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tal-production method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전주 한옥마을 대여한복의 디자인 분석을 통한 개발방향 제언 -여자 저고리와 치마를 중심으로- (Suggestion for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the Design Analysis of Rental Hanbok in Jeonju Hanok Village -Focus on Women's Jeogori and Chima-)

  • 김민지;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57-675
    • /
    • 2020
  • This study suggests a direction for design development through an analysis of the experiential rental Hanbok design in Jeonju Hanok Village. As a research method, 268 outfit photographs of tourists wearing experiential rental Hanbok for women were collected as design analysis data from Jeonju Hanok Village. Frequency analysis was then performed by dividing into form, color, material·pattern, and detail. The controversy over the design of experiential rental Hanbok revolves around how and how much tradition is reflected. This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design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If necessary, traditionality was discussed using the Hanbok style of the Joseon Dynasty as a standard. Development direc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void the distorted shape of skirts. Second, develop underwear for traditional silhouettes. Third, expand traditional colorations and avoid the excessive use of accent color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ntal Hanbok materials with decorative features. Fifth, there is a need to design flat pattern construction for rental Hanbok that reflects a standardized production method and a changed aesthetics.

K-패션 활성화를 위한 국내 패션브랜드의 의류생산 방식 고찰 (Apparel production methods of domestic fashion brands for the activation of K-fashion)

  • 안영실;김희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5-12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various clothing production methods that domestic fashion brands are utilizing to produce fashion products, and to propose effective clothing produ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methods are contents analysis method of the literatures, articles, reports, and interviewing method of the practitioners who are in charge of the production of fashion. First, the clothing production methods of the domestic fashion brands are categorized as follows. It is divided into a fashion brand management method and a promotion company entrustment method based on who carries out the clothing production and management. The fashion brand management method is subdivided into the 'rental-production', 'CMT', and 'self-production' methods. All three methods are performed at domestic and global sourcing, but the CMT method is more utilized at the global sourcing. The promotion company entrustment method is subdivided into the 'full consignment production method', the 'CMT method involving promotion company', and 'direct buying method by promotion company'. All methods are performed at domestic and global sourcing. Second, the results of reviewing effective clothing production method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f fashion brands control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they use all three fashion brand management methods. The fashion brands use the promotion company entrustment method when they wants to offer special products, or the number of items is large, or the production management is difficult, or the manpower and equipment size is reduced. The domestic sourcing is utilized by fashion brands and promotion companies when production management is required for high quality apparel production, in case of trendy and complex designs, spot production, and in small quantity production. The global sourcing is utilized by fashion brands and promotion companies when it comes to lowering the production cost, fashion brands preferred the mass production of apparel with design that can be pre-planned.

국내외 공공임대주택의 사회통합 계획특성 연구 - 미국, 네덜란드,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 (Socio-Integrativ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Foreign and Domestic Public Rental Housing - Focus on the USA, Netherlands and Korea Cases -)

  • 신유진;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52-64
    • /
    • 2017
  • Since 1960's Korea has undergone rapid modernization which has problem on the change of industrial society. This phenomena led the trend that tended to produce residence only in the quantity. However, supply-oriented policies for increasing the penetration rate of housing but only in the mass production of housing, the quality of life has not reached the demand of the residents. In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factors of social integration plan through the public rental housing with characteristics of social housing. Therefo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cial integration public rental housing in USA, Netherlands and Korea. Specially USA and Netherlands are advanced countries where public rental housing policies and design have been established long ago. In this reason, it is needed to analysis the cases and find a new method to compare with Korea's public rental housing.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case studies sh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alize a community plan that continuously encourages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for social integration. Second, It should aim at a mixed community of small-income groups through private-public cooperation rather than government-led large scale public housing construction. Third, it is needed that develop various policies and systems and realize them in social integration plan.

국내 모듈러주택의 설계표준화를 위한 구조대 모듈정합 설계기준 및 사례 (MC Design Standards and Practices for Design Standardization of Domestic Modular Housing)

  • 정준수;임석호;백정훈;설욱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19-25
    • /
    • 2018
  • At present, there are many companies that can produce modular housing. However, if the housing projects are conducted without design standards and principles, each company will supply housing according to its own design standards, resulting in a loss of opportunity to promote standardization at a national level. Korea's modular construction technology is still in its infancy, and there is a lack of MC design applications due to the limited construction market. In recent years, however, related R&D has been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order to activate modular construction. As a result, test-beds for public rental housing are currently being built, and the public rental housing applied with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s expected to spread in the near future. In this regard, this study seeks to promote more economical and efficient production and supply of modular housing. To this end, it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modular construction, analyzes the problems and proposes a serious of MC design standards as part of the design standardization and open system for modular housing industry to solve the problems.

디지털 농업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환경 인자 추천 기술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 Recommendation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for Digital Agriculture)

  • 조한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5호
    • /
    • pp.65-72
    • /
    • 2023
  • 스마트팜은 농업과 ICT의 융복합을 통해 농업의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과 소비를 포함한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에서도 스마트 농업 확산을 위한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데이터 수집·활용 촉진. 스마트 APC 확대, 온라인거래소 운영 및 도매시장 거래정보 디지털화 등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농산물 유통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농업 데이터는 다양한 출처에서 특성에 따라 정보가 생성되고 있지만, 통계 및 정형화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로만 활용되고 있다. 이는 농업에서 생산·유통·소비까지 분산된 데이터 수집으로 인해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출처로부터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농업을 위한 국내 농업 데이터 수집·공유 현황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수집·연계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환경 인자를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Lefebvre의 공간이론에 근거한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가능성 탐색 - 임대아파트단지 차이공간 생산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 based on Lefebvre's space theory - A Case Study on the Production of Differential Spac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

  • 최명민;박향경;이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4호
    • /
    • pp.99-125
    • /
    • 2017
  • 최근 공간에 대한 사회과학연구는 권력과 억압, 자원분배 등 권력관계 분석에 토대를 둔 사회적 공간 개념에 기초하여 공간에 작동하는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는 데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사회복지에서는 정작 현대 공간학에 대한 이해를 담보하지 못하고 공간을 중성적이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이해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공간사회학자인 Lefebvre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공간담론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근거하여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의 개념정립을 시도하였으며, 실제 사회복지 현장사례를 통해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간기반 사회복지 실천이 대안적 방법론으로 가질 수 있는 함의를 논하고 그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소모성 보조 장비 구입비용 최소화를 위한 잔존가치 기반의 장비 할당 문제 (Machine Allocation Based on Salvage Value for Minimizing Purchasing Costs of Consumable Auxiliary Tools)

  • 윤성욱;정석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51-64
    • /
    • 2014
  • 다품종 소량 생산을 따르는 중소기업들은 범용 장비와 이에 부착된 보조 장비를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전에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중소기업의 환경에서 생산성 향상 관점의 설비 할당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제한된 예산 하에서 수요를 충족시켜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관점으로 설비와 작업을 할당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모성 보조 장비의 잔존가치 개념을 이용하여 설비 할당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소모성 보조 장비는 주 장비에 부착된 부품으로써 작업을 위해 꼭 필요한 부품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 설비의 일정 작업시간 후에는 보조 장비의 구매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CB를 제조하는 S기업을 대상으로 잔존가치를 고려한 설비할당 방법과 S기업의 현행 설비할당 방법 (Cycle)이 장 단기 관점에서 보조 장비의 구매량과 구매비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전략을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장 단기적 관점에서 모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설비할당 방법이 현행방법보다 보조 장비의 구매수량 및 구매비용에 대해서 더 효율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갈수록 현행방법과의 차이가 미미해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휴설비에 대한 대여 전략을 고려할 경우, 기업은 추가적인 이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였다.

유연근로시간제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 권용만;서의석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2호
    • /
    • pp.97-108
    • /
    • 2021
  • 근로계약은 형식상으로는 노동력상품과 임금의 교환관계로서 나타나지만, 단순한 물물교환의 차원을 초월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제학적으로 노동력상품과 화폐의 교환관계로서 '매매'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고 '임대차'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품교환관계를 법적인 측면에서 보면, 노동력과 임금의 교환관계를 합법적으로 지지하고 그것에 구속력을 부여하여 강제화하는 법적인 장치가 계약이다. 이러한 근로계약은 임금을 수령하고, 임금의 수령의 반대급부로 일정한 시간을 사용자의 지휘·감독하에 두는 관계를 가져오게 하였다. 근로시간은 자신의 노동력을 사용자의 처분권하에 둔 종속시간이기 때문에 장시간의 근로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가치를 침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음으로 그 규제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근로시간의 단축은 인간의 생체적 한계를 설정하고, 확대 재생산을 할 수 있도록 생산적 측면에서 근로자의 문화에 대한 향유와 인간으로서 삶의 질을 확보하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단축이 필요하지만, 사용자의 기업 경영상의 노동력 확보와 생산 활동 및 자본주의 국가에서 추구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 둘의 양립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근로시간은 개인에게서의 시간과 사회전체에서의 시간으로 볼 수 있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장시간 근로는 개인에게서의 시간은 줄어들게 되어 개인적 차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사회전체적인 차원에서 생산 활동에 투입시간의 증대로 인한 생산물의 증가는 사회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근로시간은 이러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의 균형을 찾아간다는 측면에서 근로시간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로시간의 규제방법이 근로시간의 시작과 근로시간의 종료에 대한 것으로 근로시간의 총량을 규제하는 것이었다면, 근로시간의 유연화, 탄력화는 근로시간의 총량을 1주 최대 52시간의 범위 내에서 범위를 한정하면서 기업의 새로운 업무의 출현에 따라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배분하고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로시간의 질적인 규제방식이다. 이에 따라 근로시간은 단축하되 기업의 상황에 따른 유연근로시간제를 확대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6개월로 제한되어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운용의 폭의 유연화와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합의에 의한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 근로시간에 대한 처리,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새로운 근로형태에 출현에 따른 재량근로시간의 대상 업무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