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32초

대구시의 도시성장과 신시가지 지역 특성에 관한 연구(I) - 도시성장과 신시가지 개발을 중심으로 - (The Natures of urban Growth and newly Developed Districts of Taegu(I) - Urban Growth and Land Development in newly Developed Districts -)

  • 진원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5-313
    • /
    • 2002
  • 대구시의 성장은 토지구획정리사업, 공영개발사업, 도로망의 건설 등 공공정책을 통해 선도되었다. 반면, 산, 하천, 철도 등의 제약요인으로 대구시 성장패턴이 결정되었다. 대구는 조선시대 도시 발생기, 일제강점기 이후 도시기반 형성기, 1960년대 이후 산업화 시기의 도시성장기를 거쳐, 1980년 이후, 대규모 신시가지가 형성되어 현재 대구 도시공간의 기본골격을 형성함으로써, 도시의 팽창 성숙기에 들어서게 된다. 특히 1981년 대구직할시 승격에 따라 편입된 성서, 월배, 고산, 안심 및 칠곡 등 지역이 공영개발사업 방식을 동하여 고층아파트 중심적 고밀도 주거 신시가지로 조성되었다. 신시가지는 대구시 중심에서 대체로 $6km{\sim}7k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구시 외곽 방향의 방사선 도로와 인접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대구시 제4차 순환도로의 계획노선이 통과하는 지점이 된다. 상인, 성서 및 지산 범물 신시가지는 기성시가지와 연속적으로 개발된 반면 서지는 개발제한구역, 칠곡은 금호강에 의해 분리 개발되었다.

  • PDF

도시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 진주시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 A Case Study of Jinju City -)

  • 조정현;이창학;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2-101
    • /
    • 2011
  • 본 연구는 기존 구도심부 상업지역의 공동화로 인한 쇠퇴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현 시점에서 진주시의 도시공간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의 범위는 구득자료의 한계와 연구의 목적을 감안하여 진주시의 동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진주의 도시공간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다변량해석(Multivariate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의 지역(중심지, 공업지, 일반주거지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진주시는 장래 낙후된 도시이미지의 쇄신, 서부경남의 중심도시로의 부활을 위해서는 앞서 지역별 현상을 감안하여 도심 노후지역의 전면적인 도심재개발, 재건축사업 및 재정비촉진사업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상평공단 이전 및 초장동 일원과 연계한 신도시 건설, 현재 계획 중인 혁신도시의 차질 없는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GIS 공간유형분석 모형을 이용한 경관 규모 생태계의 평가기법 (Landscape Scale Ecosystem Assessment Modelling Using Spatial Pattern Analysis of GIS: A Case Study of Yongin, Korea)

  • 손학기;김원주;박종화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33-241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landscape scale ecosystem assessment model, and apply the model for the assessment of the state and change of ecosystem of the study area, Yongin, Korea. Since natural ecosystem of the site has been deteriorated significantly during recent extensive residential development, it is essential to correctly assess ecosystem of the study site. Traditional ecosystem assessment mainly utilizing intensive field survey requires high cost, but the outcome rarely represents spatial pattern of the regional ecosystems. Ecosystem assesment of landscape scale based on landscape ecology can resolve most of the shortfalls of the traditional approach. The research metho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such topics as spatial pattern of ecosystem, ecosystem assessment of landscape scale, ecolog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Second, a model for the ecosystem assessment of landscape scale emphasizing spatial pattern of ecosystem was developed. This model evaluates three indicators; ecological integrity and biological diversity, watershed integrity, and landscape resilience of 11 watersheds in the study area. Finally, ecological assessment utilizing two sets of indicators, enhancement of and disturbance of ecosystem stability, was carried out. This assessment method is based o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s Landscape component(EMAP-L) of EPA(199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system assessment of landscape scale of the study area of Yongin, Korea, showed that escosystems of Tanchun01 and Chungmichun01 watersheds had the worst state in the study site in 1991. On the other hand, the ecosystems of Jinwechun01, Kyunganchun02, and Bokhachun01 watersheds had the most stable ecosystem in 1991. Second, ecosystems of Tanchun01, Shingal reservoir, and Kyunganchun01 watersheds were evaluated to be the worst state in the study site in 1996. And, ecosystems of Jinwechun01 and Gosam reservoir watersheds had the most stable ecosystem. Third, ecosystem of Tanchun01 watershed which incudes Suji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 site changed the most drastically between 1991 and 1996. The ecosystem of the watershed the most drastically deteriorated due to it´s proximity to Seoul and Bundang new town.

  • PDF

다중 회귀분석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사기간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of Urban Residential Housing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김준상;김영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4호
    • /
    • pp.93-101
    • /
    • 2021
  • 국내 소규모 가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소규모 가구를 위한 주거공급 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정부에서는 소규모 가구를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오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공동주택, 일반 업무시설과 동일하게 분양 및 임대 사업이므로 발주자는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적정공사기간을 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대규모 건축물의 공사기간을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이 존재하나 도시형 생활주택과 같은 소규모 건축물에 대한 적정 공사기간 산정 모델은 부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획단계에서 발주자가 적정 공사기간을 산정할 수 있는 다중 회귀분석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사기간 산정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개발된 모델에 입력되는 독립변수는 연면적, 수도권, 지하층수, 지상층수, 주 건축물 수, 강원권의 총 6개이며, 개발된 모델의 수정된 결정계수(Ra2)는 0.547로 분석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성능은 RMSE의 경우 171.26일, MAPE의 경우 26.53%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발주자에게 신뢰성 있는 공사기간 산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Wastes Generated from Demolition of Buildings in the Housing Environment Amelioration District

  • Son, Byeung-Hun;Hong, Won-Hwa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25-33
    • /
    • 2013
  •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increased to 176,447 ton/day in 2008 from 28,400 ton/day in 2000, a 6-fold increase in just 10 years. Such dramatic increase in the waste of concrete, asphalt concrete, wood and metals was due to demolition of old buildings as well as a great number of build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hurried city industrialization. Many buildings targeted for demolition today were built in line with the government policy to provide affordable housing to citizens 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and consequently, said buildings underwent rapid deterioration and required periodic repairs and reconstruction. Based on the above, we predict that construction waste will continue to increase for the foreseeable future. In particular, due to limited availability of suitable space to construct apartments and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city, old buildings are being torn down to make space for new development, further increasing construction waste. In light of that, efforts to recycle as well as reduce generated waste are urgently required.

ANALYSIS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

  • Lee, Geun-Sang;Chae, Hyo-Sok;Lee, Hyun-Seok;Hwang, Eui-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64-767
    • /
    • 2006
  • It can be important framework data to monitor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river boundary in design and management of riv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land-use pattern of Gab- and Yudeung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images. To do this, we carried out radiation and geometric correction of image, and estimated land-use changes in inland and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inland, the ratio of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educational and public area, that is urbanized element, increases, but that of agricultural area shows a decline on the basis of 1990. Also, Minimum Distance Method, which is a kind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is applied to extract water-body and sand bar layer in floodplain. As the analysis of land-use, the ratio of level-upped riverside land and water-body increases, but that of sand bar decreases. These time-series land use information can be important decision making data to evaluate the urbanization of river boundary, and especially it gives us goodness in river development project such as the composition of ecological habitat.

  • PDF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Mode of Rice Processing in Igbemo-Ekiti, Nigeria

  • Basorun, Joseph Omoniyi;Fasakin, Julius Olubunmi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6권1호
    • /
    • pp.1-16
    • /
    • 2010
  • In Nigeria, Igbemo-Ekiti is synonymous with a popular local rice which, nevertheless, is characterized with contaminations. Efforts of Government through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 (ADP) to improve rice quality in the state, have failed to yield the desired results. This study, therefore, reports the peculiar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ing of rice in Igbemo-a major local producing town in Ekiti State, Nigeria. 72 respondents were interviewed, which was a census of the rice processors in 21 residential quarters of the town. Using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for analysis, the study discovered that; (i) status of the processors, (ii) expenditure on processing (iii) training acquired before commencing work, and (iv) storage facilities are crucial factors impacting rice processing activities in the town. The paper canvasses for policy measures based on research findings.

충전율에 따른 폐광산 채굴적 공동의 변위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Displacement Behavior of Abandoned Mine Goaf Cave According to Filling Factor)

  • 김동락;서인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51-156
    • /
    • 2011
  • The domestic mine development community the countermeasure establishment is insufficient about ground sinkage, not only the mine which is a in line is partial from the mine of the most which has become the rest mine and abandoned mine or the index sinkage occurs. The ground sinkage which occurs from the abandoned mine area most after operation is stopped, a long time passes and accurately predicts an occurrence location and a time with the residual sinkage which occurs, is difficult. Underground goaf of the abandoned mine and the closed shaft When considering the potentiality which causes the instability of ground, is a possibility of reaching a damage in the ground infrastructure or life. The underground shaft which is formed specially with mine development and goaf operates with the obstacle factor in the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e area, the ground sinkage which is caused by with sinkage, operates with the large safety accident occurrence factor where the important infrastructure of the railroad, road, residential area etc. is damaged. Therefore, In this paper, the goaf cave of the abandoned mine area, for the displacement behavior according to the filling factor of the material is to analyze the numerical analysis.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을 위한 농촌마을 리모델링 추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modeling Plans of Rural Villages for a Pleasant Settlement Environment)

  • 김상범;손호기;신민지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6권2호
    • /
    • pp.27-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13년부터 시행되는 '농촌마을 리모델링 시범사업'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추진체계와 세부내용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농촌마을 리모델링 관련 연구는 현재까지 리모델링의 목적이나 기능에 따른 다양한 개념 연구와 농촌주택, 마을쉼터, 공공시설 등과 같은 개별시설에 대한 규모와 배치기준 등에 대한 분야에 한정되어 있어 종합적으로 농촌공간을 리모델링하는 계획 수립과 이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농촌마을 리모델링 추진체계로 첫째,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는 사업의 준비단계, 즉 주민이 주체가 되어 자발적으로 마을정비 방향 설정, 시설물형태, 위치배치 등 사업내용에 대한 토론이나 포럼을 거쳐 마을계획서 작성을 하는 것, 둘째, 지자체에서 선정된 사업내용, 규모, 시기, 예산내역 및 예상성과 등을 검토하여 사업시행계획을 수립하는 것, 셋째, 관련전문가들에 의해 공간 및 시설계획과 법제도 검토를 통해 농촌마을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현재 농촌마을 리모델링은 개별적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에서 마을공간에 대한 종합적 계획 방식으로 변하고 있어 이를 위한 주민, 지자체, 전문가의 역할을 정의하여 리모델링 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추진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사업에 관련한 내용에 국한되어 수행되었으나 향후에는 농촌마을 리모델링의 대상별 세부기준과 리모델링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유럽 해항도시 항만재개발 롤모델로서 하펜시티 함부르크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fenCity Project - as a model for the European port city development -)

  • 정진성;조현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39-550
    • /
    • 2011
  • 현재 독일 함부르크에서 공사 중에 있는 하펜시티는 수변공간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사업 중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펜시티가 21세기형 도시를 지향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이는 도시인구의 교외이동으로 인한 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치유하고 극복하는 방안으로서의 재도시화 현상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하펜시티 프로젝트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기에 앞서 유럽의 해항도시에서 도시공동화를 불러일으킨 원인과 그 극복방안으로서의 재도시화 현상에 대해 먼저 살펴볼 것이다. 함부르크 하펜시티가 지향하는 새로운 도시성, 그리고 전통과 창조의 결합을 통한 문화적 가치들이 하펜시티 프로젝트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추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소개함으로써 북항 재개발 사업이 개선되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라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