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in earth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69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과 북한의 과학 교과서에서의 '지구과학'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arth Science Contents in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DPRK)

  • 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76-286
    • /
    • 2012
  • This research is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arth Science contents in the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DPRK. The contents of level and scope in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DPRK are analysed by TIMSS framework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science textbooks of DPRK is lower in quality of paper, printing to that of Korea, and the illustrations, editing design in the textbooks of DPRK are fewer, monochromic and monotonous while those in Korea. 2.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n DPRK's science textbooks rank 37.0%, but those of Korea's science textbooks rank 25.5% of the whole textbooks. The learning units related to Earth Science are generally similar to the level and scope in scienc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DPRK. The type of inquir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DPRK largely takes on the model experiment, and it was shown that the number of experiments directly made by children is very small compared to Korea' textbooks. 3. There are lots of differences in Earth Science learning terms and predicates used in the textbooks between Korea and DPRK.

Exploring the Important Factors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of Youth in Poverty: A Case Study of Informal Earth Science Education Program in the U.S.

  • 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5-493
    • /
    • 2011
  • There has been increasing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s in informal science programs to promote the youths' positive development. However, relatively a small number of informal science programs target specific student populations such as youth in poverty with little research done about the important program factors. This case study presents an exemplary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Earth Science Education or more specifically, water in urban environments) for youth in poverty in a midwest city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xplore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at could lead to positive development for the youth. Through a number of observations of the program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is study employs inductive and interpretive research methods. Findings show that the program managers' beliefs about the youths' knowledge and experiences, their relationship building skills, and their cooperative work are very important. A concrete mission for the program and structured institutional support to hire the youth as paid museum staff are also important in assuming their responsibility and building identity as an active social member.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독서감상문에 담긴 과학 교과독서의 의미 비교 (A Comparison of Science Disciplinary Reading's Meaning Contained in the Science Book Reviews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 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9-79
    • /
    • 2021
  • 이 연구는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교과독서를 통해 과학도서와 독서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과학 교과독서 과정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사 양성 대학에 다니는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3학년 학생 24명과 초등교육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교과독서를 과학 내용 지식을 습득하는데 많이 활용하였으나, 초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과 과학적인 흥미, 궁금증 해결을 위한 것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관련 도서를 과학 교육에 활용하는 데에서도 생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과학도서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드물게 서술한 반면,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서술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독서 관점에서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에 비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교과독서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있었다. 과학에서의 독서활동이 많은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을 비춰보면 학교 현장 수업에서 교수전략으로서 과학 교과독서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공주대학교 천문대 16인치 반사망원경의 원격 제어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System for KNUO 16)

  • 김칠영;정정인;김종헌;김혁;장비호;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56-46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공주대학교 천문대 16인치 반사망원경의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닫힌 루프 시스템이다. 전자제어부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개발한 TCS-196를 활용했고, 기계부는 직접 개발하였다. 이 원격제어망원경의 마운트 모델링 후 얻은 지향정밀도는 시간각 방향에서는 ${\pm}$50", 적위 방향에서 ${\pm}$40"이며, 추적 정밀도도 약 1"/min정도였다. 이러한 예비관측 결과는 본 시스템이 천문학 연구 및 교육에 적당함을 의미한다.

변혁적 역량 함양을 위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교육과정 개발 성과 탐색 (Exploring Development Achievement of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to Cultivate Transformative Competency)

  • 곽영순;김종희;김현종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9-5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고등학교 지구과학 TF팀에서 수행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분야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의 철학적 배경과 성과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보고서에서 다루지 못한 연구로,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과 지구과학 분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관련성,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비추어 본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 구성과 선택과목 구성, 지구과학 분야의 탐구 기반 교수학습의 특징 등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지구과학 분야를 포함하여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과 과학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생과 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을 강조하였으며, 지구과학 분야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서는 학습 나침반 바늘을 구성하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중심으로 핵심 아이디어와 성취기준을 구성하였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선택과목별 특성에 맞추어 과목별 영역과 지식·이해 내용요소를 구성하였다. 또한, 지식 생산 역량을 갖춘 학생 행위주체 육성을 위해 과학과 과정·기능에 부합하는 IB형 탐구 기반 교수학습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가 수준 그리고 총론 수준에서 교육 과정 대강화의 필요성, 가치·태도에 대한 과정중심 평가 방안 개발보급, 및 백워드 설계 형태의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과학과 탐구의 과정·기능에 입각한 탐구 기반 교수학습을 통한 학생 행위주체의 과학 역량 함양 방안 등을 결론으로 제언하였다.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 내용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Secondary Earth Science Curriculum between Mongolia and South Korea)

  • 간치멕;곽영순;차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21-630
    • /
    • 2020
  •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중등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지구과학과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지구과학 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의 변천 및 현행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다른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둘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는 TIMSS 평가틀을 활용하였고, 고등학교는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GSS)과 한국의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혼합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분석을 거쳐서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몽골과 같이 러시아식 교육 체제를 따르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지구과학을 독립적인 과학과목으로 편성·운영하지 않았고, 지리교과의 자연지리 영역에서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다루었다. 몽골과 한국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지구과학 내용을 분석한 결과 TIMSS 내용분석틀의 27개 내용 요소 중에서 몽골은 18개가 일치했고, 한국은 20개가 일치했다. 한국의 몽골의 고등학교 지구과학 관련 내용은 한국보다 매우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었고, 다루지 않는 내용이 많았다. 특히, 몽골 지리 교과과정에서는 환경 관련 내용을 많이 다루었다. 몽골의 지구과학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환경 관련 내용의 강조는 한국의 과학과 사회 교과의 간학문적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시 참고가 될 수 있다.

Exploration of Teach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acher Educator PCK Characteristics in Future School Science Education

  • Youngsun Kwak;Kyu-dohng Ch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31-341
    • /
    • 2023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CK required for science teachers and PCK required for university teacher educators in terms of school science knowledg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role of science educators, which are the main axes of science education in future school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is a follow-up to a previous stage of research that explored the prospects for changes in schools in the future (2040-2050) in terms of school knowledge,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er role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riv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CK and PCK.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science teacher PCK in future schools should include expertise in organizing science classes centered on convergence topics, expertise in digital platforms and ICT use, and expertise in building a network of learning communities and resources, as part of the expertise of human teachers differentiated from AI. Teacher educators' PCK includes expertis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L methods using AI, expertise in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practice, and expertise in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research competencie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is the change in teacher PCK and teacher educator PCK with changes in science knowledge, such as convergence-type knowledge and cognition-value integrated knowledge; and the need to emphasize values, attitudes, and ethical judgments for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on-humans as school science knowledge in the post-humanism future society.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 Myeong, Jeon-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7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1 student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paper-and-pencil tes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tests mainly measured the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were low. Problem-solving performances were affected by the procedural knowledg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past earth science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the prerequisite declarative knowledg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was not found to be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rawn,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further research.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분야에서 POE 수업모형 적용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E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omai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 이상봉;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14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POE(Prediction-Observation-Explanation) teaching-learning mode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ap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E teaching-learning model is a three stage process modeling scientific inquiry : Prediction, Observation, and Explanation. This research 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the POE method in earth science class by applying this simple practical strategy out of various methods in science teaching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ap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E strategy in science teaching-learning was found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Second, the POE strategy in science teaching-learning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using the POE strategy in science clas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of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inquiry capability of learners compared with the general sci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It also shows to be highly recommendable for use in science cla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