 $^{99}Tc$로 처리하였다. 처리 효과는 토양 중 농도에 대한 작물체 내 농도의 비로 정의되는 전이계수(TF)로 비교하였다. 대조 작물체의 경우 두 토양에서 현미 TF 값은 $4.1{\times}10^{-4}$$4.3{\times}10^{-4}$였다. 각종 유형의 첨가 중에서 한 토양에 대해 60%정도의 TF 값 감소를 나타낸 소석회 저수준 첨가(약 0.6 kg $m^{-2}$)만이 대책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른 한 토양에서는 동 첨가의 효과가 거의 없었으므로 다수의 토양에 대한 평균적인 효과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두 가지 다른 수준의 유기질 비료의 첨가는 모두 TF 값을 증가시켰다. 위보다 더 낮은 수준의 소석회 첨가에 대해 실험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국내 휴·폐금속광산 주변 백미의 비소 및 중금속 함량과 일일 섭취량 (Concentrations and Daily Intake of Arsenic and Heavy Metals in Polished Rice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 권지철;이군택;김정욱;정명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1호
    • /
    • pp.63-73
    • /
    • 2018
  • Rice is a staple food source in Asian countries. In paddy field, rice plant can take up toxic elements through its roots from contaminated soils, and its leaves and grain can absorb the toxic elements deposited on the soil surface. A totla of 40 soil and polished rice samples were collected around four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and analyzed for As, Cd, Cu, Pb and Zn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The average contents of As, Cd, Cu, Pb and Zn in rice grain grown on the contaminated soils were 0.247, 0.174, 4.694, 0.804 and 16.78 mg/kg, respectively. These levels are higher than worldwide average concentrations. Assuming the rice consumption of 169 g/day by overall households in Korea, the estimated daily intakes from the rices were found to be 33, 48, and 63% for As, Cd, and Pb, respectively, of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suggested by the FAO/WHO Joint Food Additive and Contaminants Committee.

동일비료 장기연용 논토양의 탈수소효소 생성균과 효소활성 (Long-term Composting and Fertilization Impact on Dehydrogenase-producing Bacteria and Dehydrogenase Activity in Rice Paddy Soil)

  • 서장선;김수정;노형준;권장식;정원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9-233
    • /
    • 2007
  •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생성균과 탈수소효소활성의 논토양 건전성평가 생물지표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고자, 동일 비료 장기연용 논토양의 무처리구, 질소시용구 (N), 화학비료시용구 (NPK), 그리고 퇴비와 화학비료 혼합시용구 (CNPK)를 대상으로 담수전에 시료를 채취하여 탈수소효소를 분비하는 세균과 Bacillus 그리고 탈수소효소활성을 조사하였다. 논토양의 탈수소효소활성은 유기물함량이 비교적 높고 유효인산 많은 화학비료시용구(NPK) 및 퇴비와 화학비료 혼합시용구(CNPK)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토양의 탈수소효소생성균 밀도와 탈수소효소활성간에는 유의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챔버를 이용한 농작지로부터의 기체배출량의 측정과 배출특성연구: 일산화질소(NO)와 아질산가스($N_2O$)의 배출량산정 (Measurements of Gases Emissions form Agricultural Soils and Their Characteristics with Chamber Technique: Emissions of NO and $N_2O$)

  • 김득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3-212
    • /
    • 2001
  • During the growing season from June to August, 2000, the soil NO and $N_2$O fluxes were measured to elucidate characteristics of soil nitrogen emissions from different types of intensively managed agricultural soils at outskirts of Kunsan City, located in the western inland of Korea, Flux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a closed chamber technique at two different agricultural fields; one was made from upland field, and the other from rice paddy field. The flux data from upland field were collected for both the green onion and soybean field. Concentrations of NO and $N_2$O inside a flux chamber ar 15 minute sampling interval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ir soil emissions. Either polyethylene syringes of teflon air bags were used for gas samples of $N_2$O and NO. The analysis of NO and $N_2$O was made using a chemiluminesence NO analyzer and GC-ECD, respectively no later than few hours after sample collection at laboratory. The gas fluxes were varied more than one standard deviation around their means. Relatively high soil gas emissions occurred in the aftermoon for both NO and $N_2$O. A sub-peak for $N_2$O emission was observed in the morning period, but not in the case of NO. NO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 were much less than those from upland site. It seems that water layer over the rice paddy field prevents gases from escaping from the soil surface covered with were during the irrigation and acts as a sink of these gases. The NO fluxes resulted from these field experiments were compared to those from grass soil and they were found to be much higher. Diurnal and daily variations of NO and $N_2$O emission were discussed and correlated with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soil nitrogen availability.

  • PDF

A Study on Soil Characteristics of Paddy Fields with Re-established Soils

  • Sonn, Yeon-Kyu;Moon, Yong-Hee;Zhang, Yong-Seon;Jung, Kang-Ho;Cho, Hye-Rae;Hyun, Byung-Keun;Shin, Kook-Sik;Han, Kyeong-Hwa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4-204
    • /
    • 2015
  • Six study sites in Gumi, Goryeong in Gyeongbuk province and Naju in Jeonnam province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soil properties of poorly drained horizons in paddy soils. The horizons were re-established layers which were parent material layers originated from fluvial deposits. Topsoil layers were differentiated from piled parent materials while soil structure of the topsoil layer was massive with striated microstructure. Compaction at soil re-establishment and a lack of structure and aggregate development in these soils may cause the limitation of vertical water movement and result in poorly drained horizons. Soil samples were taken from paddy fields with top soils of sandy loam, silt loam and silty clay loam and re-established soils of coarse and fine texture. The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horizon for the analyses of soil chemical and mineral properties. Soils with re-established soils of coarse texture had greater amounts of sands from top soil texture distributions, while soils with fine texture had greater amounts of silts. Chemical properties of top soils were analyzed from rice cultivated soils at the time of re-establishments and one year after the re-establishments. The coarse texture of the re-established horizons decreased in EC values from 0.23 to $0.11(dS\;m^{-1})$, available phosphate values from 112 to $54(mg\;kg^{-1})$, and exchangeable Ca values from 6.6 to $4.9(cmol_c\;kg^{-1})$. On the other hand, soils with fine texture showed decrease only in pH and exchangeable Ca values. Especially,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ate contents showed heterogeneous distributions from each horizon. This result may be caused by mixture of plough layer and subsurface layer during and consolidation.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were low at the boundaries of top soil and parent material layers except SL/coarse soil. Soil microstructure was massive structure without soil clods or pores and showed striated structure. Therefore, re-established paddy fields with fluvial deposits as parent material layers showed limited vertical movements of soil water because of occurrence of compacted layers and less-development of soil clods and aggregates.

건답 직파재배 논에서 질소비료 형태에 따른 시용효과 (Effect of Various Nitrogen Fertilizers on Rice Yield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박철수;정영상;이호진;주진호;서준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18-324
    • /
    • 2000
  • 건답 직파 재배 포장에서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와 유기질 비료의 시용 효과를 강원도 춘천시 천전리에 소재하는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농장에서 포장시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직파된 공시품종은 오대벼였다. 질소의 수준은 95년과 96년에는 $150kg\;ha^{-1}$를 표준으로 하였고, 97년 시험에서는 녹비 작물의 질소질 비료의 성분을 고려하여 기비와 추비를 합한 질소 수준을 $120kg\;ha^{-1}$로 하였다. 요소의 분시 방법으로 분시비율 40-0-30-30과 0-40-30-30 처리를 하고,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와 polymer resin을 입힌 완효성 비료로만 처리하였다. 요소 시용구에서 인산과 칼리는 각각 70kg과 $80kg\;ha^{-1}$수준으로 기비 처리하였다. 유기질비료로 춘천시 신북 농협에서 공급되는 계분 발효 퇴비를 $4,800kg\;ha^{-1}$기비시용에 $50kg\;N\;ha^{-1}$ 추비구와 $6,000kg\;ha^{-1}$ 기비만의 시용구를 두었다. 구당 면적은 $75m^2$이었다. 포장시험 결과 건답 직파 재배구의 수량은 요소 시용구에서 이앙 재배구의 80.7% 수준이었으며, 분시 방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유기질비료를 다량 시비한 $6,000kg\;ha^{-1}$구에서는 이앙 재배구 수량의 78.1%이었고, $4,800kg\;ha^{-1}$ 기비시용에 $50kg\;N\;ha^{-1}$ 추비구의 수량은 76.8%이었다. Polymer 입힌 완효성 비료구의 수량은 이앙 재배구의 81.0%이었다.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 시용구의 수량은 이앙 재배구의 96.8%로 높았다.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의 시용 효과가 다른 비료에 비해 효과가 있는 이유는 고형의 단단하고 큰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료 성분이 서서히 용출되어 나와 효과적으로 작물에 공급된 한편 비료 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온도가 낮은 춘천 지역에서 직파 재배에 따른 호맥 생육 기간이 짧아 질소 공급효과는 적었다.

  • PDF

홍적대지에 발달된 중점질 논토양에서 벼 수량에 미치는 수종 화학성분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some Chemical Soil Components in relation to Rice Yield in Heavy Textured Paddy Soils developed on Alluvial Terrace)

  • 유인수;안상배;박천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9-93
    • /
    • 1973
  • 홍적대지에 발달된 식질계 토양인 화동통에 있어서 벼수량에 미치는 작토의 수종 화학성분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 연구할 목적으로 과거의 3요소 시험에서 얻은 성적들을 종합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비료를 시용하기 않었을 때의 화동통의 벼생산량은 158kg에서 719kg까지의 큰수량이 차이를 보이며, 2. 화동통에서의 벼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은 작토중의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 함량이고 치환성카리, 석회, 고토및 양이온치환용량등은 수량과 상관이 없었다. 3. 화동통에서 벼수량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작토중의 인산함량 보다는 유기물 함량이었으며, 4. 작토중 유기물함량이 2.0%미만인 경우와 3.0%이상인 경우에는 인산질 비료의 시용효과가 현저히 컸으나 유기물 함량이 2.0~2.9%인 경우에는 인산질비료의 시용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추정이 가능하였다. 가. 작토중 유기물함량이 2.0% 미만인 경우는 작토중의 유효인산의 결핍으로 인하여 인산질 비료의 효과가 나타난다고 판단되었으나, 나. 작토중의 유기물 함량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유효인산함량 부족때문이 아니고 토양중의 유효 인산함량은 많었어도 작물의 인산흡수 저해로 말미아마 인산 비료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 따라서 논토양에서의 인산검정 상관연구에서는 유기물함량이 2% 이하인 토양을 대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며, 라. 유기물함량이 3.0%를 넘는 논토양에서는 인산비료의 시비효과는 크나 이는 양분흡수저해 때문이라고 판단되었기에 인산의 시용만으로는 근본적인 벼 증수대책이 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도로변(道路邊)에 인접(隣接)한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 및 작물체중(作物體中)의 연오염(鉛汚染);제(第)2보(報) 경작지(耕作地) 토양중(土壤中)의 연함량(鉛含量)과 작물체중(作物體中) 연함량(鉛含量)과의 관계(關係) (Pollution of Pb in paddy field soil and rice plants at roadside areas;II.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Pb in paddy field soil and rice plants)

  • 이석준;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8-148
    • /
    • 1991
  • 자동차(自動車) 배기(排氣)가스에 포함(包含)된 연화합물(鉛化合物)이 도로인접토양(道路隣接土壤)에서 경작(耕作)되고 있는 수도작물체(水稻作物體)에 영향(影響)을 미칠것으로 생각되어 대구(大邱)를 중심(中心)으로 경상북도내(慶尙北道內)의 고속도로(高速道路) 및 주요(主要) 국도변(國道邊)에 인접(隣接)한 답토양(畓土壤) 18개(個) 지점(地點)을 선정(選定)하여 수도작물체(水稻作物體)에서의 연함량(鉛含量) 및 토양중(土壤中) 연함량(鉛含量)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8개(個) 지점(地點)에서 평균(平均)한 수도작물체(水稻作物體) 각(各) 부위별(部位別) 연함량(鉛含量)은 뿌리에서 12.9ppm, 잎에서 4.8ppm, 줄기에서 4.3ppm, 현미에서 0.4ppm으로 뿌리>잎>줄기>현미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토양중(土壤中) 전연함량(全鉛含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수도작물체(水稻作物體) 뿌리중 연함량(鉛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줄기, 잎 및 현미중 연함량(鉛含量)은 토양중(土壤中) 연함량(鉛含量)과 관련(關聯)하여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지 않았다. 뿌리중 연함량(鉛含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줄기, 잎 및 현미중 연함량(鉛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토양중(土壤中) 연(鉛)의 화학적(化學的) 형태별(形態別) 함량(含量)과 뿌리중 연함량(鉛含量)과의 관계(關係)는 유기태(有機態), 탄산태(炭酸態) 및 황산태(黃酸態) 형태(形態)의 연함량(鉛含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뿌리중 연함량(鉛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치환태(置換態) 및 부용태(不溶態) 형태(形態)의 연함량(鉛含量)은 뿌리중 연함량(鉛含量)과 관련(關聯)하여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본(本) 연구(硏究)에 사용(使用)된 토양시료(土壤試料)의 pH범위내(範圍內)에서 토양(土壤) pH가 증가(增加)할수록 연흡수율(鉛吸收率)은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토양중(土壤中) Fe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연흡수율(鉛吸收率)은 (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유기물(有機物), CEC 및 Phosphate 함량(含量)은 수도(水稻)의 연흡수율(鉛吸收率)과 관련(關聯)하여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