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nitrite conten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8초

Antioxidant Activities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 and Its Application to the Pork Sausages

  • Park, J.H.;Kang, S.N.;Shin, D.;Hur, I.C.;Kim, I.S.;Jin, Sang Ke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287-294
    • /
    • 2013
  • Influence of Achyranthes japonica Nakai Extract (AJNE) on properties of pork sausages were studi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JNE was added to sausag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to obtain a comparative analysis on properties of control and ascorbic acid added-sausages. Results showed that addition of 0.05% AJNE led to a decrease in color $L^*$ and whiteness (W), and an increase in color $b^*$ of pork sausage samples (p<0.05). Although color $a^*$ of pork sausages containing AJ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corbic acid added-sausages were highest amongst other treatments (p<0.05). Sausages containing AJNE had lower non-heme iron values and peroxide value (POV) than control sausages (p<0.05); however, high nitrosomyoglobin content was observed in AJNE added-sausages (p<0.05). Ascorbic acid led to a decrease in residual nitrite concentration of sausages (p<0.05),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AJNE added-sausages. Free radical scavenging analysis showed that AJNE did not affect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activity of sausages, whereas ascorbic acid added-sausages showed relatively higher activity among the samples (p<0.05). Addition of AJNE had no influence on texture properties of sausages. In sensory evaluation, AJNE trea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lor (p<0.05), but no significant effects on aroma, flavor, springiness, juic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AJNE, as a natural supplement may offer natural antioxidants for pork sausages, and appears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in inducing changes in non-heme iron concentration, POV value and nitrosomyglobin content.

건대추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대추와인 발효중의 이화학 및 항산화적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during the Fermentation of Jujube Wine Using Hot Water Extract of Dried Jujube)

  • 엄인주;최정인;김인호;김태훈;김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98-1307
    • /
    • 2016
  • 본 연구는 대추 열수 추출액을 이용한 대추 와인의 발효중 이화학적, 항산화적 특성 변화 및 최적발효조건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대추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pH 5.05, 산도 0.01% 및 농도 $6.5^{\circ}Brix$이었다. 대추 와인의 발효를 위한 최적의 발효 균주가 최종 선별되었고 최종 선정된 1균주는 26S rRNA gene sequencing과 GenBank DB의 유사성 분석에 의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 되었다. 대추 와인 발효를 위한 추출액의 초기 농도 $15^{\circ}Brix$에서 알코올 함량은 13%로 가장 높았고 잔당 함량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대추 와인발효 기간중의 알코올 함량은 3일째부터 급격한 증가가 있었고 발효 6일 이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잔당 함량은 알코올 함량의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발효 12일째 대추 와인의 pH는 4.34, 산도는 0.29%, 알코올 함량은 12.8%, 당도는 $8.70^{\circ}Brix$로 조사되었다. 대추 와인의 유기산 함량은 malic acid의 경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succinic acid와 lactic acid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 와인의 항산화능 특성 중 ABTS는 45.80%, DPPH은 61.89%, 아질산염 소거활성능은 91.95%이었고, total polyphenol은 3.69 mg/ml의 값을 보였다. 대추 와인의 관능적 평가에 의한 소비자 기호도에서 색과 전체적인 기호도면에서 평균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도체등급과 쑥 분말이 돼지고기 수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cass Grade and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Storage Stability of Boiled Pork)

  • 강세주;문윤희;정인철;김영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29-835
    • /
    • 2003
  • 도체등급과 쑥 분말이 돼지고기 수육의 저장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B등급육 또는 E등급육 (경산모돈육)에 쑥 분말을 0.3%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수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육은 $4\pm1^{\circ}C$에서 8주 동안 냉장하면서 pH, 휘발성염기질소(VBN) 함량, TBARS 값, 일반세균수 및 아질산이온 잔류량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수육의 pH는 원료육의 등급과 쑥 분말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냉장 4주까지 감소하다가 6주부터 증가하였으며, 이때에 쑥 분말을 첨가한 것이 변화의 폭이 적었다. VBN 함량은 원료육과 쑥 분말 첨가에 의한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수육의 TBARS 값, 일반세균수 및 아질산이온 잔류량은 원료육의 등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쑥분말 첨가에 의하여 수육의 TBARS 값은 낮아지고, 일반세균수가 적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이온 잔류량이 감소되었다.

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es of Emulsion-type Sausages)

  • 이제룡;정재두;하영주;이중동;진상근;이철영;성낙주;도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849-858
    • /
    • 2004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에 유자과피 분말을 각각 0.3%, 0.6% 및 0.9%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H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값을 나타내었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낮은 pH 값을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명도와 적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와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0.6%와 0.9% 첨가 소시지보다 명도 값은 현저하게 높았다. 황색도 값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황색도 값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방산화도를 나타내는 TBARS는 저장 1일에는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소시지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저장 20일 이후에는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지방산화도 값을 나타내었다. 잔존 아질산염 함량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고, 유자과피 분말 0.9%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와 유자과피 분말 0.3과 0.6% 첨가 소시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직특성에서 단단함 정도를 나타내는 경도는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고, 유자과피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값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응집성, 탄력성 및 점착성(뭉침성)은 대조구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에 비해 높았다. 이상에서, 유자과피 분말을 함유한 유화형 소시지는 pH, 색도, 조직특성에서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소시지의 지방산화를 지연시키고 잔존 아질산염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기계발골 계육이 첨가된 계육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특성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Added Chicken Sausage)

  • 이재준;최정석;정동순;박성현;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60-468
    • /
    • 2011
  • 기계발골 계육의 첨가 수준(0, 10, 20, 30 혹은 50%)을 달리하여 제조한 계육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특성을 살펴 보았다. MDCM의 첨가는 계육 소시지의 일반성분 분석에서는 단백질 함량은 감소시켰고, 회분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MDCM의 첨가는 계육 소시지의 pH, 보수력 및 전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가열감량을 증가 시켰다. 육색에서 MDCM의 첨가는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시킨 반면에 적색도는 증가시켰다. 조직검사에서 MDCM의 첨가는 경도와 응집성을 감소시켰으나, 탄력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 MDCM의 첨가는 다즙성과 경도를 감소시켰으나, 풍미와 씹힘성은 증가시켰다. 계육 소시지의 아질산이온 수준은 모든 처리구에서 4ppm 이하의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계육 소시지의 10일간 냉장저장 중에 MDCM의 첨가는 총미생물수와 TBA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VBN 수치는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모두 가식 범위의 범주에 들었다. SEM 사진을 이용한 미세조직 검사에서 MDCM의 첨가는 안정된 유화물의 단백질 조직을 이루었으나, 20% 이상의 첨가 수준에서는 단백질 조직의 형성이 다소 엉성하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MDCM의 20% 첨가는 계육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육색이나 관능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원료육 등급과 쑥 첨가가 loin ham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cass Grade and Addition of Mugwor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Loin Ham)

  • 강세주;문윤희;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39-244
    • /
    • 2004
  • 본 연구는 쑥 첨가와 도체 등급이 로인햄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특성 및 관능성을 실험하였다. 로인햄의 VBN, TBARS, 총균수, 보수력 및 열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H 및 아질산 잔류량은 쑥을 첨가한 로인햄이 낮았다. 지방 함량은 B등급육으로 제조한 로인햄이 높았으며, 단백질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은 E 등급육 로인햄이 높았다. 그러나 유리아미노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 값은 B 등급육으로 제조한 로인햄이 E 등급육 로인햄보다 높았으며, $a^{*}$ 값은 E 등급육 로인햄이 높았고, $b^{*}$ 값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계적 조직감인 경도, 탄성, 응집성, 뭉침성 및 씹힘성은 햄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향기는 쑥을 첨가하지 않은 로인햄이 쑥을 첨가한 것보다 우수하였고, 다즙성은 B 등급육으로 제조한 로인햄이 B 등급육으로 제조한 것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색깔,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열온도와 시간이 돈육소시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king Temperature and Time on Characteristics of Port Sausage)

  • 정인철;문귀임;이돈우;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32-836
    • /
    • 1994
  • 가열온도를 $58^{\circ}C\;및\;65^{\circ}C$로 하고 가각 가열시간을 달리하여 제조한 돈육소시지의 몇가지 특성을 검토하였다. 소시지의 표면색도는 $58^{\circ}C$로 가열하였을 때에 l(명도), a(적색도) 및 b(황색도)값이 각각 64.60~65.26, 9.14~9.94 및 8.68~9.34이었고 $65^{\circ}C$ 가열의 경우는 각각 65.16~66.68, 8.78~9.62 및 7.66~8.36이었다. 그리고 gel강도는 $58^{\circ}C$에서 120분 이상 가열, $65^{\circ}C$에서 40분 간의 가열이 높앗으며, $NO_2$의 잔존량은 $58^{\circ}C가\;65^{\circ}C$의 가열 보다 더 높았고 가열시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균수는 $58^{\circ}C$의 가열이 더 많았으며 전제적으로 $8.7{\times}10^{2}~3.5{\times}10^{3}$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58^{\circ}C와\;65^{\circ}C$ 가열 사이에 현저한 차이는 없었고 Asp, Glu 및 Lys가 많이, Cys, Met 및 Tyr 등이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 PDF

솔잎, 깻잎 및 녹차분말이 함유된 유화형 소시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 Containing Pine Needle, Perilla Leaves and Green Tea Powder)

  • 김일석;진상근;하경희;류현지;박기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67-678
    • /
    • 2005
  •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솔잎분말(T1), 깻잎분말(T2), 녹차분말(T3)을 각각 0.4% 첨가하여 제조된 유화형 기능성 소시지를 $9{\pm}1^{\circ}C$에서 40일간 저장하면서 10일 간격으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는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보수력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저장 40일 보수력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경도, 씹힘성, 검성과 파쇄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ARS는 저장 1일에는 T3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40일에는 T1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육색은 T2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들은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이 다소 감소하였고, a*값은 대조구가 가장 높게, T2와 T3는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잔존 아질산염은 저장 전 기간 동안 법적 규정이내를 유지하였다. 저장 40일차에 대조구가 가장 높은 유산균수(107CFU/g)를 나타내어 모든 처리구들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저장 30일차까지 C가 5.5-6.5, T1은 4.8-6.0, T2는 4.8-5.8, T3는 4.3-4.8 범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들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육제품 생산 시에는 솔잎, 깻잎, 녹차분말의 첨가수준이나 첨가형태 및 사용되는 향신료 등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