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oil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선택된 식물자원에서 추출조건에 따른 Phytosterol과 Tocopherol의 함량분석 및 추출유로부터 재구성지질의 합성 (Analysis of Phytosterols and Tocopherols, and Produc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the Extracted Plant Oils)

  • 조은진;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0-375
    • /
    • 2003
  • 식물유자원 중 참깨, 호두, 통밀, 미강을 원료로 하여 35$^{\circ}C$ 조건에서는 100rpm의 항온교반수조에서 1, 3, 6시간 단위로 추출하고, 8$0^{\circ}C$조건에서는 soxhlet extractor에서 1, 3, 6시간 단위로 각각 추출하여 추출방법 및 시간에 따른 최적 추출조건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온도에서의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율과 추출온도에 따른 추출방법의 변화는 추출율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원료별로는 호두가 최고 63.07%로 가장 높은 유지추출율을 나타냈으며, 그 뒤로 참깨, 미강 등이 각각 최고 39.28, 15.62% 등의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GC에 의한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추출된 식물유지 모두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Phytosterol 분석 결과, 식물성 유지 4종 중 통밀의 전체 sterol 함량이 최고 2.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강, 호두, 참깨 등이 각각 최고 2.03, 1.57, 0.44% 등의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PLC에 의한 tocopherol 함량 분석 결과 전체 tocopherol의 함량은 참깨, 통밀 등이 각각 최고 3.42, 2.92% 등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호두, 미강 등이 각각 최고 0.16, 0.07% 등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식물성 유지와 CLA를 각각 1:3 mol의 비율로 혼합한 후 IM 60을 이용, 합성하여 재구성지질을 생성하고 GC에 의해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반응시간이 길수록 재구성지질 중의 CLA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종 24시간 동안 반응시 총 CLA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통밀로써, 23.75 mol%를 나타내었고, 그 뒤로 미강, 참깨, 호두 등이 각각 19.15, 16.46, 16.28 mol% 등을 나타내었다.

알칼리 정제(精製)와 에스테르화에 의한 미강유의 열안정성(熱安定性)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Thermal Stability of Alkali Refined and Esterified Rice Bran Oils)

  • 김현구;신동화;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0-185
    • /
    • 1985
  • 알칼리 처리와 글리세린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킨 탈산공정에 의하여 정제한 각 미강유의 열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가열중 산 값의 변화는 알칼리정제 미강유에서는 가열시간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글리세린처리 미강유의 일부는 완만한 증가추세를, 또 일부는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산 값이 감소하였다. 과산화물 값의 변화는 가열중 증가와 감소의 반복추세를 나타냈으며 알칼리 정제 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 미강유의 과산화물 값이 13.3 mgq/kg하였다. TBA값의 변화는 가열 10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고 그후 완만한 감소추세를 나타낸다. 가열중 글리세린처리 미강유는 착색현상이 심하였다. 알칼리정제 미강유와 글리세린 미강유의 90시간 가열 후 TG의 감소율은 $150^{\circ}C$에서는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150^{\circ}C$에서는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 미강유보다 TC의 감소율이 약 2${\sim}$7% 높았다. AOM 시험에서 알칼리 정제미강유는 글리세린처리미강유보다 약 2배의 산화 안정성이 있었다.

  • PDF

바이오디젤유(미강유 에스테르)를 이용한 농업용 디젤기관의 연소 특성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iesel Engine using Biodiesel Fuel(Ester of Rice Bran Oil))

  • 유경현;윤용진;오영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2호
    • /
    • pp.181-187
    • /
    • 2003
  • Biodiesel fue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 has a great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It is a domestically produced, renewable fuel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vegetable oils, used vegetable oils, or animal fats. In this study, the usability of biodiesel fuel derived from rice bran oil as an alternative fuel for diesel engines was investigated in agricultural diesel engine. Emissions were characterized with neat biodiesel fuel and with a blend of biodiesel fuel and conventional diesel fuel. Since the biodiesel fuel includes oxygen of about 11%, it could influence the combustion process strongly. So, the use of biodiesel fuel resulted in lower emissions of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and smoke emissions without any increase of oxides of nitrogen. It is concluded that biodiesel fuel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s a renewable and an environmentally Innocuous fuel for diesel engine.

바이오디젤유를 사용하는 디젤기관에서 연료분사시기 변화에 따른 기관성능 및 배기배출물 특성 (Effect of Fuel Injection Timing on the Performance and Exhaust Emissions in IDI Diesel Engine Using Biodiesel Fuel)

  • 유경현;오영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76-82
    • /
    • 2004
  • Biodiesel fuel(BDF) which is easily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such as soybean oil and rice bran oil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fuel in diesel engine. However, BDF can affect the performance and emissions in diesel engine because it has different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rom diesel fue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jection tim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nd emissions with BDF in IDI diesel engine, BDF derived from rice bran oil was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engine was operated at six different injection timings and six loads at a single engine speed of 2000rpm. When the injection timing was retarded, better results were obtained, which may confirm the advantage of BDF. The reduction of NOx and smoke was observed for a 2$^{\circ}$ retarded injection timing without any sacrifice of BSEC.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성상(性狀)과 튀김적성(適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perties and Frying Performance of Domestic Rice Bran Oil)

  • 김점식;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7-89
    • /
    • 1983
  •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성상(性狀)과 튀김적성(適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실험(實驗)을 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즉(卽) 보고(報告)된 바와 같고 외국미강유(外國米糠油)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과도 비슷한 수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TLC, column chromatography 및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법(分析法)에 의하여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의 mono-, di-, 및 triglyceride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monoglyceride $1{\sim}4%$, diglyceride $20{\sim}30%$, triglyceride $66{\sim}80%$로서 일반(一般) 식용유(食用油)와는 전연(全然) 다른 glyceride조성(組成)을 나타내었다. 2)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는 monoglyceride 및 diglyceride 함량(含量)이 많기 때문에 비중(比重) 및 수용해도(水溶解度)는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튀김적성(適性)에서 산(酸)값, 색상(色相), 석유(石油)에테르 불용성산화산(不溶性酸化酸), 발연도(發煙度) 등에 큰 영향(影響)을 끼치는 인자(因子)는 아니었다. 3)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는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분석결과(分析結果), 불포화도(不飽和度)가 높은 리놀레산 함량(含量)이 적기 때문에 튀김실험(實驗)에서 안정(安定)된 기름으로 평가(評價)할 수 있으며 대두유(大豆油)의 경우는 역시 중합(重合)이 쉽게 일어나는 결과(結果)를 얻었다. 4) 국산(國産) 미강유(米糠油)가 튀김적성(適性)에서 발연도(發煙度)가 낮고, 거품이 심(甚)하게 일어나며, 점도상승(粘度上昇)이 일어나는 현상(現象)은 미강유(米糠油) 중(中)에 함유(含有)된 불순물(不純物)로 인(因)한 것으로서, monoglyceride 및 diglyceride의 영향(影響)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거품이 심(甚)하고, 발연도(發煙度)가 낮은 기름에서는 튀김물의 맛과 외관(外觀)에 나쁜 영향(影響)이 나타났는데, 이는 기름 중(中)에 있는 여러 가지 불순물(不純物)로 인(因)한 것이었다.

  • PDF

식물성유지(植物性油脂)가 토끼의 성장(成長)과 혈당(血糖)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vegetable oil on the Growth and Blood Glucose Level of Rabbit)

  • 남현근;정영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4
    • /
    • 1980
  • The effect of dietary vegetable oils on the growth and blood glucose level of rabbit was exam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nutritive effect of feeding vegetable oils for a period of week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isocaloric and isonitrogenous diet.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fed on 5 kinds of diets such as control (Basal), group A(Basal + sesame oil), group B(Basal + perilla oil), group C(Basal + soybean oil), and group D(Basal + rice bran on diets for 4 week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ain in body weight of rabbit was higher for perilla oil fed group than any other group gained. 2. Liver weight of the control group, group A, group B, group C, and group D were 30.35 or 37.35 or, 37.25 or, 38.25 gr, 31.05 gr, and 39.54 gr, respectively. The reletionship between liver and body weight were 3.25, 3.99, 4.33, 4,15, and 4.57,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o liver weight of group D which was fed rice bran oil was heavier than any other group showed. 3. The content of total protein and glucase level in serum of animal blood were 5.72 mg% 40.34 mg%, 5.65 mg%: 22.37 mg%, 5.95 mg%: 77.0 mg%. 5.62 mg%: 28.60 mg%, and 5.63 mg%: 34.10 mg%, respectively. As shown above, the group B was the most heaviest one. 4. It may be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linolenic acid which was included in vegetable oils have an effect on interconversion among three caloric elements such as cabohydrate, protein, and fats.

  • PDF

미강유에 대한 코발트 60-감마선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60}Co-gamma$ Radiation on Ricebran Oil)

  • 한덕봉;석한균;유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35
    • /
    • 1973
  • 미강유에 미치는 방사선 조사의 영향과 이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용매 추출한 미강유에 B.H.T, C.A. 를 각각 0.01% 첨가, 공기 존재하에서 2 Mrads와 7 Mrads의 두가지 선량으로 dose rate 300 rads/sec 인 $^{60}Co-gamma$ (25,000 Ci) 선원을 조사직후 $5^{\circ}C$$25^{\circ}C$에서 저장하여 경시적으로 A.V., P.O.V., C.O.V.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V.는 저장 중 온도차, 항산화제의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조사에 의한 상승이나 감소는 별로 없었다. 2) P.O.V.는 저장 중 계속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증감의 반복을 유지하면서 즉 과산화물의 생성과 분해가 일어나면서 증가했다. 3) C.O.V.는 P.O.V.가 증가하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P.O.V.와 다른 경향을 나타 냈으며 7주에서는 거의 일정하거나 변화가 없었다. 4) 항산화제는 2 Mrads 조사에서는 B.H.T.가 C.A.보다 항산화력이 좋았으나, 7 Mrads 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장기저장면에서 보면 조사후에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5) 조사선량에 따른 영향에 있어서, 시료의 처리조건 (저장온도, 항산화제의 첨가등)에 관계없이 일율적으로 2 Mrads 로 조사된 시료의 P.O.V. 가 높았다. 6) 고온 저장$(25^{\circ}C)$은 저온 저장$(5^{\circ}C)$때 보다 P.O.V.의 상승이 2배였으며, 8주저장중 저온에서는 1주 P.O.V.의 2배의 상승을, 고온에서는 $3{\sim}4$ 배로 상승하여 역시 저온 저장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PDF

우지방을 현미유와 올리브유로 대체한 우육 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Properties of Beef Patties Replaced Tallow with Rice Bran Oil and Olive Oil during Cold Storage)

  • 서현우;김갑돈;정은영;양한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63-771
    • /
    • 2011
  • The effects of replacing tallow with plant oil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fatty acid composi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eef patties were investigated. Beef patties were produced with seven different formulations: control (tallow, 100%), rice-bran oil replaced (TR) and olive oil replaced (TO) (each at 20%, 40%, and 60% substitution). Fat content of beef patties increased, whereas moisture content decreased with increased TR and TO. Beef patties had increased lightness and yellowness but decreased pH and redness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p<0.05).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alues of all beef patties increased during cold storage. The TBARS values in the replaced TR or TO were similar to or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fter 3 d.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beef patties decreased as the level of TR and TO increased, whereas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crease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TO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TR. The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replaced TR or TO over 7 d of storage.

알칼리 정제(精製)와 에스테르화에 의한 미강유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kali Refined and Esterified Rice Bran Oils)

  • 김현구;신동화;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5-179
    • /
    • 1985
  • 알칼리 처리와 글리세린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킨 탈산공정에 의하여 정제한 각 미강유의 이화학적 항수 및 지방질 조성을 비교하였다. 비중 및 굴절율은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미강유보다 높았고, 색도는 글리세린처리미강유가 알칼리정제미강유보다 훨씬 진한 황색도를 나타내었으며, 발연점은 알칼리정제미강유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보다 60${\sim}80^{\circ}C$높았다.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0.05%)보다 글리세린처리미강유(0.88${\sim}$1.36%)가 높았으며, 왁스는 알칼리정제미강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글리세린처리미강유에서는 soft wax가 0.600${\sim}$0.871%, hard wax가 0.035%${\sim}$0.486% 함유되어 있었다. 알칼리 정제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미강유의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 지방질의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중성지방질중의 TG 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96.3%)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93.0${\sim}$94.1%)보다 많았으며 MG함량은 알칼리정제미강유(0.11%)가 글리세린처리미강유(0.39${\sim}$0.69%)보다 낮았다. 알칼리 정제미강유와 글리세린처리미강유의 주요지방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이었으며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콜레스테롤 흡수저하 기능성소재 개발을 위한 식물성 유지 중이 Sterols 분석 및 Stanol로의 수소첨가반응 (Analysis of Sterols and Its Hydrogenation to Stanols in Vegetable Oils for the Development of a Cholesterol Absorption-lowering Neutraceutical)

  • 인만진;김동청;채희정;김명희;임병순;김의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80-983
    • /
    • 1999
  • The contents of sterols and stanols in vegetable oils and mist oil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using a capillary column. The total sterol contents showed high values of 0.67~0.89g/100g in corn oil, rice bran oil, red pepper seed oil and sesame oil. Mist oil, a byproduct of soybean oil manufacture, was a suitable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stanol since it showed high sterol content (10.2g/100g). In the hydrogenation of sterol contained in mist oil using Pd catalyst, the effects saponification of oil were examined. The conversion of sterol to stanol was improved by a factor of 4~5 through saponification of oil, compared to the reaction without sapon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