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ce types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4초

AN EXPLORATORY STUDY COMPARING BLOOD METAL CONCENTRATIONS BETWEEN STROKE AND NON-STROKE PATIENTS IN KOREANS

  • Lee, Sun-Dong;Ko, Seong-Gyu;Kim, Rok-Ho;Hu, Howard;Amarasiriwardena, Chitra J.;Park, Hae-Mo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KSEH.Minamata Forum
    • /
    • pp.87-94
    • /
    • 2005
  •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metal level in the body is related to certain types of diseases. For example. serum copper level with chronic heart failure, iron and transferrin in the blood serum with acute cerebral vascular diseases, Zn in the CNS, lead with neurotoxicity, hypertension, genetic damage, arsenic with cancer skin lesion, Al with neurobehavioral function (cognitive impairment and memory disorder), and etc. The rate of stroke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several metals were found to be responsible for causing stroke. This study compared several blood metal concentrations between stroke and non-stroke patients. Patients with stroke (116 samples) and non-stroke (111 samples including lowback pain and 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tal of 227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age, gender, occupation, residence, alcohol, smoking, and etc. To be qualified into the stroke group, patients have never experienced stroke previously. Subjects only included ischemic stroke and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s diagnosed by brain CT and brain MRI. Patients with high risk of metal exposure such as herbal intake and job related exposure were excluded. 10ml of blood samples were analyzed by ICP-MS method at the Center of Nature and Science at Sangji University. Metal geometric mean (SD) concentrations in blood of study subjects showed higher values, 2.64-36.12%, than WHO reference values in Mn, Ni, Hg, Se, and As. Metal concentration in blood of stroke patients non-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ers was higher except for Hg and also higher except for Ni in 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ers. C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roke patients (p=0.002) than non-stroke patients 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ers.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of stroke patients was 0.17-8.25 in each metals. Odd ratio of stroke patients had 0.96 (Ni)-2.68 (Co) compared to non-stroke cases. This result means that Co increase of 1 raises the risk ratio of stroke by 2.86 times. Based on the results, metal concentration in blood seems to affect incidence of stroke.

  • PDF

마리나 개발 활성화를 위한 개발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n Development Determinants for Revitalization of Marina Development)

  • 김남규;이재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2-318
    • /
    • 2020
  • 본 연구는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마리나 개발을 활성화하고, '2차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의 효과적인 이행과 마리나 산업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개 권역 5곳의 마리나 개발지역에 거주하는 지역민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리나 개발 결정요인으로는 일반적 특성인 연령, 소득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 그리고 갈등원인인 집단 이기주의, 개발과정 배제, 환경문제 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종속변수로는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찬성/반대)와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이익갈등, 가치갈등)으로 이분화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유효표본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이해집단, 거주지역, 거주기간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리나 개발 찬/반 결정요인 분석결과 갈등원인에서는 집단이기주의 요인과 개발과정 배제 요인이 마리나 개발 찬/반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 결정요인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연령, 소득수준, 거주지역 요인이 마리나 개발 갈등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방법에 따른 의료이용 비교 -보완된 자기기입조사와 면접조사 방법의 차이- (A Comparative Study of Two Survey Methods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Modifi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vs. Interview Survey)

  • 유승흠;이용호;조우현;박종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431-441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wo survey methods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two types of household survey conducted from March 11 to September 19, 1985. A probability sample of 30,613 persons was taken from 180 Enumerated Districts designated by the Economic Planning Board.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systematically. One group was surveyed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other group was interviewed. Response rates were 81.4% and 90.6%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ratio of the results of the self-administered survey to those of the interview survey.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sex, age, residence, or occupation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orbidity rate was 142.5 per 1,000 persons during the two week period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74.3 per 1,000 persons with the interview survey method. The ratio of the morbidity rate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that by the interview was 1.92,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ates were due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2. The out-patient utilization rate was 10.2 visits per person per year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5.4 by the interview survey, and the ratio was 1.89; the admission rate was 3.2 times per 100 persons per year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d 1.9 times by the interview survey, and the ratio was 1.68. Differences due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greater in the out-patient utilization rates than in the adimssion rates. 3. Percentages of effective medical care demand were 90.2% in the self-administered survey and 92.3% in the interview survey; the ratio was 0.98 which was less than that of the morbidity rate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But, differences of effective medical care demand occurred in persons with no occupation, and aged or low educated respondents. 4. Respiratory illness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two survey methods.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rvey methods in morbidity composition. 5. It was concluded that data collected by the interview survey were inclined to be underestimated and this problem can be corrected by a modified self-administered survey.

  • PDF

Semi-Quantitative Exposure Assessment of Occupational Exposure to Wood Dust and Nasopharyngeal Cancer Risk

  • Ekpanyaskul, Chatchai;Sangrajrang, Suleeporn;Ekburanawat, Wiwat;Brennan, Paul;Mannetje, Andrea;Thetkathuek, Anamai;Saejiw, Nutjaree;Ruangsuwan, Tassanu;Boffetta, Paol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339-4345
    • /
    • 2015
  • Occupational exposure to wood dust is one cause of nasopharyngeal cancer (NPC); however, assessing this exposure remains problematic.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mi-quantitative exposure assessment method and then utilize it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exposure to wood dust and the development of NPC. In addition, variations in risk by histology were examined.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with 327 newly diagnosed cases of NPC at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and regional cancer centers in Thailand with 1:1 controls matched for age, gender and geographical residence.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The potential probability, frequency and intensity of exposure to wood dust were assessed on a job-by-job basis by experienced experts.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d presented in odds ratio (ORs) estimate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 Overall, a non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wood dust exposure and NPC risk for all subjects was observed (ORs=1.61, 95%CI 0.99-2.59); however, the risk became significant when analyses focused on types 2 and 3 of NPC (ORs=1.62, 95%CI 1.03-2.74). The significant association was stronger for those exposed to wood dust for > 10 year (ORs=2.26, 95%CI 1.10-4.63), for those with first-time exposure at age > 25 year (ORs=2.07, 95%CI 1.08-3.94), and for those who had a high cumulative exposure (ORs=2.17, 95%CI 1.03-4.58) when compared with those considered unexposed. In conclusion, wood dust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ype 2 or 3 NPC in the Thai pop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emi-quantitative exposure assessment is suitable for occupational exposure assessment in a case control study and complements the information from self-reporting.

뇌졸중 환자의 Charlson Comorbidity Index에 따른 사망률 분석 (Mortality of Stroke Patients Based on Charlson Comorbidity Index)

  • 김가희;임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2-32
    • /
    • 2016
  • 인구구조의 급속한 고령화로 뇌졸중 질환의 발생빈도와 진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성이 있는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Charlson comorbidity index에 따른 사망률 현황을 살펴보고, 뇌졸중 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2005년에서 2010년까지의 6년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령이 20세 이상이며 주진단명이 뇌졸중으로 분류된 21,494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의 동반상병 분포와 CCI에 따른 사망률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뇌졸중 환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뇌졸중 환자의 사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연령, 보험유형, 거주지 도시규모, 병상규모, 의료기관 소재지, 입원경로, Physical therapy 유무, 뇌수술 시행 유무, 뇌졸중 유형, CCI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연령, 뇌졸중 유형, 동반상병의 위험요인에 따른 좀 더 효율적인 접근법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의료급여 환자의 지원 확대가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뇌졸중 환자들의 의료의 질 평가와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우리나라 가정간호제도화 방안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Instituting Home Health Care in Korea)

  • 윤순녕;황나미;현혜진;최정명;권미경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5-18
    • /
    • 1995
  • While the socioeonomic status of Koreas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chronic and geriatric diseases have also been on the rise, bringing about many changes in our health care system. The basic goals of the home health care are to reduce health care costs, to increase the attrition rate in general hospitals, and to care for patients effectively and conveniontly at hom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home health care in Korea throughout the reports, surveys, other informations and education system of home health nurse. We identified the various types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programs, such as hospital-based home health care operated in public sector(demonstration project) and community-based home health care in health centers or in private sector, that is, Korean Nurse Association. Hospital based home heatlh care model wa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in-patiet services. Quality assurance and cli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measure of care received and establishment of payment and reimbursement for home health care services is important in promotng the home health care. We found out a fee-per-visit system composed of three kinds of fees : a basic service fee(16,000 Won), a travel fee(5,000 Won), and per-service fees (variables). Like fees paid for in-patient care, insureds pay 20% and insurers pay 80% of the basic and per-service fee. The travel fee is borne totally by the insured. Home health care continues to be viewed as not only the most preferred way to provide care to clients, but also the most cost effective. Home health care is that component of a continuum of comprehensive health care whereby health services are provided to individuals and families in their places of residence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maintaining, or restoring health, or of maximizing the level of independence, while minimizing illness. Services appropriate to the needs of the individual patient and family should be planned and provided, nursing is to be a force for positive change and enhance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Whatever type of involvement of home health care, it is essential to remember that home health care is highly service-oriented and highly touch health car deilvery system.

  • PDF

내진 보강용 철근 사용 시 비용 절감 효과 분석을 위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for Cost Saving Effect Analysis When Using Seismic Reinforcing Bar)

  • 이종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20-127
    • /
    • 2016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로 인해 고기능 재료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고장력 철근은 국내에 도입된 지 얼마되지 않고, 고장력 철근의 사용 시 철근 물량의 주상 복합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 프로젝트 계획 과정에서 고장력 철근 적용 시 비용 측면의 의사 결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주상 복합 건축물을 대상으로 일반 철근만 사용한 경우, 고장력 철근만을 사용한 경우, 일반 철근과 고장력 철근을 혼용한 경우 등 6가지 조건을 설정하고, 철근의 직경에 관계없이 SD400 철근만을 적용한 연구모델 1을 기준으로, 다른 연구모델의 주상 복합 주상 복합 및 공사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구모델 I의 주상 복합과 공사비 100%로 하였을 때, 연구모델 II는 각각 88.3%와 90.5%, 연구모델 III는 각각 80.2%와 83.4%, 연구모델 IV는 각각 91.9%와 93.5%, 연구모델 V는 각각 88.9%와 87.7%, 연구모델 VI는 각각 82.4%와 85.5%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주상 복합과 공사비의 모두 SD600을 적용한 연구모델 III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손자녀 돌봄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후의 자녀동거 기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viding Care to Grandchildren Effects on Grandparents'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Focusing on Expectations for Residence with Adult Children)

  • 하석철;홍경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99-12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 돌봄의 행위와 그것이 지속되는 유형이 조부모의 노후부양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돌봄이 지속되는 유형을 미 돌봄, 일시 돌봄, 지속 돌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에 투입함으로써 그 논의의 심도를 더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가 그렇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노후에 자신의 성인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돌봄 지속 유형에 대한 결과에서도 두 시기 동안 한 번도 손자녀 돌봄을 수행하지 않은 조부모에 비해 한 시기의 일시 돌봄을 행한 조부모와 두 시기 모두 돌봄을 제공한 지속 돌봄의 조부모 모두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중 흥미로운 점은 지속 돌봄을 행한 조부모가 일시 돌봄을 수행한 조부모보다 자녀와의 동거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이는 손자녀 돌봄을 행하고 있는 조부모가 그들이 제공하는 돌봄 서비스를 이후 자신의 부양을 위한 보험적 성격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공적 영역의 역할이 미흡한 한국 사회에서 가족이 그 구성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통해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수단선택의 이질성을 고려한 잠재계층모형(Latent Class Model) 구축: 서울시 통근자를 사례로 (Developing a Latent Class Model Considering Heterogeneity in Mode Choice Behavior : A Case of Commuters in Seoul)

  • 김성후;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4-57
    • /
    • 2019
  • 교통계획에서 사람들의 수단선택 의사 결정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수요예측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여러 계층마다 수단선택 영향요인들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질성(taste heterogeneity)을 반영한 모형들이 개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지의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수단선택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2010년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내 출근통행에 대한 잠재계층모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목적지의 토지이용 특성을 활용하여 수단선택에 대한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각각의 잠재계층에 대한 수단선택 모형을 개발하였다. 잠재계층모형 추정결과, 서울시내 출근통행 수단선택의 경우 두 개의 잠재계층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계층은 승용차와 대중교통의 수단분담이 비슷하고, 목적지가 상대적으로 도심이 아닌 주거시설이 많은 지역들이고, 두 번째 계층은 주로 대중교통의 분담률이 높고 목적지가 상대적으로 도심에 속하는 업무/상업시설이 많은 지역이다. 또한 이들 계층간의 수단선택 모형의 경우, 인구 및 사회경제지표들의 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계층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용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국내 인공습지 설계 및 시공실태 조사 (Investigation on Design Aspects of the Constructed Wetlands for Agricultural Reservoirs Treatment in Korea)

  • 김영철;최혜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9-200
    • /
    • 2021
  • 인공습지는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많은 곳에 적용되고 있다. 인공습지는 수심분포, 유입량 및 유출량, 물흐름 분포, 체류시간, 수질 처리효율, 종횡비, 개방수역/폐쇄수역 구성비 등이 중요한 설계인자이다. 특히, 인공습지 높은 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취입보 형식, 유입보, 인입수로 길이, 셀(Cell) 형태, 셀 연결 형태 등의 설계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농업용 저수지에 조성되어 운영중인 23개 인공습지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인자 및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인공습지 중에서 비정상적 운영이 나타나는 습지는 수위센서 미작동, 취입보 내부의 유사퇴적 및 기계식 수문틀의 협잡물 문제가 중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입수로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취입보 하류부와 상류부의 생태적 단절구간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습지 대부분은 2~5개의 셀로 조성되었으며 셀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경우 수리학적 효율이 떨어지고 관리가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었다. 작은 규모의 습지에 많은 셀이 존재하는 경우 큰 수두손실로 인하여 적절한 유수흐름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