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herbicide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19초

ACCase 및 ALS 저해 제초제 저항성 강피의 엽기별 약제방제효과 (Weeding Effect of Echinochloa oryzoides Resistant to ACCase and ALS Inhibitors by the Leaf Stages)

  • 이인용;권오도;김창석;이정란;신해룡;문병철;박재읍;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1
    • /
    • 2011
  • 제초제 저항성 피의 종합방제를 위해 약제별, 엽기별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저항성 강피 발생전 토양처리 제초제의 효과는 옥사디아길 1.7% 유제, 옥사디아존 12% 유제, 펜트라자마이드 옥사디아길 3.3% 유제의 3종에서 100% 방제되었으며, 펜톡사존 5% 액상수화제는 약제처리 후 31일부터 후발 피가 발생되기도 하였으나 98% 이상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저항성 피 1.0~2.5엽까지 100% 방제가 가능한 제초제는 아짐설퓨론 카펜스트롤 1.05% 입제, 벤설퓨론 메틸 벤조비사이클론 메페나셋 24.52% 액상수화제, 벤설퓨론메틸 펜트라자마이드 7% 액상수화제, 벤설퓨론메틸 메페나셋 옥사디아길 21.6% 액상수화제, 메페나셋 피라조설퓨론에틸 3.57% 입제 등 5종이었다. 피 3.0엽기까지 방제가 가능한 제초제는 벤조비사이클론 메페나셋 페녹슐람 21.5% 액상수화제와 메페나셋 피라조설퓨론에틸 3.57% 입제등 2종이었다. ACCase 및 ALS 제초제 저항성 피를 완벽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발아전 제초제와 초 중기 토양처리제초제의 선택과 이들 제초제의 체계처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 특정효소저해제의 생물활성 조사에 의한 신규제초제 작용점 탐색 (Searching of Possible Target Enzymes for Herbicide Development using Commercial Plant-Specific Inhibitors)

  • 황인택;최정섭;박상희;이관휘;이병회;홍경식;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5
    • /
    • 2001
  • 본 연구는 새로운 제초제 후보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식물특이적 효소 저해제로 알려진 107개 기존 화합물에 대하여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Germination test, seedling assay, wheat leaf disc assay, cyanobacteria assay, whole plant assay를 통하여 15종의 저해제를 선발하였고 이들은 34종 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phenylhydrazine, purine, o-phenanthroline, oleylamine, 7,8-benzoquinoline, aminooxyacetic acid, dicyclohexylcarbodiimide 등은 성체를 이용한 온실 실험에서 높은 제초활성을 나타내었다. 7,8-benzoquinone, 8-hydroxyquinoline, 2,2'-dipyridyl 및 o-phenanthroline 등은 피, 벼, 토마토의 발아를 $1.25{\sim}5{\mu}M$의 농도에서도 억제하였다. 7,8-benzoquinoline, cyanuric fluoride, 4-methylpyrazole, tranylcypromine, oleylamine과 trifluoperazine 등은 $30{\sim}100{\mu}M$ 농도에서 cyanobacteria의 생육을 저해하였다. Dicyclohexyl carbodiimide와 chlorpromazine은 $100{\mu}M$ 농도에서 wheat leaf disc의 백화현상을 유기시켰다. 이상과 같이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식물 특이적 효소저해제들은 신규제초제 후보물질을 선발하기 위한 새로운 대상효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경상북도 지역 논 제초제의 농가 사용 실태 (Fact-finding Survey on The Use of Paddy Field Herbicides at Farmer's Level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김상국;한윤열;신종희;김수용;원종건;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7-132
    • /
    • 2012
  • 경북지역에서 벼를 재배하는 214 농가를 대상으로 잡초발생 및 제초제 사용 설문조사를 2011년에 실시하였다. 대부분(96.2%)은 기계이앙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이앙시기는 5월 하순으로 전체 68.0%를 차지하였다. 경운 시기는 춘경 54.6%, 춘 추경 24.8%, 추경 15.0% 순이었다. 제초제 처리횟수는 2회 처리가 75%로 가장 많았으며 일발처리의 경우 이앙전 처리가 84.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회 이상 처리하는 제초제 체계처리의 경우, 첫 번째는 이앙 전 처리제를 살포한 후에 두 번째는 중기 제초제 처리한다는 농가가 57.5%로 가장 높았다. 경북지역에서 발생되는 잡초는 23종으로 설문대상자 827명(중복 응답자)의 20.8%가 첫 번째 우점잡초로 피를 선정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벗풀 10.4%, 물달개비 9.9%, 올미 9.7% 순이었다. 이들 잡초중 방제가 어려운 잡초는 올미 23.8%, 피 18.7%, 물달개비 18.2%, 벗풀 14.0% 순이었다.

Protox 제초제저항성 벼 재배가 토양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tox Herbicide Tolerance Rice Cultivation on Microbial Community in Paddy Soil)

  • 오성덕;안병옥;김민경;손수인;류태훈;조현석;김창기;백경환;이기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1
    • /
    • 2013
  • 본 연구는 Protox 제초제내성 벼 재배가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과 수평적 유전자 이동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육단계별 토양 미생물 군집밀도의 경우 제초제내성 벼를 재배한 근권 토양 미생물 군집밀도가 비 형질전환 벼의 근권 토양과 유사하여 제초제저항성 벼 재배가 근권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근권 토양의 우점 미생물 분포 양상을 분석한 결과, Proteobacteria, Firmicutes와 Actinobacteria 순으로 나타났으며 우점종과 점유율은 거의 유사하였다. 근권 토양 DNA에 대한 DGGE 분석 결과, 제초제내성 벼와 비 형질전환 벼의 근권 토양 미생물 군집의 profile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초제내성 벼 재배에 따른 토양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비 형질전환 벼의 근권 토양간 화학성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초제 내성 벼에 도입된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근권 토양 DNA에 대한 PCR 분석 결과, 도입 유전자의 잔존성이 길지 않아 수평적 유전자 이동성은 희박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 벼(Agb0101) 유전자 이동성 평가 (Assessment of gene flow from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Agb0101) to non-GM rice)

  • 오성덕;윤도원;손수인;박순기;장안철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0-189
    • /
    • 2017
  •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생명공학작물이 상업적인 재배가 되고 있지 않으나 생명공학작물의 환경 방출을 위해서는 환경위해성 평가가 필수적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충저항성 Bt 벼(Agb0101)로부터 모품종인 낙동벼와 잡초성벼인 R55 및 인디카벼인 IR36 로의 화분 매개에 의한 유전자 이동성을 평가하였다. 낙동벼로부터 729,917 립의 종자를 얻었으며, 잡초성벼(R55)로부터는 230,635 립의 종자와 인디카벼(IR36)에서는 596,318 립의 종자를 수확하였다. 교잡개체는 3회의 제초제 살포를 수행하여 제초제 저항성 개체 선별과 Cry1Ac1 immunostrip 검정으로 확인하였으며, 해충저항성 Bt 벼(Agb0101)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유전자 이동성 여부를 최종적으로 검증하였다. 총 파종된 종자수에 대한 교잡율은 낙동벼에서는 0.0027%, R55는 0.0017%, IR36은 0.0005%로 나타났으며, 모든 교잡개체들은 해충저항성 Bt 벼(Agb0101)에 근접한 1.2m 내에서 발견되었다. 화분 매개에 의한 해충저항성 Bt 벼(Agb0101)의 유전자 이동 특성은 기존에 연구된 결과들과 유사한 경향으로 보였으며, 벼의 개화기간 중 온도와 강우량 등 기상 조건이 화분에 의한 교잡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재배 지역의 기상 환경과 개화시기 중복 여부 등을 유전자변형 벼에 의한 일반 재배품종 및 야생(잡초성)벼로의 유전자 이동에 따른 저감 기술 개발과 안전관리 기준 작성에서 주요 영향 인자들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신제초제(新除草劑) Azimsulfuron의 제초활성(除草活性)과 토양중(土壤中) 행동(行動) (Herbicidal Property and Soil Behavior of a New Herbicide, Azimsulfuron)

  • 전재철;마상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01-505
    • /
    • 1996
  • 새로운 sulfonamide형(型) 제초제(除草劑) asimsulfuron은 논에서 발생(發生)하는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인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미, 벗풀 및 올챙고랭이에 대하여 7.5 - 30 g ai/ha 처리(處理) 수준(水準)에서 선택적(選擇的)인 방제(防除) 효과(效果)를 나타낸다. Azimsulfuron 0.3 - 30 ppm 수준(水準)을 포함(包含)한 양액(養液) 재배(栽培)에서 화본과(禾本科)에 대한 내성(耐性) 검정(檢定) 결과(結果), 벼 및 피의 지상부(地上部) 경엽(莖葉)에 대한 저해(沮害)보다는 뿌리에 대하여 더 큰 저해(沮害)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벼의 뿌리는 피에 대하여서 azimsulfuron에 대하여 약 5배(倍) 이상(以上)의 내성(耐性)을 보였다. 올챙고랭이 생육(生育) 50% 저해(沮害)에 필요(必要)한 농도(濃度)를 기준(基準)으로 측정(測定)한 토양(土壤) 중(中) 하방(下方) 이동(移動)은 3일간(日間) 3 cm/일(日)의 용탈(溶脫) 조건하(條件下) $20^{\circ}C$$30^{\circ}C$에서 배양(培養)된 azimsulfuron의 잔효성(殘效性)은 각각 30일(日) 및 21일(日) 지속(持續)되었다. Azimsulfuron 15 g ai/ha 처리(處理) 후(後) 3일(日) 동안 3 cm/일(日) 용탈(溶脫)시킨 토양(土壤)컬럼에서 표층(表層) 하(下) 5, 10 및 15 cm에 이식(移植)된 벗풀의 건물중(乾物重)은 각 층위(層位)에서 출아(出芽)된 무처리(無處理) 대비(對比) 87%, 85% 및 79%로써 azimsulfuron에 대한 벗풀의 감수성(感受性)은 이식(移植) 심도(深度)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다.

  • PDF

벼 품종(品種)의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한 내성(耐性) 검정(檢定) (Tolerance of Rice(Oryza sativa L.) Genotypes to Herbicide Thiobencarb)

  • 신서호;이영만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6-184
    • /
    • 1997
  • 1. 제초제(除草劑) thiobencarb에 대한 수도(水稻) 내성(耐性) 품종(品種) 선발(選拔)에서 약제(藥劑) 처리(處理) 농도(濃度)의 적정(適定) 수준(水準)은 3.0kg ai/ha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내성(耐性) 선발효과(選拔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으며, 수도(水稻) 643개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에 대한 내성(耐性) 검정(檢定) 결과(結果) Yamabiko, M73 (23)F.A, wx139-3-64-20-3-1을 선발(選拔)하였다. 2. Thiobencarb 내성(耐性) 수도(水稻) 품종(品種) 선발(選拔) 과정(過程)에서 내성(耐性) 품종(品種)과 감수성(感受性) 품종간(品種間)에 약제(藥劑)에 대한 반응(反應)은 왜화현상(矮化現像)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差異)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 품종(品種)의 개체간(個體間)에 있어서도 약제에 대한 내성(耐性)은 다소의 차이(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초장(草長)은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 14일(日)까지는 농도(濃度) 증가(增加)에 따라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내성(耐性) 품종(品種)은 10%,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은 13%의 감소(減少)를 보였고, 약제(藥劑) 처리(處理) 21일후(日後)부터는 처리농도(處理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내성(耐性)및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증가(增加)하였다. 4. 분약수(分藥數)는 약제(藥劑) 처리(處理) 21일후(日後)부터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보다 증가(增加)하였으며, 내성(耐性) 품종(品種)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보다 2~3 개 더 많은 증가(增加)를 나타냈다. 5.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thiobencarb 처리(處理) 35일후(日後)부터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30~50% 증가(增加)하였고, 지하부(地下部) 건물중(乾物重)은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 모두에서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감소(減少)하였지만, 35일후(日後)부터는 50~100%이상 증가(增加)하였다.

  • PDF

식물체(植物體) 및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제초제(際草劑) Pretilachlor의 이동특성(移動特性) (Movement of Herbicide Pretilachlor in Plants and Soils)

  • 마상용;문영희;양환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51-356
    • /
    • 1987
  • $^{14}C-pretilachlor$의 식물체중(植物體中) 흡수(吸收), 이행특성(移行特性)과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pretilachlor의 이동특성(移動特性)에 대(對)하여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pretilachlor는 수도(水稻)에 대(對)하여 매우 안정성(安全性)이 높았으며, 잡초중(雜草中) 피에 대(對)한 억제효과(抑制效果)가 가장 높았고, 너도방동산이, 올미순(順)으로 억제효과(抑制效果)가 감소(減少)되었다. 각(各) 식물간(植物間)의 감수성(感受性)의 차이(差異)는 흡수량(吸收量)의 차이(差異)와 일치(一致)하는 경향이었으며, 흡수(吸收)된 pretilachlor는 경엽부(莖葉部)까지 이동(移動)되었고, 특(特)히 수도(水稻)에서 보다 피에서 흡수이행속도(吸收移行速度)가 빨랐다. 토양중(土壤中)의 pretilachlor는 4종(種)의 토양(土壤)에서 모두 처리량(處理量)의 대부분(大部分)이 $0{\sim}2cm$층위(層位)에 집적(集積)되었으며, 검정식물(檢定植物)의 생육억제율(生育抑制率)로 본 이동폭(移動幅)은 사질식양토(砂質植壤土), 식양토(植壤土), 양토(壤土)에서는 6cm, 사양토(砂壤土)에서는 10cm로 나타났다.

  • PDF

전국 논토양과 시설하우스 토양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과 환경 노출성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Exposure in Paddy Field Soils and Greenhouse Soils)

  • 박병준;이지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4-139
    • /
    • 2011
  • 분석대상 농약의 토양중 잔류분석법에 따른 검출한계는 0.001~0.005 ppm이었으며 2007년에 전국 논토양 150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살균제 carpropamid 등 4종, 살충제 buprofezin 등 4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3종 농약이 검출 되었다. 검출빈도는 oxadiazon 성분이 19.3%로 가장 높았고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8.0%, isoprothiolane 2.7%순이었고 검출된 농도는 oxadiazon 0.836 ppm, isoprothiolane 0.810 ppm과 buprofezin 0.5 ppm 수준으로 최고 농도를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 2008년에 전국 시설재배지 토양 152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조사한 결과 살균제 hexaconazole 등 6종, 살충제 cadusafos 등 16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7종 농약이 검출 되었고 검출빈도는 endosulfan 38.8%로 가장 높았으며, oxadiazon 성분이 13.2%,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10.5%, isoprothiolane 7.2% 순이었다. 검출된 농도는 chlorfenapyr 5.087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chlorothalonil 2.565 ppm, oxadiazon 0.715 ppm, isoprothiolane 0.208 ppm 수준을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

시비조건과 제초제의 연용이 잡초군락의 변화와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and Yearly Application of Identical Herbicides on Weed Succession and Yields of Rice)

  • 이종영;박석홍;변종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7-292
    • /
    • 1981
  • 무비, 퇴비, 금비, 생고의 시비조건과 동일 제초제를 동일 포장에 4년간 연용하였을때 일어나는 잡초군락의 변화와 수도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잡초발생량은 모든 시비조건에서 매년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퇴비구에서 현저하게 급증되었다. 2. 올갱고랭 이는 전만적으로 모든 시비조건에서 최우점잡초이 었으며 무비구에서는 올방개, 을챙고랭이, 쇠털골, 전비구에서는 올방개 너도방동산이 물달개 비, 퇴비구에서는 가래, 을방개, 너도방동산이, 생고구에서는 올챙고랭이, 너도방동산이가 우점화원경 향이었다. 3. 잡초의 발생량은 제초제의 연용에 따라 매년 급증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Butachlor와 Nitrofen 구에서 현저하게 나타났다. 4. Butachlor 구에서는 가래, 을방개, 너도방동산이, Nitrofen 구에.서는 가래와 너도방동산이, Benthiocarb -S구에서는 너도방동산이, Bentazon 구에서는 가래, Oxadiazon과 CG 102구에서는 너도방동산이와 가래가 급증하는 경향이었다. 5. 제초제의 연용에 따라 일년생잡초는 Oxadiazon과 CG 102 Benthiocarb-S 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이 었으며 다년생잡초는 Butachlor, Nitrofen과 Bentazon을 연용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되었다. 6. 수도의 수량은 제초제의 연용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Butachlor와 Nitrofen 연용시에 감수정도는 더 큰 경향이었다. 7. 따라서 동일 제초제의 연용은 내성인 잡초의 만연을 초래하여 수도의 수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제한된 특정 간제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와 번갈아 사용하거나 혼합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