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topic

검색결과 2,377건 처리시간 0.037초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토픽 변화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opic Tren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Dynamic Topic Modeling)

  • 김선욱;양기덕;이혜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65-284
    • /
    • 2022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문헌정보학 SSCI 85종 학술지에 게재된 55,442편의 학술논문의 논문제목과 초록을 기반으로 다이나믹토픽모델링을 수행하여,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도별 흐름에 따른 연구 주제 추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토픽에서 도서관경영(장서개발 및 관리, 도서관평가, 도서관 지식경영, 기획 및 활성화), 정보학(계량정보학, 정보이용행태·이용자연구, 의료정보,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도서관교육·정보리터러시), 도서관체계(도서관 시책 및 정책)에 따른 4개의 대분류를 파악하였다. 연도별 흐름에 따라 정보학 영역의 경우, 계량정보학 연구 주제가 학술지단위에서 논문단위로 변화되고 있었으며, 최근 도서관경영 영역의 경우, 이용자의 의견과 감정에 관련한 연구가 최근 등장하였다. 도서관서비스 연구영역은 20년간 안정적인 연구 주제로 그 양상이 보다 심화되고 견고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모바일과 소셜미디어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보학영역 하위주제로 의료정보와 관련한 연구가 비중 있게 등장해, 문헌정보학의 간학문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 결과라 판단하였다.

Topic Modeling을 이용한 Twitter상에서 스모그 리스크에 관한 대중 인식 분류 연구 (Classification of Public Perceptions toward Smog Risks on Twitter Using Topic Modeling)

  • 김윤기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1호
    • /
    • pp.53-79
    • /
    • 2017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이용하여 트위터 상에서 스모그 리스크(smog risks)에 관한 대중 인식(public perceptions)을 측정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 있어서 연구 갭(research gap)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스모그 리스크와 토픽 모델링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저자는 기존의 연구에서 상당한 연구 갭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갭을 메우기 위해 다섯 개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연구 질문들에 답을 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0,000개의 트위터 자료를 추출하였고, 이에 대하여 워드 클라우드 분석(word cloud analysis), 상관분석, LDA를 이용한 토픽 모델링, 스트림그래프(stream graph), 위계적 집락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주 언급되는 단어들(the most frequent terms), 단어네트워크(terms network)의 형태, 상관관계의 유형, 스모그 관련 주제의 변동패턴에 있어서 뉴욕과 런던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본 저자는 다섯 개의 연구 질문 중 네 개에 대하여 긍정적인 답을 구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들을 하였다.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초등 정보교육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 심재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47-354
    • /
    • 2021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기존에 수행된 초등 정보교육 연구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고 후속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 정보교육의 연구동향을 조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정보교육학회논문지의 창간호에서 2020년까지 출간된 논문을 모두 선정하였고, 토픽모델링하여 연구주제 11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높은 비중인 토픽 T1은 약 38%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토픽 T1에 기여도 순에 따라 교육, 연구, 분석, 초등, 정보의 키워드가 도출었다. 토픽들의 연도별 회귀분석 결과, 연구의 트랜드가 컴퓨팅사고력, 소프트웨어교육, 인공지능교육 등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초등 정보교육과 관련된 텍스트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클러스터링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주제어 분석 (Analysis on Topics in Soundscape Research based on Topic Modeling)

  • 최수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27-435
    • /
    • 2019
  •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는 소리를 통해 문화와 환경,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료이지만, 자료의 기록, 보존, 분류,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 프레임워크의 구축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은 문서에 숨겨져 있는 테마 구조를 드러내주는 알고리즘으로 연구 동향 분석과 같이 대량의 문서에 내재된 주제어를 찾아내기에 적합한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의 논문을 토픽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여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주제어를 도출해 보고, 이를 사운드스케이프 온톨로지(Soundscape Ontology) 및 사운드 아카이브의 메타데이터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시맨틱 웹 기술인 링크드 데이터(Linked Data) 기반의 사운드스케이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의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한국과학교육학회지는 44년간 어떤 주제로 어떻게 변화했는가?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을 활용한 토픽모델링 분석- (How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JKASE) Changed for the Past 44 Years?: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장진아;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5-2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LDA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이 어떤 주제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978년부터 2021년 5월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영문초록 총 2,115개에 대한 LDA 기반 토픽모델링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3개의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각 토픽들을 관련된 키워드 및 세부 연구주제들과 함께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시간에 따른 토픽들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4년 주기에 대한 각 토픽들의 평균 비중값의 변화를 히트맵으로 시각화하였다.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해온 주제와 하락해온 주제들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꾸준히 연구되어온 전통적인 연구 주제들, 교육 철학이나 연구방법의 변화, 사회나 정책적 요구에 따라 달라져온 연구 주제들을 드러냄으로써 한국의 과학교육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eep Learning Research Trend Analysis using Text Mining

  • Lee, Jee 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95-301
    • /
    • 2019
  • Since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boom was triggered by deep learning, it has been 10 years. It is time to analyze and discuss the research trends of deep learning for the stable development of AI. In this regard,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trends of research on deep learning over the past 10 years. We collected research literature on deep learning and performed LDA 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We analyzed trends by topic over 10 years. We have also identified differences among the major research countries, China,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United Kingd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s into research direction on deep learning in the futur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ble development strategy of deep learning.

섬유소재 분야 특허 기술 동향 분석: DETM & STM 텍스트마이닝 방법론 활용 (Research of Patent Technology Trends in Textile Materials: Text Mining Methodology Using DETM & STM)

  • 이현상;조보근;오세환;하성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3호
    • /
    • pp.201-21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patent technology in textile materials using text mining methodology based on Dynamic Embedded Topic Model and Structural Topic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revitalizing and developing textile materials industry as finding out technology trend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866 domestic patent text data in textile material from 1974 to 2020. In order to analyze technology trends from various aspect, Dynamic Embedded Topic Model and Structural Topic Model mechanism were used. The word embedding technique used in DETM is the GloVe technique. For Stable learning of topic modeling, amortized variational inference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current Neural Network. Finding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nufacture' topics had the largest share among the six topics. Keyword trend analysis found the fact that natural and nanotechnology have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The meta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anufacture technologies could have a high probability of patent registration in entire time series, but the analysis results in recent years showed that the trend of elasticity and safety technology is increasing.

다이나믹 토픽 모델을 활용한 D(Data)·N(Network)·A(A.I) 중심의 연구동향 분석 (Investigation of Research Trends in the D(Data)·N(Network)·A(A.I) Field Using the Dynamic Topic Model)

  • 우창우;이종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1-29
    • /
    • 2020
  • 최근 디지털 사회의 도래로 다양한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그중 문헌 내 주제어를 도출하는 토픽 모델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토픽 모델링 방법 중 하나인 DTM(Dynamic Topic Model) 모델을 적용해 D.N.A.(Data, Network, A.I) 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실험 데이터는 최근 6년간(2015~2020)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분야 중 기술대분류가 SW·AI에 해당하는 연구과제 1,519개 사업에 대해 DTM 모델을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로, D.N.A. 분야의 기술 키워드 Big data, Cloud, Artificial Intelligence와 확장된 의미의 기술 키워드 Unstructured, Edge Computing, Learning, Recognition 등이 매년 연구에 표출되었으며, 해당 키워드 들이 특정 연구과제에 종속되지 않고 다른 연구과제에서도 포괄적으로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D.N.A. 분야에 대한 정책기획·과제기획 등 연구개발 기획 과정과 기업의 기술 확보전략·마케팅 전략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정보보호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using Text Mining)

  • 김태경;김창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9-25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various servic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nomous vehicles are being introduced, and many changes are taking place in our lives. However, if secure security is not provided, it will cause many risks, so the information security becomes more importan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main themes of information security over time.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Information Security' was searched in the Web of Science database. Using the abstracts of theses published from 1991 to 2016, we derived main research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and time series regression analysis. The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access, attack, threat, risk management, network type, security management, security awareness, certification level, information protection organization, security policy, access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investment, computing environment, investment cost, system structure, authentication method, user behavior, encryption. The time series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topics were hot topics.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의미연결망분석과 토픽모델링 중심 (A Study on Research Trend for Nurses' Workplace Bullying in Korea: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최정실;김영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21-22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keywords and topic groups of workplace bullying researches in the past 10 years for better understanding research tre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eps: 1) collecting abstracts, 2) extracting and cleaning semantic morphemes, 3) building co-occurrence matrix and 4) analyzing network features and clustering topic groups. Results: 437 articles between 2010 and 2019 were retrieved from 5 databases (RISS, NDSL, Google scholar, DBPIA and Kyobo Scholar). Forty-one abstracts from these articles were extracted,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emantic network module. The most important core keywords were 'turnover', 'intention', 'factor', 'program' and 'nursing'. Four topic groups were identified from Korean databases. Major topics were 'turnover' and 'organization culture'. Conclusion: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it has been found that turnover intention has been emphasized. Further research focused on various intervention is needed to relieve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