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ythm exercis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9초

태권체조 국내 연구동향 분석 (The Research Trend of Taekwon Dancing)

  • 남중웅;추나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99-411
    • /
    • 2018
  • 본 연구는 태권도의 대중화를 장려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인 태권체조의 가치와 학문적 목적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6개의 학술지에 게재된 46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으로 구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영역에 있어서는 운동생리학 및 처방 영역에서 꾸준하게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최근에 스포츠 교육학 영역에서 연구가 게재되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보다는 많이 이루어졌으며, 양적 연구에 있어서는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는 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되었고, 질적 연구에 있어서는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하위 그룹별로는 성인, 노인, 중학생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자료 대상으로 분석한 연구에 있어서는 문헌이나 웹자료 분석, 동영상 분석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기타로 게임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가 게재되었다.

류마티스 질환자의 피로와 통증 비교연구 -강직성척추염, 섬유조직염, 루프스환자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Fatigue and Pain in Rheumatoid Patients - centered on AS, FM, and SLE patients)

  • 이여진;임난영;이은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60-572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offer descriptive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for relief of fatigue and pain, and to distinguish by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 and the symptoms such as fatigue and pain on Ankylosing Spondylitis (AS), Fibromyalgia(FM),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SLE) patients. The sample consisted of 92 patients(AS 29; FM 30; SLE 33) who visited H-University Rheumatism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1, 1999 to April 30,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atients of 95% experienced fatigue in the last week and a fatigue score of three disease groups were above average. The fatigue score of FM patients was highest in the other disease, but which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F=1.417, p=.248). The mean score of AS and FM patients in pain was higher than the SLE patients, and there wa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three groups on pain (F=8.239, p=.001). There wasn't a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on coping wtih pain(F=1.451, p=.240). There wasn't any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pain in each disease (AS: r=.008, p=.966; FM: r=.328, p=.077; SLE: r=.237,p=.185). Therefore, morning stiffness and pain management during sleeping is needed through good body alignment in the AS patients. Adequate rest for fatigue and multiple coping strategies for pain maybe basic nursing intervention in FM and SLE. According to their fatigue rhythm, a regular exercise program is needed for rheumatic disease because they complained of fatigue above average and their fatigue was repeated better and worse only during the one week.

  • PDF

경피적 접근을 이용한 영구 박동조절기(pacemaker) 장착을 통한 3도 방실 차단이 있는 비글종 개의 치료 (Permanent Transvenous Cardiac Pacing in a Beagle Dog With a Third Degree Atrioventricular Block)

  • 이승곤;문형선;이무현;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4-418
    • /
    • 2007
  • 2.8살 된 암컷 비글종 개 (체중 11kg)가 운동 불내성과 간헐적인 실신증상을 보여 내원하였다. 청진상 불규칙하게 불규칙한 심장박동과 지속적인 맥박결손이 청진되었다. 심전도상에 3도 방실차단 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임상증상 개선을 위하여 경정맥을 통한 영구적인 박동조절기(pacemaker)를 장착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더 이상 실신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주인과 함께 산책을 나갈 수 있을 만큼 임상증상이 개선되었다. 현재까지 박동조절기 장착과 관련된 합병증 없이 잘 생존하고 있다.

정동 이론으로 본 농악의 공감각적 현존과 신체 운동 (The Synesthetic Presence and Physical Movement of Nong-ak as Seen Through Affect Theory)

  • 권은영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5-35
    • /
    • 2020
  • 정동(affect)은 신체가 외부 세계를 감각함으로써 생성되는 강렬함(intensity)과 특질(quality)이다. 이렇게 체험된 정동 중에서 의미와 해석이 부여된 관념이 감정(emotion)이다. 정동 이론(affect theory)은 감정과 정동을 분별하고 정동에 주목함으로써 신체의 반응과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신체를 매체로 하는 공연예술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농악은 '재현'(representation)보다는 정동의 발생 자체에 주력하는 예술이다. 농악은 소리, 색깔, 질감, 신체 운동 등이 중첩되어 공감각적으로 현존하는 공연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신체를 중심으로 악기, 소품, 의상, 무대장치 등 물질적인 것들과 리듬, 기분, 분위기 등 비물질적인 것들이 동원된다. 신체는 이런 것들에 자극되어 공연에 적절하도록 경향성을 띄며, 공연에 몰입할수록 '이미지 없는 신체'(the body without an image)가 되어 '의사-신체성'(quasi-corporeality)을 보이며 행동한다. 마치 의식이 없는 것처럼 자동으로 움직이는 이런 신체는 집단 속에서 더 쉽게 나타난다. 일상의 개인을 집단 속의 '이미지 없는 신체'로 이행(transition)시키기 위해서 농악에서는 '진풀이'라는 집단적인 신체 운동을 수행한다. 이런 신체 운동은 비언어적인 교감과 소통을 높여 정동을 증강시키고, 상호 신뢰와 귀속감 속에서 개개인들의 창조력을 발휘하게 한다. 농악이 일으키는 정동과 감정은 자신과 집단의 존재, 활력, 능력을 확인하고 긍정하는 것으로 작용한다. 이런 긍정성은 집단의 차원에서 농악을 의미 있고 중요한 가치로 기억하게 하였고, 보존하고 전승해야 하는 공연양식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함정 기관실내 활동의 순환 및 호흡 기능에 대한 영향 (Changes in Circulatory and Respiratory Activities Observed on Men in an Engine Room of a Navy Ship)

  • 현광철;남기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권2호
    • /
    • pp.199-213
    • /
    • 1967
  • Circulatory and respiratory activities were observed in men exposed to the environment of engine room of a cruising Republic of Korea Navy ship and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s obtained in an ordinary laboratory room on land. The environment of an engine room of cruising navy ship was presumed to be a multiple stress acting on men. The environment of the engine room included high temperature $(35-42^{\circ}C)$, low relative humidity (20-38% saturation), vibration (about 7 cycles per second), rolling and pitching of ship and noises. Sixteen 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sisted of each 8 subjects. Subjects of sea duty group had experience of continuous on board duty averaging 3.5 years. Men of land duty group had no experience of on board activity. On land observations were made on one day prior to the boarding and leaving the port and four days after landing. In between observations in the engine room were made on the first, 5 th, 9 th, 12 th, and 14 th day of on board activity.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lasted for 20 days. Measurements on circulatory and respiratory parameters were at standing resting state (after 30 minutes standing in the case of on land study and 15 minutes in engine room study) and within one minute after cessation of on the spot running of which rhythm was 30/min. and lasted for 5 minutes. Oxygen consumption and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done in the period of two minutes from the 3rd to 5th minutes of running.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dy temperature showed no change regardless of group difference or on land or on board measurements. 2. Pulse rate increased markedly after boarding the ship id both groups. Pulse rate increased from the first day on board at rest and after exercise as compared to the on land control value. This increase in pulse rate was more marked after exercise. Sea duty group showed less increase in pulse rate at rest than the land duty group. Standing and resting pulse rate of sea duty group on lam was 81 and increased to 87 at the 5th day on board and remained smaller than the land duty group throughout the period on board. Control standing and resting pulse rate of land duty group on land was 76 and reached 89 at the 9th day on board and thereafter decreased a little. Pulse rate of land duty group at rest on board remained greater than that of sea duty group throughout the period on board. 3. Systolic blood pressure of sea duty group increased after boarding the ship and remained higher than the control value on land. In the land duty group, however,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n board the ship. Dia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in both groups. 4. Resting breathing rate of land duty group increased and remained higher than the control value on land. In sea duty group, however, resting breathing rate showed a transient increase on the 1st day on board and decreased thereafter to the control value on land and kept the same level throughout the period of cruise. Absolute value of breathing rate in the sea duty group was greater than the land duty group both at rest and after exercise. 5. There was a lowering of breathing efficiency in both groups. Thus, increases in tidal volume and minute ventilation volume and decreases in maximum breathing capacity, vital capacity, capacity ratio and air velocity Index were observed after boarding the ship. An increase in ventilation equivalent was also observed in both groups. The lowering of breathing efficiency was more marked in the land duty group than the sea duty group. 6. Energy expediture increased in both groups during their stay on the ship and was more marked in the sea duty group. 7, Lactate concentration in venous blood at rest and after exercise increased after boarding the ship and no 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 PDF

승모판협착증 환자에서 경피적 풍선확장판막성형술의 폐기능 및 운동부하 검사에 대한 효과 (Effects of Percutaneous Balloon Mitral Valvuloplasty on Static Lung Func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 김용태;김우성;임채만;진재용;고윤석;김재중;박성욱;박승정;이종구;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1호
    • /
    • pp.1-10
    • /
    • 1994
  • 연구배경 : 승모판 협착증 환자들은 폐기능검사상 제한성 및 폐쇄성 환기장애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운동능력의 장애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폐기능의 장애는 수술적 판막교정술에 의해 일부 호전이 있었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흉부폐쇄하에서의 경피적풍선확장 승모판막성형술에 의해 승모판 협착증을 교정한후, 폐기능검사 및 운동능력의 호전 정도 및 시술후 사간적 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승모판 협착증을 가진 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초음파상 좌심방혈괴가 보이거나, 승모판 폐쇄부전증이 grade 2이상인 경우는 제외하엿다. 승모판 협착증의 교정전후 폐활량측정법, 폐확산능 및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하였으며 폐기능의 시간적 경과에 따른 변화를 보기 위하여 폐기능 및 운동부하검사의 추적검사를 11명의 환자에서 평균 5개월 후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동율동을 보인 29명의 환자를 폐동맥압에 의해 A, B 양군으로 나누고, 양군간의 판막성형술 전후 폐기능 및 운동부하 검사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경피적풍선 확장 판막성형술후 평균 10일째 시행한 폐기능 및 운동부하검사결과를 수술전 검사 결과와 비교시, 노력성폐활량(FVC), 1초간노력성호기량($FEV_1$), 노력성호기중간유량($FEF_{25-75%}$), 최고호기유속(PEF), 최대산소섭취량($\dot{V}O_2$ max) 및 무산소역치(AT)등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폐확산능(DLco)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한편 5개월뒤 추적 검사한 11명의 환자에서 시술직후와 비교시 폐기능 검사 및 운동부하 검사결과의 유의한 증가는 없었다. 동율동을 보인 29예를 폐동맥압이 35mmHg보다 높은 경우 A군(16예), 35mmHg 이하인 경우 B군(13예)으로 분류하였다. A군에서는 판막성형술전 FVC, $FEV_1,\;\dot{V}O2$ max가 B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판막성형술후 A군에서 B군보다 FVC, $FEV_1,\;\dot{V}O_2$ max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A군에서 판막성형술후 AT 및 $\dot{V}O2$ max에서의 분당 산소섭취량에 대한 분당환기량($\dot{V}E/\dot{V}O_2$)과 분당 이산화탄소 생산량에 대한 분당 환기량($\dot{V}E/\dot{V}O_2$)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B군에서는 AT에서의 $\dot{V}E/\dot{V}O_2$$\dot{V}E/\dot{V}CO_2$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dot{V}O_2$ max에서의 $\dot{V}E/\dot{V}O_2$$\dot{V}E/\dot{V}CO_2$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1) 승모판협착증 환자에서 경피적풍선확장 판막성형술(PMV)후 1개월 이내 시행한 폐기능검사 및 운동부하 검사상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 2) 중등도 이상의 폐고혈압을 보인 승모판협착증 환자에서 폐동맥압 상승이 경미한 예보다 운동수행 능력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3) 중등도 이상의 폐고혈압을 보인 승모판협착증 환자에서 판막성형술후 운동능력의 유의한 호전은 분당 산소소모량에 대한 분당 환기량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관절가동술과 스트레칭이 어깨후방뻣뻣함을 가진 충돌증후군의 어깨관절 근활성도와 안쪽돌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and Stretching on the Muscle Activity and Internal Rotation of Shoulder Joint in Patients With Impingement Syndrome With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 문귀도;임진용;김태호;이동우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8-44
    • /
    • 2020
  • Background: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which is a problem mainly seen in patients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disrupts the scapulohumeral rhythm between the humerus and scapulae. Obj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joint mobilization and stretching on shoulder muscle activity and in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ROM) of the glenohumeral joint in patients with impingement syndrome with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22 in-patients with impingement syndrome with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12 patients) was treated with joint mobilization and the other group (10 patients) was treated with stretching for the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Each treatment was performed five times a week for two weeks, and there were 15 sessions for each treatment. The ROM of the internal rotation and muscle activities of shoulder joint were evaluated pretest and posttest in each group. Electromyograph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upper, middle, and lower trapezius and serratus anterior during shoulder abduction of 90°, 120°, and 150°. Results: Both the joint mobilization and stretching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muscle activity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trapezius on the posttest (p < 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ratus anterior at 150° (p < 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in post-hoc analysis (p > 0.025). The internal rotation RO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tretching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joint mobilization group (p < 0.025).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both joint mobilization and stretching for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were effective in muscle activity during arm abduction, also in order to increase internal rotation ROM of shoulder joint, stretching was effective in patients with impingement syndrome with posterior tightness.

The effect of music therapy for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ith high post-traumatic stress

  • Ahn, Hee-Jeong;Shim, Gyu-Si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21-226
    • /
    • 2021
  •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119구급대원(이하 구급대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post-traumatic stress; PTS)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음악치료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지역의 구급대원 42명으로 2019년 11월 25일부터 2020년 3월 1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군 21명은 매일 2회씩 5일간 총 10회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음악치료 전문가 2인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는 즉흥적으로 연주하기, 리듬 창작 활동, 난타, 신체 활동 등 목표에 필요한 중재기법이 적용되었다. 대조군은 실험군의 프로그램 진행과 동일한 시간에 자유로운 휴식(TV시청, 휴대폰게임, 수면, 운동 등)을 취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은 음악치료 적용 전과 후의 외상 후 스트레스의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은 음악치료 적용 전에 비해 직후의 PTS가 크게 감소하였고, 4주 후와 12주 후에는 PTS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음악치료는 구급대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