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utation effect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6초

Customer Adoption of Islamic Banking Services: Empirical Evidence from Indonesia

  • SUDARSONO, Heri;TUMEWANG, Yunice Karina;KHOLID, Muamar Nur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1193-1204
    • /
    • 2021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option of Islamic banking services in Indonesia. This research collects primary data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550 respondents in 29 provinces in Indonesia.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comprising 34.2 percent male respondents and 65.8 percent female respondent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in the age group of 21-30 years with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being high school.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working in private firms, with a monthly expenditure of IDR 2,500,000.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are bank reputation, perceived complexity, perceived compatibility, perceived risk, relative advantage, religiosity, and social influence. Mean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customer interest in adopting Islamic banking service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wareness and perceived compati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intention to adopt Islamic banking services. Likewise, religiosity and social influence also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ustomer intention to adopt Islamic banking services. Meanwhile, bank reputation and perceived complexity have no effect on customer intention to adopt Islamic banking services. Lastly, perceived risk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intention of adopting Islamic banking services in Indonesia.

소셜커머스에서 부정적 리뷰 유형, 브랜드 명성, 기회희소성지각이 패션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Negative Review Type, Brand Reputation, and Opportunity Scarcity Perception on Preferences of Fashion Products in Social Commerce)

  • 주보라;황선진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4호
    • /
    • pp.207-22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negative review type, brand reputation and opportunity scarcity perception, on preferences of fashion products in social commerce. For the above evaluation, we used the 2 (negative review type: objective/subjective) ${\times}2$ (brand reputation: high/low) ${\times}2$ (opportunity scarcity perception: high/low) model, designed with three mixed elements. We enrolled 260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live in Seoul and have used social commerce; a final total of 207 subjects were considered for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 program and reliability test, t-test and three-way ANOVA were performed. Following observations were made: First, preferences were higher when the subjects read objective negative reviews than subjective negative reviews, and when a fashion product was from a brand of high reputation than a brand of low reputation.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negative review type and brand reputation was greater among the subjects whose opportunity scarcity perception is high, than those having low opportunity scarcity perception. Thus, we conclude that the social commerce should encourage consumers to write more objective reviews, and fashion brands should manage their reputations well. Also, social commerce can use scarcity messages aggressively to increase preferences of global fashion luxury goods, which is actively marketed in social commerce since 2015.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신뢰와 불신, 명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의 역할과 신뢰와 불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rust, Distrust and Reputation)

  • 유선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93-106
    • /
    • 2019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이 공중의 신뢰와 불신, 기업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신뢰외 불신을 매개적 역할을 탐구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대해 445명에게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 모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이 윤리적 책임과 박애주의적 책임을 다할수록 기업에 대한 신뢰가 강해지는 것으로, 법적 책임을 다하지 않을수록 불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불신 중 신뢰만이 명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하여, 기업을 신뢰할수록 기업 명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과 신뢰와 불신, 명성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기업이 이행하는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은 신뢰를 매개로 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경제적 책임은 직접적으로 명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의 각 차원과 신뢰와 불신, 명성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업이 윤리적, 자선적 책임을 잘 수행할수록 기업에 대한 신뢰가 구축되고, 이를 통해 명성이 높아짐을 입증하고, 기업의 당연한 책임으로서 기업활동에서 윤리성이 수호되고, 사회공헌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패션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CSR 활동의 평가 - 지각된 적합성과 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for fashion company's sustainable management -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

  • 주성래;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4호
    • /
    • pp.644-660
    • /
    • 2015
  •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fashion companies has become a crucial factor considering company image and awareness. Businesses have thus increased their CSR activities. However, few studies have shown clear and consistent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the direct effect of CSR on trust and corporate reputation including its moderation by consumer's perceived fit and motivation. A total of 284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adult consumers in the fashion market with promotional leaflets for CSR activities as stimu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for CSR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follows: Social welfare responsibility, environment protection, economic responsibility,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customer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Further social regulation compliance, and economic and social welfare responsibilities positively affected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Second, the mai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fit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environment protection, and culture and arts support of CSR activities and fit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CSR activities and motivation on corporate trust and reput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was significant. Implications of how to manage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SR activities are offered.

조직과 공중간 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 공중의 관여도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Level of Involvement Betwee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Organizational Reputation)

  • 양성관;양성운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1권
    • /
    • pp.114-146
    • /
    • 2003
  • 본 연구는 공중의 관여도를 중심으로 조직과 공중 간 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중의 관여도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국내의 한 대도시 거주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 조직은 일반기업체 2개와 스포츠단체, 사회봉사단체, 다국적기업 등 5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조직의 명성을 공중들이 집단적으로 공유하는 인지적 연상으로 간주하고 개방형 질문을 통해 측정한 응답 내용은 역 제이(J)형 분포를 이루었다. 국내기업들의 연상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호의도 역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이 사회 봉사단체와 스포츠단체이며, 다국적 기업의 호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 조직의 관계를 질적으로 평가한 결과에서는 국내기업들과 사회봉사단체의 경우 '만족도'와 '신뢰도', '헌신도' 항목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사회봉사단체의 경우 '공유관계'나 '교환관계' 항목에서 다른 연구대상 조직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었다. 반면 다국적기업은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과 공중 간 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여도를 중심으로 알아본 결과, 공중의 관여도가 높을수록 조직과 공중 간의 '공유관계'나 '교환관계'가 조직의 명성에 더욱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대형할인점(大形割引店)에서의 패션 제품(製品) CRM에 관(關)한 연구(硏究)(제2보)(第2報) - 연령대(年齡代)의 차이(差異)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CRM in Discount Store of Fashion Product (2) - Focus on Customer's Age -)

  • 이승희;허송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1호
    • /
    • pp.97-10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structure in discount store focusing on ag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60 customers who had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discount stores. For date analysis, $x^2$-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result, when comparing groups by the age, women in their 20s, 30s and 40s had 'relationship maintenance intention' through satisfaction, trust and commitment. In the case of women in their 20s group, the information, reputation, product salesperson and price variables had the effects on satisfaction. The information, location, salesperson variable had 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maintenance. In the case of women in their 30s group, the benefits, information, reputation and price variables had the effects on satisfaction. And the information, salesperson variable had 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maintenance. In the case of women in their 40s group, the information, location and price variables had the effects on satisfaction. The reputation variable had direct effect on relationship maintenance. Based on these results,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of discount store would be suggested.

브랜드 명성에 따른 기술 침해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변화: 약자 브랜드의 언더독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chnology Infringement on Consumer's Attitude Change Depending on Brand Reputation: Focusing on the Under-dog Effect of Weak Brand)

  • 김건우;박도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4호
    • /
    • pp.167-18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consumer behavior when occur patent litigation and technology infringement of each conditions which are brand reputation gap, technology importance and technology leakage attribution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2x2x2 factorial design deducted and performed 3-way ANOVA then analyzed 2-way AVOVA with brand reputation gap as center from technology importance and technology leakage attribution on the basis of the Attribution Theory.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sumer attitude has no difference regardless of technology leakage attribution when top-dog vs. under-dog situation and top-dog vs. top-dog situation. Also, this study confirmed that when under-dog infringe important technology, consumer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other. On the other hand, top-dog infringe important technology, consumer show more negative attitude than the other.

프로야구단 팬이 지각하는 사회적 책임활동과 구단평판, 구단동일시 및 모기업이미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perceived by professional baseball fans, club reputation, club identification and mother-company image)

  • 이지환;유원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95-302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프로야구단의 CSR활동에 대한 팬들의 지각이 구단평판, 구단동일시 및 모기업이미지와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지역 프로야구단인 LG트윈스, 두산 베어스, SK 와이번스 및 KT 위즈의 홈팀 팬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프로야구단의 CSR활동은 구단평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야구단의 CSR활동은 구단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단평판은 프로야구단 모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단동일시는 프로야구단 모기업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POP 팬덤과 한국의 국가 명성: 미국의 BTS 팬 중심 분석 (K-POP fandom and Korea's national reputation: An analysis on BTS fans in the U.S.)

  • 김수진;이혜은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3권1호
    • /
    • pp.1-19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류의 다양화와 함께 이루어진 K-POP의 확산이 한국의 국가 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해외 시장에서의 K-POP 열풍은 기대 이상의 성과와 긍정적인 평가로 대내외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왔고, 디지털 매체를 통한 온라인 시장의 확대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K-POP 스타들은 그들과 관련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하고 팬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을 만드는 등 팬덤과의 상호작용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팬덤이 공동체를 형성하고 미디어를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K-POP 스타와의 준사회적 관계를 통해 국가 명성에 대한 K-POP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BTS 팬을 대상으로 아마존 설문조사회사인 Mechanical Turk를 이용하여, 영어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195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결과: 한국의 국가 명성에 대한 BTS 팬의 소셜미디어 이용의 영향력을 상정한 <연구문제 1>의 분석결과, BTS팬의 소셜미디어 참여 활동 그 자체만으로는 한국의 국가 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BTS 팬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전제한 <연구문제 2>의 분석결과, BTS 팬의 소셜미디어 참여 활동은 BTS와의 준사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BTS와의 준사회적 관계는 국가 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한국의 국가 명성에 대한 BTS 팬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참여는 그 자체로는 유의한 영향이 없으나 준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여 국가 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K-POP 팬의 준사회적 관계는 국가이미지를 제고하고, 한국의 국가 명성을 높이는 전략적 기제로 활용할 수 있다. 미디어 효과 차원에서 다양한 팬덤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국제커뮤니케이션의 영역에서 국가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공공외교의 관점에서 팬덤과 국가 명성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접 학문의 학제간 연구를 시도함으로써 국가 명성에 대한 전략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 점에 학문적 의미와 실용적 의미가 있다.

인터넷쇼핑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using internet shopping malls)

  • 신기영;추교완;박동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0권1호
    • /
    • pp.279-301
    • /
    • 2001
  • This study was examined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s to use internet shopping malls. Exogenous variables in our model are retrieval simpleness, quality of order treatment, web reputation, update and system quality and endogenous variables ar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of using internet shopping malls.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shown as follows. All exogenous variables have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while both retrieval simpleness and update has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a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ing internet shopping malls and has a in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Especially, web reputation among the exogenous variables has the strongest impa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retrieval has the strongest impa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