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dual life

검색결과 1,002건 처리시간 0.03초

SO2 발생패드처리가 곶감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2 Generating Pad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Dried Persimmons during Storage)

  • 오성일;김철우;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2호
    • /
    • pp.202-207
    • /
    • 2016
  • 곶감의 $SO_2$ 발생패드처리(SO2 0, 0.5, 1, 2 g/kg)에 의한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저장기간동안 $SO_2$ 발생패드처리는 곶감의 중량 및 수분감소율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저장 12주 후 곶감 표면의 색차(E)는 무처리구에서 3.5로 가장 높은 반면, $SO_2$ 2 g/kg 처리구에서 2.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곶감의 갈변도는 저장 12주 후 무처리구에서 0.15 O.D.로 가장 높았으며, $SO_2$ 0.5 g/kg 처리구 0.14 O.D.와 $SO_2$ 1 g/kg 처리구 0.10 O.D., $SO_2$ 2 g/kg 처리구 0.05 O.D.순으로 나타났다. 부패율은 저장 12주 후 무처리구가 9.0%로 가장 높은 반면, $SO_2$ 2 g/kg 처리구는 부패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모든 $SO_2$ 발생패드 처리구에서 곶감의 잔류 이산화황 농도는 3.3~97.0 ppm으로 안전한 범위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SO_2$ 발생패드처리는 곶감의 갈변 및 부패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O_2$ 2 g/kg 처리가 곶감의 품질유지와 저장성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Propineb의 안전사용(安全使用) 기준(基準) 설정(設定)을 위한 잔류분석(殘留分析) (Residue Analysis to Establish an Index for the Safety Use of Propineb)

  • 최원석;양재의;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9-214
    • /
    • 1992
  • 이 실험은 참깨에 대한 Propineb의 안전(安全) 사용기준(使用基準)을 설정하기 위하여 보호(保護) 살균제(殺菌劑)인 Propineb(56%)와 직접(直接) 살균제(殺菌劑)인 Oxadixyl(8%)의 혼합제(混合劑)를 경엽 살포하였을때, 그 시용량(施用量)과 시용시간(施用時間)에 따라 참깨시료중에 잔류(殘留)하는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을 측정하였다. 공시농약의 처리는 수확전 3, 7, 15, 30, 45, 60일에 하였으며 Propineb는 각 처리구당 $0.028g/m^2$의 수준으로 시용(施用)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 중 Propineb의 회수율(回收率)은 84-96%이었으며, 최소(最少) 검출(檢出) 한계(限界)는 0.03mg/kg이었다. 2. 처리횟수 및 처리기간에 따른 참깨 시료중의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0.14{\sim}1.38mg/kg$ 범위였다. 3.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처리 횟수가 많을수록, 또 처리 일수가 수확일에 가까울수록 많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4. 참깨시료중에 Propineb의 잔류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했으며 이는 First-Order Kinetics에 따랐다. 5. 참깨시료중 Propineb의 잔류량은 6회 사용, 수확 3일전에 처리하였을 경우에 1.38mg/kg이었으며,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최대(最大)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인 2mg/kg보다 낮았다. 6. 본 실험에서 측정한 Propineb의 반감기(半減期)는 $12{\sim}16$일이었다.

  • PDF

산화억제 가능성과 사용편의성을 가진 일회성 조제분유 포장 (Use-friendly Active Packaging of Powdered Infant Formula in Single-serve Portion Augmented with Anti-oxidative Function)

  • 이혜림;안덕순;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5-99
    • /
    • 2019
  • 질소 치환한 소용량 조제분유 포장에서 초기 잔존 산소와 저장 중 투과 유입되는 산소를 제거하여 추가적인 산화 방지 효과를 얻고자 산소흡수제를 함입하는 포장을 구성 설계하였다. 조제분유 13 g을 담은 5 × 7 cm의 폴리에틸렌/펄프 다층 세공성 여과 봉지와 함께 산소흡수제를 8 × 9 cm의 알루미늄 적층 필름 포장에 넣은 후, 질소 기체로 치환포장하여 30℃에서 254일 동안 저장하였고, 같은 조건에서 산소흡수제가 함입되지 않은 대조구 포장 조건과 비교하였다. 산소흡수제는 조제분유와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으면서도 포장 내부의 산소를 전량 흡수할 수 있었으며 산소의 제거에 따른 산화 방지로 인하여 이산화탄소 발생을 보이지 않았다.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 포장 제품에 비하여 산소흡수제 함입 포장의 제품에서는 0.7~2.2 meq/kg 만큼의 낮은 과산화물가를 보여서 조제분유 포장에서 산소흡수제의 산화 지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 갈변지표 물질인 HMF 함량은 두 처리구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산소흡수제 함입 조제분유 포장은 소용량 포장의 유통기한을 연장하고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구강건조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 오정규;김연중;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4호
    • /
    • pp.331-343
    • /
    • 2001
  • Advances in medical procedures and utilization of medication have resulted in expanding aged population, which leads to increased aged patients with salivary hypofunction and its associated symptoms in dental clin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and its correlation with their salivary flow rate. Forty dry mouth patients (7 males, 33 females, mean age 42.0 years) whose flow rate of unstimulated whole saliva was less than 0.15 ml/min were included and their gender- and age-matched controls (7 males, 33 females, mean age 42.9 years) who did not report any complaints, suggestive of salivary gland dysfunction and had the flow rate of greater than 0.20 ml/min were included for comparison. The salivary flow rate was measured in both unstimulated and stimulated conditions. Dry mouth-related clinical information including history, dry mouth associated symptoms, exacerbating and relieving factors, drugs, systemic diseases, and family history was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s. Th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to each question and their relation to the salivary flow rate were analyzed and we came to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controls to the following questions: the period and frequency of suffering from dry mouth; severity of dry feeling during a meal; severity of discomfort during swallowing; necessity of sipping liquids during swallowing dry foods, severity of discomfort in usual life due to dry feeling; self-assessment of residual salivary volume; taking medications. 2. The patients had more stress-related medical histories including indigestion, insomnia, and gastritis compared with controls. The patients took many kinds of medications to control their systemic disease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livary flow rate between different groups of patients to following questions: severity of dry feeling during a meal; severity of discomfort during swallowing; necessity of sipping liquids during swallowing dry foods. The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rather than unstimulated one. 4. The salivary flow rate of patients taking medications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patients who did not take medications. The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the case of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rather than unstimulated one.

  • PDF

서울시 상수계통에서 병원성균 Aeromonas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분포연구 (Dete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Pathogenic Bioagent Aeromonas (Gamma-Proteobacteria) in Water Supplies of Seoul)

  • 이은숙;이목영;한선희;가종억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6-110
    • /
    • 2007
  • USEPA 1605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상수도계통에서 Aeromonas를 조사하였다. 2002년 7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매월 한강수계 하천수와 서울시 정수장에서 공급되는 정수, 수돗물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Aeromonas는 선택배지(ADA-V)를 사용하여 membrane 필터 표면에 성장한 노란색 집락을 계수하여 측정하였다. 하천수에서는 Aeromonas가 $1.0{\times}10^{0}-9.8{\times}10^{3}\;CFU/ml$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정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수돗물에서는 141개 중 1개의 시료에서 1 CFU/500 m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확인된 Aeromonas는 대부분 비병원성인 A. salmonicida(51%)였고, 이 외에도 A. caviae(4.7%), A. schubertti(3.4%), A. sobria(3.8%), A. hydrophila(2.1%), A ichithiosmia(0.4%)등이 동정되었다. A. salmonicida에 대한 염소 저항성을 평가한 결과, 0.2 mg/L 염소농도에서 30초 접촉 후, 99.99% (일부)가 제거되었다. USEPA 1605 방법에서 제시한 정도관리를 수행한 결과, 정도관리 허용기준을 만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울시 상수도계통에서 Aeromonas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었다.

광안정제를 이용한 acetamiprid 액제의 살충효과 증진 (Enhancement of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Acetamiprid Soluble Concentrate using a Photostabilizer)

  • 김형민;이원기;김종관;석창수;이창혁;유용만;황인천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0-217
    • /
    • 2006
  • 본 연구는 살충제인 acetamiprid 5% 액제(SL)의 광분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화학적 및 생물학적 시험방법을 통하여 효과적인 보조제를 선발하고 선발된 보조제의 최적함량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보조제는 KS1과 KS2 2종이었으며, 화학적 평가를 위하여 광분해 시험을 실시하였고, 생물학적 평가를 위하여 고추를 대상으로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에 대한 살충 활성과 잎에서의 잔류량을 측정하였다. 보조제 첨가에 따라 acetamiprid 5% 액제의 광분해율은 감소되었으나 보조제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그러나 고추 목화진딧물에 대한 살충 활성과 옆에서의 잔류량 측정결과로는 보조제 KS1보다는 KS2가 우수한 생물활성과 높은 잔류량을 나타내어 KS2를 보조제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보조제 KS2를 0, 0.1, 0.5, 1% 함유한 함량별 시험에서는 함량이 가장 적은 시료에서 가장 낮은 광분해율을 보였으며, 고추 목화 진딧물에 대한 살충 활성과 잎에서의 잔류량 측정 결과에서도 보조제 KS2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보다 우수한 생물활성과 높은 잔류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라 선발된 보조제 KS2의 최적 함량은 0.1%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보조제의 선발에 의하여 살충제의 광분해를 막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살충제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살충제의 처리량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밀의 제분에 따른 밀가루 중 농약 가공계수 산출 연구 (Studies for the Processing Factors of Pesticides during the Milling of Wheat Grain)

  • 박소영;박건상;임무혁;최훈;장문익;권찬혁;김선구;이효구;홍무기;심재한;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0-78
    • /
    • 2009
  • 밀가루의 농약잔류허용기준설정에 필수자료인 밀의 제분공정에 따른 농약의 가공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위해 밀에 대한 농약 연간사용량과 검출이력이 있는 azinphos-methyl, chlorpyrifus, chlorpyrifos-methyl, fenitrothion, malathion, trichlorfon를 대상농약으로 선정하였다. 밀에 이들 농약을 밀의 잔류허용기준 수준 정도로 침투시키기 위하여 농약을 첨가된 침지액에 침지하는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제분은 pilot plant system에서 수행하였다. 가공계수는 가공 전 밀과 가공 후의 밀가루 및 부산물의 농약잔류량을 분석하여 각 농약 잔류량을 나누어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밀가루의 가공계수는 각각 azinphos-methyl 0.05, chlorpyrifos 0.06, chlorpyrifos-methyl 0.05, fenitrothion 0.07, malathion 0.07, trichlorfon 0.06이었다. 또한, 분석법 검증을 위해 회수율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회수율은 $93.2{\sim}98.6%$, 표준편차는 $0.1{\sim}0.9%$이었다.

Management of Enteral Nutrition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rokinetic Effects of Amoxicillin/Clavulanate in Real Life Conditions

  • Chiusolo, Fabrizio;Capriati, Teresa;Erba, Ilaria;Bianchi, Roberto;Atti, Marta Luisa Ciofi degli;Picardo, Sergio;Diamanti, Antonell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6호
    • /
    • pp.521-530
    • /
    • 2020
  • Purpose: Malnutrition is a common feature in critically ill children. Enteral nutrition (EN) is the main strategy to nutritionally support critical ill children, but its use can be hindered by the development of intolerance.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moxicillin/clavulanate (A/C) to treat EN intoleran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patients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from October 2018 to October 2019.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in the first 6 months (October 2018-April 2019) we implemented the nutritional protocol of our Institution with no drug, whereas in the second half (May 2019-October 2019) we employed A/C for 1 week at a dose of 10 mg/kg twice daily. Results: Twelve cases were compared with 12 controls. At the final evaluation, enteral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baseline in the cases (from 2.1±3.7 to 66.1±27.4% of requirement, p=0.0001 by 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 test) but not in the controls (from 0.2±0.8 to 6.0±14.1% of the requirement, p=NS). Final gastric residual volume at the end of the observ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ses than in the controls (p=0.0398). The drug was well tolerated as shown by the similar safety outcomes in both cases and controls. Conclusion: Malnutrition exposes critically ill children to several complications that affect the severity of disease course, length of stay, and mortality; all may be prevented by early EN. The development of intolerance to EN could be addressed with the use of A/C. Future prospective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conclusions.

소아암 환자의 양성자치료 시 DIPS 촬영에 따른 피폭선량 (Exposure Dose of DIPS in Proton Therapy for Pediatric Cancer Patients)

  • 김정수;김정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1호
    • /
    • pp.59-64
    • /
    • 2011
  • 소아암 환자에 대한 양성자치료 시 정밀한 자세재현 확인 및 종양의 위치파악을 위한 DIPS 촬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방사선 피폭에 관하여 확인하여 보았다. 2007년 3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일산의 K 암전문 병원에서 양성자치료를 받은 50명의 소아암 환자를 대상으로 DIPS의 촬영조건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1회 DIPS 촬영 시 피폭선량은 전후 측면촬영에서 0.09~1.57 mGy로 측정 되었으며, 1일 DIPS 촬영이 가장 많은 소아암 환자는 뇌척수조사 환자로 23.55 mGy로 측정되었다. 전뇌조사 환자에서 1일 DIPS 촬영 시 피폭선량이 1.13 mGy로 1일 처방선량을 가장 많이 초과하였으며, 권고선량의 2%를 초과하지 않았다. 치료기간 중 DIPS 피폭선량이 가장 많은 환자는 전뇌조사 환자로 632.71 mGy로 이는 처방선량의 1.13%로 권고선량의 2%를 초과하지 않는 합당한 선량으로 나타났다. 소아암 환자에 대한 DIPS 촬영 시 피폭선량은 처방선량에 대하여 2%를 초과하지 않는 피폭선량으로 나타났지만, 방사선감수성이 높고 평균 잔여 수명이 긴 소아암 환자에게는 유전적 영향 등의 확률적 영향과 관련된 방사선 장해를 초래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 소아암 환자의 DIPS 촬영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로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UV 처리에 의한 T-OLED용 산화전극에 적합한 Ag 박막연구: Nano-Mechanics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Ag Thin Film of Suitable Anode for T-OLED: Focused on Nanotribology Methode)

  • 이규영;김수인;김주영;권구은;강용욱;손지원;전진웅;김민철;이창우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28-332
    • /
    • 2012
  • Ag (silver)의 일함수는 T-OLED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전극소자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낮다는 단점이 있다(~4.3 eV).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Ag 박막의 표면을 플라즈마, UV, 열처리를 통하여 일함수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5.0 eV). 하지만 현재의 대부분 연구는 후 처리된 박막의 일함수에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박막의 mechanical property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이는 T-OLED의 효율과 수명 등의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g와 $AgO_x$ 박막의 mechanical property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실시하였다. Ag는 유리기판 위에 rf-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여 100 W의 power에서 150 nm 두께로 증착되었다. 증착된 박막은 UV 램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간동안 UV 처리되었다(0~9분). 본 논문에서는 처리된 박막의 면저항을 측정하고 nano indenter, Scanning Probe Microscopy의 Atomic Force Microscopy mode를 이용하여 mechanical property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UV 처리 시간이 3분을 넘어가는 시편과 3분 이내의 시편은 면저항값 및 경도 값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Ag 박막의 후처리에 따른 Ag 물질의 산화 및 결합상태에 따라 박막 내에 존재하는 stress의 영향으로 예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