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Jochun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습식 미분과 증미로 제조한 쌀조청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Jochung by Wet-Milled Rice Flour and Steamed Rice)

  • 이정은;최윤희;조문경;박신영;김은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7-643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rice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jochung, traditional food in Korea. Two kinds of jochung products were prepared from steamed rice(SR) and wet-milled rice flour(WRF) by rice cultivated from 2006 to 2010. It is common to add a liquefying enzyme for rice liquefaction(4 $m{\ell}$/1,000 g rice, at $90{\sim}95^{\circ}C$, 3 h) and saccharogenic enzyme with malt(45 g/1,000 g rice, at $55{\sim}57^{\circ}C$, 6 h).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producing rate, pH, solidity, reducing sugar, dextrose equivalence(D.E.), viscosity, total phenolic compound, color valu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carried out. In terms of the producing rate of jochung, WRF jochung was produced about 7.4% much more than SR jochu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ducing rate between the jochung cultivated from 2006 to 2010 rice. The pH varied from 4.86~5.66, solidity was 79.48~82.28%. Color L value was 25.82~27.92, a value of 1.28~2.81, b value were 2.98~4.33.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jochung, as a whole, received higher score than for the commercial product(Daesang Co., Ltd, Seoul, Korea), overall acceptability score was the highest in the 2008SR. Reducing sugar, dextrose equivalence(D.E.)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determined to be higher WRF jochung than SR jochung, while viscosity was lower WRF jochung than SR jochung.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be due to increased surface area of rice by milling. SR jochung manufacturd by wet-milled rice flour will increase the producing rate for jochung, thereby saving manufacturing time and costs.

각종 쌀 조청의 이화학적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rice Jochung products)

  • 위경일;강윤한;이근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04-810
    • /
    • 2016
  • 본 연구는 4종의 시판품과 자체 개발하여 위탁 생산한 시제품 등 총 5종의 쌀 조청을 대상으로 품질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시제품의 총고형분, 환원당과 포도당 당량은 각각 $80^{\circ}Brix$, 44.53%와 56.94%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제품의 pH와 적정 산도는 각각 6.25와 0.19%이었으며, 색차는 74.42로 조사된 시료들 중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광투과도와 총 폴리페놀은 각각 56.4%T와 108.23 mg GAE/100 g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종 쌀 조청의 물성 중 부착도는 29.0~66.0 sec 범위였는데 그 중 시제품은 61 sec로 한과 제조용으로 적당한 값을 나타내었다. 각종 쌀 조청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0.4~50.3% 범위였는데 그 중 시제품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각종 쌀 조청의 환원력은 0.44~0.72 범위였는데 그 중 시제품이 0.72로 가장 높았다. 쌀 조청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6.70~6.80점, 향은 6.00~7.00점을 나타내었다. 맛과 입안촉감의 경우 시판품과 시제품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적 기호도의 경우 엿기름추출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제품은 시판품에 비해 폴리페놀 함량이 높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쌀 조청 시제품은 한과 제품을 비롯하여 가공식품용으로 이용되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전통식품인 쌀 조청의 소비 증대를 위해서 쌀 조청 제조기술을 활용한 향미를 개선하는 등 활용도 증진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천마추출액을 이용한 멥쌀 죽 조청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Glutinous Rice Porridge Jochung with added Gastrodia elata Extract)

  • 이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57-564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strodia elata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n-glutinous rice porridge Jochung, saccharide by barley malt. Non-glutionous Rice Porridge Jochung with 0% (NGR1), 5% (NGR2), 10% (NGR3), 15% (NGR4) and 20% (NGR5) Gastrodia elata extract were produced. Moisture content and Solids content the interaction of two factors, the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Gastrodia elata extract concentration. Reducing suga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s containing Non-glutinous Rice Porridge Jochung (NGR) with Gastrodia elata extract added than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15% NGR4 addition group with $1.22{\pm}0.02g/L$. Free acidity contents were 27.27 meq/kg control and 29.67~41.03 meq/kg among the samples with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levels of total phenolics and TEAC found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Jochung samples with Gastrodia elata extract added. Increasing the ratio of Gastrodia elata Extract in Jochung tended to decrease color value. The results showed that Jochung containng less than 15% Gastrodia elata Extract gave the highest scor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천마추출액을 이용한 찹쌀죽 조청의 다변량 분석기법을 통한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 elata Extract Glutinous Rice Porridge Jochung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 이기원;김두연;이미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18-1028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strodia elata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rice porridge Jochung saccharide by barley malt. Glutinous rice porridge Jochung contatining 0%, 5%, 10%, 15%, 20% of Gastrodia elata extract were produced. Soluble solid contents and pH increased as content of Gastrodia elata extract increased. Free acidity contents were 24.87 meq/kg (control) and 25.67~42.03 meq/kg (GR2~GR5) (p<0.001 among samples). There was significant total phenolics and TEAC obtained for antioxidant activity of Gastrodia elata extract Jochung samples. Increased the ratio of Gastrodia elata extract in Jochung tended to decrease the color value. Results show Jochung containg less than 15% Gastrodia elata extract resulted in the highest scores fo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Correlations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paramete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제조 방법에 따른 쌀 조청의 특성 및 수율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Jochung Processed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최윤희;백지은;박신영;최혜선;송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14-420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yield and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s for the preparation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rice jochung, a traditional food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jochung, the viscosity, color value, mineral contents and the sensory evaluation were measured. Jochung is prepared from steamed rice (STR), wet-milled rice flour (WRF) and dry-milled rice flour (DRF) by processing methods of rice and reacting times (6 hours or 13 hours) of liquefaction and saccharification. There is commonly added liquefying enzyme for rice liquefaction (0.4%/10 kg rice, at $85{\sim}90^{\circ}C$ for 1 hour or 4 hours) and saccharogenic enzyme with malt (2.5% or 4.5%/10 kg rice, at $56{\sim}60^{\circ}C$ for 5 hours or 9 hours). The inner structural properties of WRF showed the more distinct shape regular structure of uncombined starch particles but the DRF closely maintained particles of rice flour observed by SEM. If processing times for liquefation and saccharification were reduced from 13 hours to 6 hours, the yield of jochungs prepared with WRF increased 8%, the DRF 7%, and the STR 3% respectively and the sensory evaluation as well as color values and overall desirability received high scores. The viscosity, color a and b values of jochung processed with WRF for 6 hours were lower than that processed for 13 hours. The viscosity and color a, b value and Ca content were decreased in the jochung processed with WRF or DRF for 6 hours, but Mg, P and K were increased than that of STR. Jochung processed by 0.4% liquefying enzyme and 2.5% malt with WRF for 6 hours will increase the yield, save manufacturing times and costs and will thereby enable cost-effective techniques.

조청의 전통제조공정 분석을 통한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by Analyzing Traditional Manufacturing Process)

  • 양혜진;손지혜;이양순;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235-242
    • /
    • 2009
  • 본 연구는 조청의 제조공정 및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침시간(4, 8, 12시간)을 달리한 멥쌀을 증자기와 microwave로 제조한 고두밥의 일반성분과 수분 용해지수, 수분흡착지수, 환원당함량, 페이스트점도를 비교 하였고, 전처리를 달리한 고두밥으로 제조한 조청의 당고형분함량, 환원당함량과 포도당당량을 비교하였다. 멥쌀의 수침시간이 증가할수록 일반성분은 감소하였다. 멥쌀원료의 지방함량은 최대 60% 감소하였고, 회분과 단백질 함량 또한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 사용된 엿기름의 $\beta$-amylase의 활성도는 1710 unit의 당화력을 보였다. 멥쌀 원료의 환원당 함량은 수침시간이 4-8시간으로 증가할 때 증가하였지만, 수침 12시간이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증자한 고두밥, microwave 처리한 고두밥의 환원당함량은 8시간까지 증가하다가 12시간 때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멥쌀 원료와 전처리를 달리한 고두밥의 수분용해지수는 수침시간 4시간 이후에는 수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분 흡착지수는 증자한 고두밥과 microwave 처리한 고두밥과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수침시간의 증가에 따른 최고점도, 최저점도, 구조파괴점도, 최종점도, 회복점도 등의 페이스트 점도지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eak time은 큰 변화가 없었다. 멥쌀을 12시간 수침한 후 증자기와 microwave로 제조한 고두밥을 당화시간(4, 8, 12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조청의 당고형분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당화시간이 증가할수록 그에 따라 비례하는 결과를 보였고, microwave 처리한 고두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청보다 증자한 고두밥을 이용하여 제조한 조청의 환원당 함량과 포도당 당량이 높게 측정 되었다. 증자한 고두밥을 12시간 당화하였을 때 조청의 환원당함량과 포도당 당량이 59.40${\pm}$0.11%, 76.99${\pm}$1.78%로 가장 높 게 측정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멥쌀을 12시간 수침하여 증자한 고두밥을 12시간 당화시켜 제조한 조청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천마가루를 이용한 조청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strodia elata Powder Jochung with Antioxidant Activity)

  • 이기원;이미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56-666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strodia elat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chung with barley malt. Grain syrups with 0, 2.5, 5, 7.5, and 10% Gastrodia elata powder were produced. The pH value decreased with higher volume of Gastrodia elata powder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p<0.05).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77.45~129.25 mg/100 g,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36.70{\sim}57.09{\mu}mol$. Sensory score of Jochung containing 2.5% Gastrodia elata powder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Jochung containing less than 7.5% Gastrodia elata powder gave the highest scores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The data from different procedur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multivariate techniques (correlation matrix,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alyzed paramete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조청의 이용실태 및 선호도 연구 (Study on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Jochung)

  • 최정희;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79-989
    • /
    • 2015
  • 본 연구는 조청의 이용실태 및 선호도와 대중화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주부 4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다음과 같다. 평소 가정에서 먹는 단맛의 정도는 적당하다가 52.4%로 가장 많았으며, 주로 사용하는 당류로는 올리고당 34.8%, 설탕 27.0%로 나타났다. 조청을 구입 유무로 72.8%가 구입한 경험이 있었으며, 이유로는 '가족, 친구, 이웃권유'와 '건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빈도로 일주일에 1~2회 정도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구매 시 고려사항으로는 '건강'이 49.7%, '맛'이 3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청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만들기 힘들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선 방안으로 '다양한 구매처'와 '조청의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 종류별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화학감미료 1.56으로 가장 낮았으며, 꿀이 3.9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청이 3.65로 다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에서는 꿀과 조청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판 조청에 대한 인식도와 선호도에서 대부분 인식도는 낮았으나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청을 음식에 활용하여 접목하였을 때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한과류, 특히 다식에서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시판 조청에 대한 인지도와 기능성 재료를 첨가한 조청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으며, 조청에 대한 인식 및 소비 증대를 위하여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조청 개발과 품질 향상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사과 첨가 조청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a Grain Syrup, with Apple)

  • 양혜진;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2-13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사과의 이용성 증진과 새로운 전통식품의 소재화를 목적으로 최적조건을 설정하고자 전통적인 조청 제조공정에 사과를 첨가하여 품질특성(pH, 당고형분, 환원당, 포도당 당량, 총 페놀성 화합물, 색도, 유기산, 관능검사)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사과와 멥쌀의 비, 사과의 성상과 투입단계에 따른 사과를 첨가한 조청을 예비실험을 통하여 제조하였으며,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A)과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B), 사과청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C)과 사과와 말티톨을 혼합하여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D)이다. 실험결과 pH는 식품공전의 엿류 규격기준(4.5~7.0) 범위에 모두 포함되었고,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인 A가 환원당 함량이 $68.10\pm6.71$%, 총 페놀성 화합물이 $7.36\pm0.85$ mg/g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당고형분 함량은 사과즙액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인 B가 $87.25\pm0.27$%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포도당 당량은 사과청을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인 C, 색도는 사과와 말티톨을 혼합하여 당화 후에 첨가한 조청인 D가 높게 측정되었다. 사과를 첨가한 조청의 유기산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주된 유기산은 malic acid였으며, A와 D에서 사과보다 많은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사과를 가공 처리한 후에도 유기산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에서는 전체적으로 사과즙액을 첨가한 조청인 A가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사과를 첨가한 조청 제조 시 사과즙액을 당화 전에 첨가한 조청이 전체적인 기호도나 조청 고유의 품질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과가 갖는 장점 등을 조청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감을 이용한 조청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ochung with Sweet Persimmons)

  • 배성문;박강주;신동주;황용일;이승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88-91
    • /
    • 2001
  • 단감의 이용성 중대를 위하여 단감을 첨가한 조청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55^{\circ}C$에서 행한 당화공정에서 1시간 간격으로 엿기름의 amylase의 역가를 측정한 결과 당화 3시간째에 효소의 역가가 10,466 Unit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당화과정이 끝나는 배양 4시간에서의 amylase의 활성은 7,000 Unit이었다. 반면, 당화 초기에서는 낮은 효소활성을 보였는데, 이것은 초기의 당화액의 온도가 낮은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단감 첨가에 따른 조청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단감 첨가 비율별(멥쌀 : 단감; 10 : 0, 7 : 3, 5 : 5, 3 : 7)로 시료를 제조하여 가용성 고형분함량, 환원당량(maltose함량), HPLC를 이용한 유리당 함량을 측정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단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단감 무첨가 조청에서 $58^{\circ}Brix$로 가장 높을 값을 보였고, 환원당량값과 유리당의 함량에 있어서도 단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간이 감소하였지만 감소량이 크지는 않았다. 관능검사에 있어서는 단감 첨가량이 가장 맡은 시료구(멥쌀 : 단감; 3 : 7)에서 전체 항목에서 좋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