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records

검색결과 3,210건 처리시간 0.03초

Two species of Olethreutinae (Lepidoptera: Tortricidae) new to Korea

  • Sohn, Jae-Cheon;Choi, Sei-Wo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67-169
    • /
    • 2020
  • The Korean Olethreutinae comprises 277 species. In this study, two species of Olethreutinae: Hedya corni Oku, 1974 and Epinotia salicicolana Kuznetzov, 1968,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Our records of Hedya corni are based on three specimens in both sexes from Islands Bogildo and Geojedo. The Korean record of Epinotia salicicolana is based on one male specimen from Muan-gun. The present records of Hedya corni represent the first occurrence out of Japan. Hedya corni is similar to Hedya inornata (Walsingham) but differs from the latter in having the reddish brown forewings. Epinotia salicicolana is similar to Epinotia solandriana (Linnaeus) but differs from the latter in having the smaller dorsal patch on the forewing. Habitus and genitalia of the two olethreutine species are illustrated and briefly described. Their bionomics and distribution are summarized. With our new records, the species numbers of the Korean Hedya and Epinotia are increased to 11 and 23, respectively.

Four bdelloid rotifers new to Korea

  • Min Ok Song;Chang-Ho Le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15-121
    • /
    • 2023
  • We conducted a taxonomic study of bdelloid rotifers found from terrestrial habitats such as mosses, leaf litter and soil at four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The study resulted in four new Korean records belonging to two genera in two families, Habrotrochidae and Philodinidae, of bdelloid rotifers: Habrotrocha soror Donner, 1950; H. thienemanni rubella Donner, 1951; H. valida Milne, 1916 and Philodina nitida nitida Milne, 1916. These new Korean records are rare and have very limited distributions. Habrotrocha thienemanni rubella and H. valida were not found again after their original descriptions until the present study. The present study is the third record for both H. soror and P. nitida nitida. All these four new Korean records are new to Asian fauna as well. Here,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photomicrographs are provided for each new Korean record. In addition, a partial sequence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gene (mtCOX1) for P. nitida nitida is presented.

문화유산 기록관리 분야 AI기술 적용 사례 -'문화유산 찾아-ZOOM'을 중심으로- (Examples of AI Technology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Cultural Heritage Record Management -Focusing on "Finding Cultural Heritage - ZOOM"-)

  • 백주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45-156
    • /
    • 2024
  • 본고는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기록관에서 진행해온 'AI기반의 문화유산 연구기록물 학습데이터 및 검색시스템 구축' 사례를 통해 최신 첨단기술과 기록관리 분야의 접목이 업무 뿐 아니라 기록정보서비스에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적용방안 및 추진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문화유산 찾아-ZOOM'은 1973년부터 현재까지 문화유산 분야에서 발간한 간행물에 수록된 이미지를 학습데이터로 구축하여, 유사 이미지를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연구 자료에 대한 사전 수요 예측이 가능하도록 선제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첨단기술과 기록관리 분야에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고자 시도한 사례로, 기록관리, 문화유산 분야 연구자들 뿐만 아니라, 실무자와 일반대중에게도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기록관의 새로운 모델, 통합기록관 교육청 기록관 체계의 재편성 (A New Model of Records Centers, Integration Archives : Reoranization of the Education office Records Centers)

  • 임희연
    • 기록학연구
    • /
    • 제58호
    • /
    • pp.31-63
    • /
    • 2018
  •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정착화를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점은 기관 내 기록관의 기능 및 역할 강화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문성 발휘를 위한 조직과 인력의 기반 조성이다. 그러나 현재 공공기록물법에서의 '기록관' 개념과 여기에 근무하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 기준'은 기관마다 주관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아 현장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보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할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청 환경을 중심으로 본청과 교육지원청 기록관 체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청에 모든 권한이 집결된 조직구조 속에 실체 없는 교육지원청의 기록관, 기록물폐기사로 전락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현실 등, 이러한 문제해결 방안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배치기준 변경, 집중근무방식을 반영한 통합기록관 운영, 교육관련 기관을 위한 기록관리 특례법 제정을 제안하였다.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Evaluation of Appraisal and Disposal Function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 이보람
    • 기록학연구
    • /
    • 제38호
    • /
    • pp.37-73
    • /
    • 2013
  • 오늘날 공공기관의 기록물 생산 및 관리는 법제적 안정을 이루었고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철저한 전자적 행정기록의 생산 관리를 법률로 규정하고 있으며 보존기간, 업무기능에 따라 행정 및 역사적 가치가 매겨지고 일정한 절차에 의해 평가 폐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각급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평가 폐기 시 심의과정 중재와 무단폐기 방지 등의 역할을 감당하고 전문성을 통해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평가 폐기가 기록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만큼,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업무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구현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기록물 폐기 결정은 시스템의 기술적 논리적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되므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평가 폐기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공공기록물 관련 법제 및 전자기록 관련 표준을 분석하고 기록관리시스템 사용자설명서를 검토하여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요건을 도출한다. 또한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가 폐기 업무를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개선방향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전자기록관리 업무 및 기록정보서비스에서의 생성형 AI 기술 활용 (The Use of Generative AI Technologies i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 강윤아;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9-200
    • /
    • 2023
  • 국내 기록관리 기관은 대체로 '1인 기록관 체제'를 따르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전자기록물을 관리할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실정에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전자기록관리 업무 및 기록정보서비스를 자동화 및 지능화할 수 있다면, 기록관리 담당자의 업무 부담이 경감되고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술을 기록관리 실무에 활용할 방안 제시를 목표로, 먼저 기록관리 분야의 여러 업무를 지능적으로 자동화하고자 하였던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이후 생성형 AI 기술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고, 국내 생성형 AI 활용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다음 기록관리 분야에 생성형 AI를 적용시킬 범위를 정의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제안 방안에 대해서는 공개된 상용 생성형 AI 서비스를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거나 타 분야의 실례를 들어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관리 분야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할 시의 이점과 시사점 그리고 선결되어야 할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 현업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업무를 발굴하고, 그 업무에 맞는 실효성 있는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도시철도 도면 관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도시철도공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 김미연
    • 기록학연구
    • /
    • 제11호
    • /
    • pp.181-214
    • /
    • 2005
  • Metropolitan rapid transit system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of any large city, and its managing agency is usually charged with the responsibility of storing and managing the design drawings of the system. The drawings are important and historically valuable documents that must be kept permanently because they contain comprehensive data that is used to manage and maintain the system. However, no study has been performed in Korea on how well agencies are preserving and managing these records.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SMRT) is the managing agency established by the city of Seoul to operate subway lines 5, 6, 7, and 8 more efficiently to serve its citizens. By the Act on Records Management in Public Institutions(ARMPI), SMRT should establish a records center to manage its records. Furthermore, all drawings produced by SMRT and other third party entities should be in compliance with the Act. However, SMRT, as a form of local public corporation, can establish a records center by its own way. Accordingly, the National Archives & Records Service(NARS) has very little control over SM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in SMRT and is to find a desirable method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or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In the proces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 records center is being considered to manage only general official documents and not to manage the drawings as required by ARMPI. SMRT does not have a records center, and the environment of management on the drawings is very poor. Although there is a plan to develop a new management system for the drawings, it will be non-compliant of ARMPI. What's happening at SMRT does not reflect the state of all other cities' metropolitan rapid transit records management systems, but the state of creation of records center of local public corporation is the almost same state as SMRT. There should be continuous education and many studies conducted in order to manage the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efficiently by records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records center based on both professional records centers and union records centers. Although metropolitan rapid transit is constructed and managed by each local public corporati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projects are similar in nature. In consideration of huge quantity, complexity and specialty of drawings produced and used dur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and overlap of each local public corporation's effort and cost of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rawings, they need to be managed in a professional and united way. As an example of professional records center, there is the National Personnel Records Center(NPRC) in St. Louis, Missouri. NPRC is one of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s largest operations and a central repository of personnel-related records on former and present federal employees and the military. It provides extensive information to government agencies, military veterans, former federal employees, family members, as well as researchers and historians. As an example of union records center, there is the Chinese Union Dangansil. It was established by sever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o united management of records can be performed and human efforts and facilities can be saved. We should establish a professional and united records center which manages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and provides service to researchers and the public as well as members of the related institutions. This study can be an impetus to improve interest on management of not only drawings of metropolitan rapid transit but also drawings of various public facilities.

저자 동시인용분석에 의한 국내외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Records Management and Archives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 김희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7-22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저자 동시인용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최근 5년간의 국내와 미국의 기록관리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04년까지 발간된 국내와 미국의 기록관리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를 중심으로 핵심 저자군을 선정하였고, 이들 저자들간의 동시인용빈도를 적용하여 다차원축척기법에 의한 이차원상의 저자지도를 산출하여 지적구조를 확인하였다. 지적구조의 비교분석 결과 국내의 기록관리학 연구영역은 기록관리학 관련 법제도$\cdot$정책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미국의 기록관리학 연구영역은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한 전자기록물 관리 연구주제를 중점적으로 수행해온 것으로 나타나서 국내 기록관리학의 향후 연구방향 및 연구영역 확대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 후기 정인경의 정책과 공신록권의 분석 (A study on the biographical records and meritorious certification awarded to Jeong In-Kyung in Koryo Dynasty)

  • 여은영;남권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485-528
    • /
    • 199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iographical records and Meritorious Certification of Jeong In-Kyung. The analysis is made in the respects of : 1)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SeoSan Jeongshi GaSeung) 2) Biographical study of Jeong In-Kyung 3)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 in the period of king ChungYeul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 PDF

한국의 국가기록관리기관 정보조사제공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A study policies for activating information services at the Government Archives and Records Service(GARS))

  • 조민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3-175
    • /
    • 2001
  • 본 연구는 한국의 국가기록관리기관 정보조사제공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기록보존소의 직원과 이용자, 그리고 기록보존관리분야의 외부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론과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기록관리기관 정보조사제공을 위한 삼자(三者) 협력모형을 고안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을 중심으로 정보조사제공 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을 이용자, 직원, 그리고 직원의 협력관계(직원-이용자, 직원-외부전문가)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