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me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24초

엽면시비(葉面施肥)에 따른 고추냉이 근경(根莖)의 행미성분함양(幸味成分含量) 변화(變化) (Changes of Allylisothiocyanate Content by Foliar Application of Fertilizer in Wasabia japonica Mastum)

  • 이성우;최경구;박장환;김석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
    • /
    • 1998
  • 강원도 평창에서 송어 양식후 배출되는 냉수를 이용하여 고추냉이를 재배하면서 계절 및 생육기간에 따른 근경의 allyINCS 함량 변화를 조사하고 화학비료의 엽면시비에 따른 allyINCS의 함량증가를 꾀하여 품질을 높이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육초기부터 생육후기인 이듬해 3월 개화기까지 생육기간의 경과에 따라 근경의 allyINCS 함량은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개화말기인 5월경에는 급격히 저하되었다. 2. 요소 1% 수용액 엽면시비는 대체로 생육을 촉진시켜 근경중을 증가시키거나 allyINCS 함량 증가에는 효과가 없었다. 3. 황산염을 함유한 비료(황산암모늄, 황산칼륨)의 엽면시비는 근경중과 근경의 allyINCS함량을 증가시켰는데 , 황산암모늄보다 황산칼륨 처리가 근경중 및 근경의 allyINCS 함량 증가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황산 칼륨처리로 근경중이 44%, allyINCS 함량이 38% 증가 되었다. 4. 요소 1%와 황산암모늄 1% 수용액의 혼합처리는 고농도로 인하여 생육장애를 보여 근경중은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나 근경의 allyINCS 함량은 47% 증가되었다.

  • PDF

생강의 비닐하우스 재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izome Size and Planting Space on the Growth and Yield or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 in Greenhouse Cultivation)

  • 최재을;김정선;이은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4
    • /
    • 1999
  • 비닐하우스에서 생강재배시 종강의 크기와 재식거리가 생강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닐하우스 내의 기온은 노지에 비하여 평균 9$^{\circ}C$ 높았으며, 지온은 평균 2-4$^{\circ}C$ 높았다. 하우스 재배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초장, 엽면적, 경수, 괴경 수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하우스에서의 재식거리 30$\times$30cm에서 근경수량은 노지보다 121-183%의 증수 효과가 있었다. 60$\times$30cm의 재식거리구에서는 재식거리 30$\times$30cm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노지재배에 비하여 76-82%증수되었다. 단위면적당 근경수량은 재식 밀도가 30$\times$30cm이고, 종구의 크기가 40g 일 때(4,631kg/10a)가장 많았다.

  • PDF

수종 산형과 한약재의 혈관이완 및 혈압강하 효능에 대한 문헌고찰 (Vasorelaxant or hypotensive effects of herbal medicines belong to Umbelliferae family: a review)

  • 김범정;최호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29-36
    • /
    • 2022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of herbal medicines belong to Umbelliferae family. Methods :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ticles about Herbology were investigated. A review was performed via the database (DB) search engines such as Pubmed,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Science, and Google Scholar. Hypertension-related terms including "vasorelaxation", "vasorelaxant", "vasodilation", "vasodilatory", "vasodilative", "hypotension", and "hypotensive" were performed as search terms. Results : A list was made about herbal medicines and origin plants belonging to the Umbelliferae family in Korean Pharmacopoeia 12 and Korean Herbal Pharmacopoeia. 14 herbal medicine and 22 origin plants were searched. Ostericum koreanum root and rhizome, Notopterygium incisum root and rhizome, N. forbesii root and rhizome, Ligusticum tenuissimum root and rhizome, L. jeholense root and rhizome, Angelica gigas root, A. dahurica root, A. dahurica var. formosana root, Bupleurum falcatum root, Peucedanum japonicum root, P. praeruptorum root, A. decursiva root, Cnidium officinale rhizome, L. chuanxiong rhizome, Foeniculum vulgare fruit, and Ferula assa-foetida resin and stem showed significant vasorelaxant or hypotensive effects. Conclusion : These review results showed that Osterici seu Notopterygii Radix et Rhizoma, Ligustici Tenuissimi Rhizoma et Radix, Angelicae Gigantis Radix, Angelicae Dahuricae Radix, Bupleuri Radix, Peucedani Japonici Radix, Peucedani Radix, Cnidii Rhizoma, Foeniculi Fructus, and Ferulae Resina had vasorelaxant or hypotensive effects. The results are expected as basic data in clinical trials and experimental researches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of herbal medicines.

연근과 우절 에탄올 추출물의 향장효능 검증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Lotus Rhizome and node of Lotus Rhizome)

  • 장영아;박소현;김보애;박종이;정영옥;이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57-665
    • /
    • 2017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연근과 우절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근과 우절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 항주름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근과 우절을 95%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항산화 평가를 위해 샘플을 농도 (100, 500, 1000) ${\mu}g/mL$에 따라 처리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주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Elastase 저해 활성 평가를 수행 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대식세포 (Raw 264.7 cells)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연근과 우절의 $1000{\mu}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각 66.7%, 99.5% 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각 51.2%, 98.3%로 나타났다. elastase저해 활성 결과 우절이 연근에 비해 높은 항주름 효능을 나타내었다. 우절은 $1000{\mu}g/mL$ 농도에서 대조군 EGCG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에 따르면 연근은 55.8%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우절은 66.6%의 효과를 각각 나타내어 우절 추출물이 연근보다 항염증 효과가 더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연근 및 우절 추출물은 안전한 항산화 항염증 및 항주름 천연화장품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백련 종류에 따른 연근 크기와 수확량 (Yield and Size of Enlarged Rhizome among Different Kinds of White Lotus)

  • 임명희;박용서;조자용;박삼균;윤재길;장홍기;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2009
  • 백련 4종류의 연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 4월 10일에 3.3 $m^2$ 당 비대근경 1개씩을 심은 후 2008년 2월 19일에 굴취하여 1 $m^2$ 당 수확량과 비대 근경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수확량은 '회산' 백련(3.0kg), '청양' 백련(2.5 kg),'가람' 백련(2.0 kg), '인취사' 백련(1.0 kg)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근경의 수는 '인취사' 백련 4.9개, '가람' 백련 4.3개,'회산' 백련 4.2개, '청양' 백련 4.1개 순이었다. 비대근경의 총 마디 수는 '회산' 백련(17.0개), '인취사' 백련(16.0), '청양' 백련(15.3개), '가람' 백련(14.1개) 순이었다. 뿌리의 길이는 '인취사' 백련과 '가람' 백련은 50 cm 이하인 것이 각각 76.3, 53.0%인 반면에 '회산' 백련과 '청양' 백련은 각각 38.2%와 40.3%를 나타내었다. 자생백련 비대근경의 첫 번째 마디는 다른 마디에 비해 긴 경향을 나타냈지만 직경과 횡경은 작아서 가늘었으며, 둘째 마디부터는 굵고 짧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백련근의 수확량 측면에서는 '회산' 백련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loe vera의 삽목 발근에 미치는 제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actors Affected on Rooting of Aloe vera Cutting)

  • 정호선;침재성;박태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55-64
    • /
    • 1993
  • 본 연구는 Aloe vera의 흡지번식에 있어서 auxin류의 처리와 몇 가지 재배요인이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흡지의 크기와 근경의 유무에 따른 발근효과를 보면 단흡지(15-20cm)는 근 경을 제거한 것 보다 부착했을때 발근수가 많았고, 장흡지(25-30cm)는 근경을 제거했을때 근수 및 근건물중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단흡지는 근경이 부착되었을때 IBA 500mg/I처리에서 가장 높은 발근효과를 나타냈고, 장흡지는 근경을 제거했을때 IBA 1,000mg/I와 NAA 200mg/I처리에서 가장 촉진적이다.2. IBA, NAA, ethychlozate의 침지시간에 따른 무근경흡지의 발근양상을 보면 IBA와 NAA가 발근에 촉진적으로 작용했으나 NAA와 ethychlozate처리구에서는 약해를 받은 흔적이 나타나 aloe의 발근촉진에는 IBA가 가장 적합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또한 단흡지는 IBA 500mg/I에 10분 침지한 것이, 장흡지는 IBA 1,000mg/I에 10분 침지한 것이 근수, 최근장, 근중 및 발근율에서 가장 효과적 이었다. 그리고 흡지의 크기에 따른 발근효과는 장흡지가 더욱 촉진적이었고 균일한 발근양상을 나타냈다.3. 무근경장흡지의 근수와 근중은 IBA 1,000mg/I처리에 7일간 음건했을때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IBA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에는 음건이 길어수록 근장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4. Aloe흡지삽에 있어서 삽목용토에 따른 발근효과를 보면 인공용토 보다는 퇴비가 많이 함유된 재배토양에서 뿌리분화 및 뿌리생육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5. Aloe흡지삽의 발근은 투광율이 높을수록 양호한 경향을 보였고, 피복재료에 있어 서는 투명비닐 보다 흑색비닐이 발근을 더욱 촉진시켰다.

  • PDF

Formulation and Sensory Evaluation of Granule and Tablet from Lotus Rhizome(Nelumbo nucifera Rhizome)

  • Karki, Rajendra;Bang, Kyu-Ho;Kim, Dong-Woo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3-109
    • /
    • 2008
  • Nelumbo nucifera root(NNR) is used to clear summerheat(暑熱), bear Yang(陽) upwards and stop bleeding as mention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lso, it has been known that NNR is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pressure and hyperlipidemia. The rhizome is considered to be nutritive, demulcent, diuretic and cholagogue and is used to treat piles, dyspepsia and diarrhea. An increasingly growing market for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has triggered the study on natural sources for nutraceuticals, health foods and functional foods. But rhizome was inconvenient to formulate liquid dosage form(extract) by way of hot water because of its limited storage. Also the majority of the consumers have a complaint against the do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nctional materials from NNR without side effects. We formulated the solid dosage form viz tablet and granule from the lotus root.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erms of smell, taste, color and overall of lotus root and all colored forms(brown, dark brown, light green and yellow) of tablet and granule to evaluate the acceptability of the formulated tablets and granules. In sensory evaluation, among the formulated tablets and granules, light green granules obtained best score overall and yellow tablets showed the overall improved acceptability. In conclusion, lotus rhizome could be recommended as functional food. Further studies to clarify bioactive functions of Nelumbo nucifera in experimental animal model on atopic dermatitis are in progress.

고추냉이 품종별 생육 및 Allylisothiocyanate 함량 변이 (Variation of Growth and Allylisothiocyanate contents of Wasabia japonica Matsum. Cultivar)

  • 변학수;허수정;임수정;서정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1-184
    • /
    • 2002
  • 고추냉이 품종의 생육 및 수량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대왕(大王) 1호, 달마종, 도근재래(島根在來) 등 3품종을 공시하여 철원에서 물 재배한 결과 시험에 사용된 용수의 수질은 일본의 주산지인 정강(靜岡)와 비슷하였으며, 품종별로는 실생 번식용품종인 달마종은 지상부 및 근경의 관련 형질에서 변이폭이 적었으나 영양 번식용 품종인 도근재래(島根在來)는 변이폭이 컸다. 고추냉이의 부위별 건물율은 품종에 관계없이 근경>분지경>엽>엽병 순서이었고, 근경의 건물율과 allylisothiocyanate 함량은 비례하였다. 고추냉이의 수량과 근경의 신미 성분 함량과의 상관은 없었으며 품종별 allylisothiocyanate 함량은 달마종>도근재래(島根在來)>대왕(大王) 1호 순서이었다.

Studies on the population biology of some clonal plants in a coastal reclaimed land

  • Choung, Yeon-Sook;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327-343
    • /
    • 1991
  • Clonal growth and rhizome architecture of calmagrostis epigeios, were studied in a 15-year old coastal reclamed land. As c. epigeios patch grew from center to margin radially over time, concentric annuli were added. the radial increases of the mature patch were 80~130cm/yr. the patch ages of c. epigeios estimated by relationships between the diameter and is radial increament, were 1~6year old. There were the marked variations of density, phytomass, shoot height and inflorecence frequency with increasing age of rhizome system within the patch. the maximum performance occurred at 2-year-old concentric annuli of the patch. The growth phasic continuum with aging was divided into 5 grwth phases ; pioneer, building, matyre, senile and degenerate. The rhizome aging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orescence frequency than on the other attributes. new rhizomes tended to diverge from the direction of the parent ramet by sympodial growth. in a 1-year-old patch, average length of rhizome segment was 7cm, average number of internode was 6, and the tillering frequency was 27%. The tillering in the early stage resultd in the increase of shoot density and the producation of multibranching rhizome. as the result of that, circular patchwas formed in a year. The branching structure based on such facts was represented graphically in branching degree of 60 and 100. therefore, c. epigeios with clonal growth may establish and grow vigorously earlier than other glycophytes in high salt conditions such as the coastal reclaimed land.

  • PDF

토굴저장 생강의 부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동정 및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Seed-Rhizome Rot of Gingers in Underground Storage Caves)

  • 김충회;양종문;양성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84-490
    • /
    • 1998
  •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seed-rhizome rot of gingers preserved in three underground storage caves were identified with respect to rot types. Rot patterns were grouped into 4 different types : yellow soft rot, brown rot, localized ring rot, and water-soaked rot. Water-soaked rot was highest in frequency with 40% and ring rot the least with 14%. Causal pathogens differed with rot type, yellow soft rot by Erwinia carotovora and Pseudomonas aeruginosa, brown rot by Fusarium solani and Pseudomonas aeruginosa, localized ring rot by F. solani, and water-soaked rot by Pythium spinosum and P. ultimum. Pythium myriotylum, the causal pathogen of ginger rhizome rot which occurs severely in fields was rarely detected from storage seed-rhizomes suggesting its minor involvement with storage rot. Pathogenic Pythium isolates were frequently obtained from both rhizome surface and inner tissues of rotten rhizomes. Detection frequency of Pythium isolates in inner tissues decreased as increasing distance from rhizome surface. In wound-inoculation tests, above pathogens caused a varying degree of rot on healthy rhizomes at 15$^{\circ}C$, 2$0^{\circ}C$ and 3$0^{\circ}C$ with increasing severity at higher tempera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