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in activit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과 온청음(溫淸飮)이 고혈압(高血壓) 및 고지혈증(高脂血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A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on Hyperlipidemia & Hypertension)

  • 김은선;박치상;박창국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85-196
    • /
    • 1999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on essential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30days with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and the blood was withdrawn at 10, 20 and 30days after an oral administration. The heart rate, tail blood pressure, plasma renin activity, plasma level of aldosterone. catecholamine, sodium and angiotensin II were measured after an oral administration of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HR). In addition,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otal lipid were measured cholesterol-fed ra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 significant decrease of tail blood pressure was shown at 10, 20 and 30days after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treatment in SHRs. compared with saline. 2.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30days in SHRs after Hwangryeonheadock-Tang treatment and at 20, 30days after Onchung-Eum treatment in SHRs.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3, A significant decrease of plasma aldosterone level was elicited at 10, 20days after Hwangryeonheadock-Tang treatment in SHRs,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4. Plasma renin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10days after Onchung-Eum treatment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in SHRs. 5. Plasma norepinephrin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20 and 30clays after Onchung-Eum treatment in SHRs,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6. A significant decrease of plasma epinephrine level was induced at 30days after Hwangryeonheadock-Tang treatment and at 10, 20 and 30days after Onchung-Eum treatment,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in SHRs. 7. Plasma sodium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20days after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treatment,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in SHRs. 8. Plasma angiotensin II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30days after Onchung-Eum treatment,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in SHRs. 9. A significant decrease of body weight was observed at 20 and 30days after Hwangryeonheadock-Tang treatment and at 10, 20 and 30days after Onchung-Eum treatment.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in hyperlipidemia rats. 10.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ing effect at 30days on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in hyperlipidemia rats, compared with the saline treatment. 11.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saw 20 and 30days respectively on serum triglyceride level in the saline treatment. 12.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decreased on serum HDL-cholesterol level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saline treatment in hyperlipidemia rats. 13. A significant decrease of serum LDL-cholesterol was observed at 10 and 30days after Hwangryeonheadock-Tang treatment and at 30days after Onchung-Eum treatment,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saline group in hyperlipidemia rats. 14. Hwangryeonheadock-Tang had a significantly decreasing effect at 10, 20 and 30days on serum total lipid level, compared with the saline treatment in hyperlipidemia rats. 15. Hwangryeonheadock-Tang elicited a significantly decreasing effect on weight of kidneys, spleen and testes respectively and Onchung-Eum induced on weight of liver and spleen respectively in hyperlipidemia rats, compared with saline treatment. These Findings suggest a possible anti-hypertensive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Hwangryeonheadock-Tang and Onchung-Eum.

  • PDF

소아의 신혈관성 고혈압 (Renovascular Hypertension in Children)

  • 강병철;하일수;김인원;정해일;최용;고광욱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2호
    • /
    • pp.101-108
    • /
    • 1997
  • 목적 : 소아 신혈관성 고혈압의 임상적 특징과 원인질환, 검사 소견 및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4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고혈압 환자 중 혈관조영술상 신혈관성 고혈압으로 진단된 16례에 대하여 병록지 검토를 통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 16례중 남녀비는 7:9이었고, 평균 연령은 8년 6개월이었다. 원인질환으로는 Takayasu 동맥염이 6례, Moyamoya병에 동반된 예가 5례, 섬유근성 이형증이 3례, 신경섬유종증에 동반된 예가 1례였으며, 1례에서는 원인 질환을 밝혀낼 수 없었다. 흔한 증상으로는 호홉곤란, 편측마비, 두통, 오심 등이 있었고, 신체검사 소견상 심비대, 간비대, 복부 청진상 잡음 등이 관찰되었다. 말초혈장 renin 활성도는 검사를 시행한 14례에서 모두 상승되어 있었다. 혈관조영술상 16례 중 9례가 양측성, 7례가 일측성 병변을 보였다. Captopril 신스캔은 시행된 전례에서 혈관조영술상의 병변과 일치되는 결과를 보였다. 약물치료만을 시행한 5례 중 2례에서는 혈압의 완전 정상화, 3례에서는 부분적 조절의 반응을 보였다. 경피적 혈관성형술은 10례에서 시도되었으나 5례에서는 실패하였고 성공한 5례 중 3례에서 재협착 또는 동반된 대동맥 협착등으로 다른 형태의 치료가 필요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두 다른 형태의 치료로 실패한 경우였다. 이 중 3례에서는 혈압 조절에 실패하였고 1례에서는 부분적 조절의 반응을 보였다. 결론 : 소아의 신혈관성 고혈압의 원인 질환은 Takayasu 동맥염뿐 아니라 Moyamoya병, 섬유근성 이형증등 다양하므로 이들간의 감별이 필요하다. 여러 진단적 검사중 단독으로 확진 가능한 검사는 없으며 환자마다 적합한 진단적 검사법을 개별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치료로서 약물요법, 혈관성형술, 수술적 치료 등이 시행되지만 완치율 및 성공률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다.

  • PDF

온담탕이 고혈압 백서와 인간유래 혈관내피세포주(ECV 304)에 미치는 영향 (An Experimental Study of Effect on ECV 304 Cells, Platelet Rich Plasma and Rats treated with L-NAME by Ondamtang extract)

  • 백일성;박창국;이소연;윤현덕;신오철;박치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5-202
    • /
    • 2004
  • Nitric oxide(NO) play an important role in normal and pathophysiological cells including as a messenger molecule, neurotransmitter, microbiocidal agent, or dilator of blood vessels and artheriosclerosis, hypertension, myocardial infarction,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at Ondamtang in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the levels of nitric oxide generated by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nd the mechanisms of protection against L-NAME, human ECV304 cells, which normally do not express eNOS, were expressed by L-NAME. L-NAME stimulated rat or cells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injury and delayed death following the Ondam-tang.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abolished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L-NAME, thrombin and collagen exposure. Interestingly, such effects have bee observed during stimulation with agents such as KCl on L-NAME mediate rats, were damaged by the NOS inhibitor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Cardiovascular diseases is one of the blood vessels and renin-angiotensin system dynfunction. So we studied on herbal medicine that have a relation of vessels endothelium necrosis. In Oriental Medicine, Ondam-tang has been used for disease in relation to cardiovascular system. We studied on the protection and inhibitory effects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L-NAME induced rat or ECV304 cell lines through the Cell morphological pattern, Tunel assay, LDH activity,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immunohistochemistric analysis by Ondam-ta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n group, the anti-apoptosis and necrosi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have a potential capacity for prevented, protected and treating the diseases of cardiovascular system, against the necrosis of rat and ECV304 cells with eNOS and calpain expression by L-NAME is promoted.

  • PDF

도담탕(導痰湯)이 뇌손상(腦損傷) 및 고혈압(高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Dodamtang(DDT) on Brain damage and Hypertension)

  • 임승민;안정조;최영;김용진;유호룡;박양춘;설인찬;황치원;조현경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03-512
    • /
    • 2001
  • Objectiv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DT on the brain damage and hypertension. Methods : We observed the effect of Dodamtang(DDT) extract on KCN-induced coma, focal brain ischemia by MCA occlusion, cytotoxicity and protection of PC12 cells and B103 cells induced by amyloid ${\beta}$ protein(25-35). To prove the effect of DDT as a blood pressure depressant, we measured aldosterone, renin activity, catecholamine, sodium and NO density using the seperated blood plasma. Results : DDT showed a protective effect on cytotoxicity of PC12 cells and B103 cells induced by amyloid ${\beta}$ protein(25-35)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proved the significant abridgement of brain ischemic area and edema induced by MCA occlusion, a critical decrease of neurologic deficitic grade in the fore-limbs. DDT didn't reduce the duration of KCN(1.87mg/kg iv.)-induced coma and prolonged the survival rate in the case of KCN(3.0mg/kg iv.)-induced coma by the ratio of 20%. While DDT increased the value of NO in SHR, i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lood pressure of SHR and the value of aldosterone& epinephrine in SH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DT might be usefully applied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cerebral infarction, and brain damage.

  • PDF

갈근 열수 추출물이 알루미늄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효소 활성도와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in Extracts of Pueraria Radix on Serum Enzymes Activities and Hormone in Aluminum-Administeredrats)

  • 한성희;신미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122
    • /
    • 2005
  • 알루미늄 용액과 갈근 열수 추출액의 급여가 흰쥐의 Aldosterone, rennin의 호르몬과 GOT, GPT. LDH의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각 실험군간에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중증가량은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갈근과 알루미늄의 병합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신장조직은 다론 조직에 비하여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은 $1.78{\sim}1.83g$이었으나 알루미늄과 갈근 병합 급여군은 $2.10{\sim}2.19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rennin 활성도에서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399.98{\sim}464.58ngAl/ml/hr$에 비하여 알루미늄과 갈근 병합 급여군이 $289.74{\sim}88ngAl/ml/hr$으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ldosterone 활성도는 각각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은 1351.60{\sim}1394.83pg/ml$ 알루미늄과 갈근 열수 추출물 병합 급여군이 $954.54(\sim}9632.57pg/ml$으로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GOT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단독 급여군은 $258.60{\sim}395.80IU/L$인데 비하여 알루미늄과 갈근 열수 추출물 병합 급여군이 $314.20{\sim}320.2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GPT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100.40{\sim}108.20IU/L$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과 알루미늄 병합 급여군은 $70.80{\sim}81.0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LDH는 농도를 달리한 알루미늄 급여군은 $3157.20{\sim}3726.20IU/L$인데 비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와 알루미늄 동시 병합 급여군은 $2846.60{\sim}2993.20IU/L$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갈근 열수 추출액 급여군에 의한 알루미늄 중독 완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2-kidney 1 clip 신혈관성 고혈압흰쥐에서의 심방이뇨??????타이드의 혈관이완작용의 기전 (The Vasodilating Mechanism of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 2-kidney 1 Clip Renovascular Hypertensive Rats)

  • 정진영;안영철;김헌식;고규영;안희열;김명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5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2-kidney 1 clip (2K-1C) 신혈관성 고혈압흰쥐에서 심방이뇨펩이드의 혈관 이완작용의 기전을 규명하고 정상혈압흰쥐에서의 혈관이완작용과 비교하는 것이다. 2K-1C 신혈관성 고혈압흰쥐는 정상혈압흰쥐에 비하여 평균동맥압의 유의한 상승과 혈장레닌활성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2K-1C 신혈관성 고혈압흰쥐의 대동맥에서 norepinephrine (NE)의 수축력의 감수성 및 최대 수축력이 정상혈압흰쥐의 대동맥보다 증가하였다. 심방이뇨펩타이드는 NE에 의한 수축을 농도-의존적으로 각각의 혈압군에서 억제하였다. 그러나, 2K-1C 신혈관성 고혈압흰쥐에서 심방이뇨펩타이드의 NE 억제 작용은 전체적으로 정상혈압흰쥐에서 보다 감소되었다. 그러나 최대 용량의 심방이뇨펩타이드의 NE 이완작용은 양 고혈압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2K-1C 신혈관성 고혈압흰쥐에서 NE에 의하여 $Ca^{2+}$의 유입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심방이뇨펩타이드는 이 증가를 억제하였다. 정상혈압흰쥐에서도 심방이뇨펩타이드는 NE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된 $Ca^{2+}$의 유입을 억제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정상혈압흰쥐와 2K-1C 신혈관성 고혈압흰쥐의 심방이뇨펩타이드의 이완작용의 기전에는 $Ca^{2+}$의 유입 차단이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며, 이때 심방이뇨펩타이드의 NE 수축억제에 대한 potency는 2K-1C 신혈관성 고혈압 흰쥐에서 감소하였으나 efficacy는 정상혈압흰쥐와 비교하여 변함이 없음이 관찰되었다.

  • PDF

RIA 검사별 희석실험을 통한 결과의 상한치 검증 (Verification of the upper limit of results through dilution tests for RIA test)

  • 이근의;최진주;이영지;유선희;이선호
    • 핵의학기술
    • /
    • 제26권1호
    • /
    • pp.42-46
    • /
    • 2022
  • 핵의학과 검체검사에서 시행되는 모든 정량 검사는 정확도와 정밀도를 고려하여 측정가능범위 및 임상보고 가능범위가 설정되어 있다. 측정가능범위를 벗어난 검체는 희석 실험을 시행하여 최종 검사 결과를 보고해야 한다. 그동안 희석을 진행하는 검체의 수가 많지 않았고, 검사 종목별 희석액이 시약 마다 달라 검사자가 실험 종목마다 적절한 희석배수를 정하여 결과를 보고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RIA 검사별 최대 희석배수의 설정 및 임상보고가능범위의 상한치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KOLAS를 바탕으로 설정된 임상보고 가능범위의 상한치를 검증하였고 그에 따른 각 종목의 최대희석배수를 설정하였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모든 RIA 검사 중 희석하는 30종의 검사종목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1년 3월부터 7월까지 총 4개월간의 자료를 종목별로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각 검체는 검사 항목별 Kit 내 기재된 희석방법에 따라 D.W, Kit 내 전용 Diluent 혹은 0 Standard로 희석하였으며 2배, 4배 및 10, 102, 103, 104 등의 계단희석을 진행한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실측값을 기댓값으로 나눈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백분율 허용범위를 80~120%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만족한 실험 결과를 연구의 표본이 되는 N값으로 설정하였다. 총 30종의 검사항목 중 백분율 허용범위에 속하는 N값의 수가 5개 이상인 종목은 19종목이었다. 희석배수의 검증 결과 104로 설정된 검사는 𝛼-fetoprotein, Thyroglobulin으로 2종목이며, 103으로 설정된 검사는 CA-125, CEA, 𝛽-hCG로 3종목, 102으로 설정된 검사는 Free PSA, PSA, CA15-3, SCC, Ferritin, PTH, Cortisol, Calcitonin, Aldosterone 으로 9종목이다. 10으로 설정된 검사는 𝛽2-Microglobulin, C-peptide, Testosterone 3종목이 있다. 남은 2종목인 Renin Activity와 Follicle Stimulation Hormone은 각각 2배, 4배로 설정하였다. 그 외 특이사항이 있는 항목은 11종목으로 허용범위를 벗어난 결과가 섞여 있어 표본이 부족하거나 희석검체 수가 부족하여 값을 설정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종목들은 기존 자료를 토대로 희석배수를 설정하였고, 추후 자료를 수집하여 허용범위 내에 속하는 N값의 수가 충족된다면 희석배수를 재설정할 계획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임상보고 가능범위를 실증적 방식으로 검토하고, RIA 검사별 적절한 희석배수를 표준화함으로써 핵의학 검사의 경제성을 높이고, 연구를 통해 검증된 임상보고 가능범위 내에서 더욱 정확한 희석검사결과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핵의학 혈액검사의 전반적인 질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