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ineralizatio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1초

산성 음료에 의한 법랑질의 침식과 인공타액에 의한 재광화 (EROSION OF TOOTH ENAMEL BY ACIDIC DRINKS AND REMINERALIZATION BY ARTIFICIAL SALIVA)

  • 안호영;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4-91
    • /
    • 2002
  • 연구 목적은 시중 음료의 산성도를 조사하고 산성 음료가 유치 법랑질의 침식에 미치는 영향 및 침식된 법랑질에 대한 인공 타액과 불소의 재광화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었다. 시중의 25 종류의 음료를 표집한 후 pH를 측정하였고,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유치 법랑질의 침식 및 재광화 실험을 시행하였다. 음료의 pH는 대부분의 음료가 pH 5.5이하였다. 산성 음료에 의한 유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의 감소율은 착향탄산음료의 경우 5분 후가 16.90%, 10분 후가 25.11%, 30분 후가 35.10%, 60분 후가 41.62%이었고, 재광화용액에 담갔을 때 표면미세경도의 회복률은 1시간 후에 61.52%, 24시간 후에 67.96%, 48시간 후에 72.13%, 72시간 후에 75.93%이었다. 결과는 시중 음료의 대부분이 산성 음료이며 치아침식증의 발생은 빠르게 일어나는 반면에 재광화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죽염을 이용한 우식예방 (Effects of bamboo salt on dental caries prevention)

  • 최충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9호
    • /
    • pp.552-557
    • /
    • 2012
  • Bamboo salt is a special processed salt by Korean traditional recipe. Recent study results showed that bamboo salt or bamboo salt with some other materials like herbal extracts have the anti-microbial activity, inhibition effects of dental plaque and gingival inflammation. Bamboo salt also showed anti-cariogenic effects;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Compare to fluoride toothpaste, bomboo salt toothpaste with fluoride showed the more effective remineralization on inner part of the early dental caries lesion. It increased the surface hardness and decreased lesion depth of early dental caries lesion. Thus, it is suggested thai bamboo salt could be used as a anti-microbial, anti-plaque, anti-inflammatory and anti-cariogenic material for oral disease prevention. Especially, bamboo salt dentifrice with fluoride can be recommanded as a useful remineralizing agent.

In vivo Quantitative Analysis of Remineralization solution "R" of incipient enamel dental caries using Microradiograph

  • Kim, Myung-Eun;Jung, Il-Young;Lee, Chang-Young;Roh, Byoung-Duck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60.2-560
    • /
    • 2001
  • Dental caries is a chronic disease that causes the destruction of tooth structure by the interaction of plaque bacteria, food debris, and saliva. There has been attempts to induce remineralization by supersaturating the intra-oral environment around the surface enamel, where there is incipient caries. In this study, supersaturated remineralized solution was applied to specimens with incipient enamel caries,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mineralization was evaluated using microradiography.(omitted)

  • PDF

완충 용액의 유산 농도와 pH가 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pH OF LACTIC ACID BUFFER SOLUTIONS ON ENAMEL REMINERALIZATION)

  • 권중원;서덕규;송윤정;이윤;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07-51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 완충 용액의 pH 및 유산 농도 변화가 법랑질에서 인공 우식 병소의 재광화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유산 완충 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을 탈회시키고, 유산의 농도가 100, 50, 25, 10 mM이고 pH가 4.3인 네 가지 재광화 용액 (Group 1, 2, 3, 4)에 10일, pH 6.0인 네 가지 재광화 용액 (Group 5, 6, 7, 8)에 12일간 처리한 후 무기질의 양적 변화를 편광 현미경에서 얻은 상에서의 탈회 깊이의 변화, 우식 표면층 깊이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또한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를 이용하여 탈회 후와 재광화 후를 촬영하여 얻은 상으로부터 lesion 부위의 density를 비교하였다. 1. pH 4.3에서 유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우식 표면층의 증가와 표층하 탈회부 중 심층부의 isotropic zone 등의 재광화 현상을 보이나, 전체 탈회 깊이 역시 증가하였다. 2. pH 6.0에서 우식 표면층에 국한된 재광화 현상을 보이고, 전체 탈회 깊이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루어 포화도가 일정한 유산 완충 용액으로 재광화 유도시 pH가 낮고 유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표면으로부터 심층부 동역학적 변화에 더 영향을 주었으며, micro-CT를 이용한 우식 병소 부위의 density 확인을 통해 무기질의 침착과 방출 현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재광화 완충용액의 pH 변화가 상아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H OF REMINERALIZED BUFFER SOLUTIONS ON DENTIN REMINERALIZXATION)

  • 김성철;노병덕;정일영;이찬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51-161
    • /
    • 2007
  • 치아 우식증은 구강 영역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나 여러 가지 복잡한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생기전과 치료법에 대해서는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초기우식의 재광화에 있어서 pH의 영향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상아질에 인공 우식을 형성하고 이때의 무기질 소실을 측정하고, 탈회된 시편을 pH가 다른 세 가지 재광화 용액 (pH 4.3, 5.0, 5.5 군)으로 재광화시켰을 때 나타나는 무기질의 침착되는 양과 침착이 일어나는 부위를 Microradiograph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산화인회석 결정의 정상 상태 탈회된 상태, 그리고 재광화가 일어났을 때의 상태를 정성적으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icroradiograph분석시 pH가 증가할수록 탈회된 상아질에서 재광화양이 유의차 있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pH가 낮아질수록 재광화가 일어나면서 더 깊게 탈회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pH 5.5 군은 전반적으로 재광화가 일어나는 경 향을 보였다 (p<0.05). 2.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에서 상아질 우식의 재광화는, 유기기질 망을 둘러싸고 있는 수산화인회석 결정의 표면으로부터 진행되며 결국에는 탈회 시 파괴된 공간을 채워가는 양상으로 관찰되었다. 3. 재광화 5일 후 pH 4.3. 5.0군에서 무기질이 침착되어 수산화인회석결정이 정상보다 커졌으며, pH 5.5군에서 재광화된 부위의 결정은 정상으로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재광화 10일 후 pH 4.3, 5.0 군에서 재광화 5일 후에 정상보다 커졌던 결정들이 정상상아질의 결정 크기로 줄어들었으며 pH 5.5군에서는 결정의 크기가 2배정도 커진 경우도 관찰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에 의하면 상아질의 우식과 재광화 과정은 단순한 탈회와 재광화의 독립적인 과정이 아니고 동력학적으로 탈회와 재광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과정이며, 이때 재광화는 기존의 수산화인회석 결정의 표면으로부터 진행되었다.

치간 삭제 후 불소 또는 수산화인회석 도포 시 재광화 및 탈회억제에 관한 연구 (Effect of remineralization and inhibition to demineralization after fluoride gel or hydroxyapatite paste application on stripped enamel)

  • 홍현실;김호영;성지영;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2-226
    • /
    • 2010
  • 치간 삭제 후 재광화 및 치아우식 예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1.23% 인산화불소 젤 또는 5%, 10%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를 치간 삭제된 법랑질 표면에 도포하였고, 그 후 젖산탈회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 및 탈회 후 결정구조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칼슘, 인, 불소 함량 등의 변화를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로 분석해서 비교하였다. 치간 삭제 후 5%, 10%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를 도포한 군에서 칼슘과 인 함량이 증가하였고, 1.23% 인산화불소 젤 도포 군에서는 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모든 재광화 제제에서 법랑질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워졌으며 결정구조가 작고 치밀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10%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로 재광화한 군은 탈회 후에도 칼슘과 인 함량이 증가된 채로 유지되었고, 5% 수산화인회석함유 페이스트로 재광화한 군은 탈회 후 인 함량이 증가된 채로 유지되었다. 치간 삭제 후 탈회 처리 시 대조군의 법랑질은 파괴양상이 심해 거친 굴곡으로 이루어진 불규칙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불소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재광화한 군에서는 법랑질의 파괴양상이 적어 작은 결정입자들과 미세공극이 유지되었다.

Silver diamine fluoride와 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 재광화 효과 (Effect of Silver Diamine Fluoride and Sodium Fluoride Varnish on Remineralization in Artificially Induced Enamel Caries: An in vitro Study)

  • 김소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6-27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 silver diamine fluoride (SDF)와 sodiun fluoride (NaF) 바니쉬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소의 절치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법랑질 초기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38% SDF와 5% NaF 바니쉬를 도포한 후 인공 타액에 3주동안 보관하면서 pH-cycling을 시행하여 법랑질 표면과 3개 층의 깊이에서 micro-CT를 이용하여 무기질 밀도를 측정하고 SEM-EDS를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미세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두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38% SDF군와 5% NaF 바니쉬군 모두 탈회된 법랑질의 무기질 밀도와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는 시간 경과에 따라 21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38% SDF군은 5% NaF 바니쉬군보다 법랑질의 모든 깊이와 경과한 시간대에서 무기질 밀도 증가량(△HUV) 및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 모두 컸다(p = 0.001). SEM을 이용해 관찰한 재광화된 법랑질 표면은 38% SDF군이 5% NaF 바니쉬군에 비해 더 부드러웠다. SEM 사진상에서 38% SDF를 도포한 법랑질 표면에서 은 화합물 침착이 관찰되었으며 EDS 분석에서는 은 이온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38% SDF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의 재광화 효과는 5% NaF 바니쉬보다 더 큼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SDF가 진행된 우식의 처치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불소와 칼슘의 법랑질 재광화 효과에 대한 생체외 연구 (EFFECT OF FLUORIDE AND CALCIUM ON ENAMEL REMINERALIZATION IN VITRO)

  • 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4-629
    • /
    • 2004
  • 침식된 치아 법랑질의 효과적인 재광화 방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0.1{\sim}1.0%$ 구연산 용액에서 60분간 탈회시킨 사람 소구치 법랑질을 인공타액, 100ppm 및 1000ppm 불소가 첨가된 인공타액, 1000ppm 칼슘이 첨가된 인공타액, 100ppm 불소와 1000ppm 칼슘이 첨가된 인공타액에 각각 넣고 재광화시키면서, 3시간과 6시간 경과시에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불소나 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인공타액 및 불소 1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서는 6시간 동안 유의한 재광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불소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서는 3시간 후에 유의한 재광화가 관찰되었고 3시간부터 6시간 사이에는 유의한 재광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칼슘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 및 불소 100ppm과 칼슘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서는 3시간 후와 6시간 후에 유의한 재광화가 관찰되었다(유의수준 P=0.05). 불소나 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인공타액 또는 불소 1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 비해 불소 100ppm과 칼슘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의 재광화효과가 유의하게 더 컸으며, 불소를 100ppm 또는 1000ppm으로 첨가한 것, 불소 농도를 100ppm에서 1000ppm으로 증가시킨 것, 칼슘을 1000ppm으로 첨가한 것은 재광화효과를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 PDF

Addition of Hydroxyapatite to Toothpaste and Its Effect to Dentin Remineralization

  • Sadiasa, Alexander;Jang, Dong-Woo;Nath, Subrata Deb;Seo, Hyung Seok;Yang, Hyn Mo;Lee, Byong Taek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8-176
    • /
    • 2013
  • In this study, hydroxyapatite (HAp) was incorporated into toothpaste and its effect on the remineralization and restoration of dental enamel was evaluated. Different sets of toothpaste were incorporated with HAp levels of 0%, 5%, 10 %, and 15 %. The filler particles of the resulting toothpaste samples were observed via SEM and XRD and compared with compositions of several commercially available toothpastes, showing that the HAp was successfully incorporated into the toothpaste samples. Different sets of human enamel were inflicted with lesions and then treated with the different fabricated toothpaste samples for five minutes three times a day for seven days. During the treatment, the teeth were subjected to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cycles to simulate the effect of natural saliva. The surface of the enamel samples were observed using SEM before and after one week of treatment, showing the formation of HAp layers on the surfaces of the enamel samples. The effect of the toothpaste on the lesions was observed using an inverted light microscope and the lesion depth was found to de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HAp in the toothpaste used increased. HAp was successfully incorporated in the toothpaste and its presence was found to lessen lesion depths and improve tooth remineralization.

초기우식법랑질 표면 하방에 미치는 죽염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 of bamboo salt on incipient subsurface caries enamel)

  • 김애옥;김경희;하명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17-826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mboo salts on remineralization effects on subsurface of artificial carious enamel. Methods: Incipient carious enamel was formed in permanent bovine incisors and then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randomly: 3% bamboo salt (BS), 2% (NaF) and the solution of mixed 3% BS and 2% NaF. For remineralization, specimens of each of the three groups were treated for 24 hrs at $37^{\circ}C$ incubator. After treatment, specimens were analyzed using SEM and VHN. Statistical analysis used was one-way ANOVA. Results: In SEM observation, the BS group showed narrower distances between enamel rods than the cases of incipient subsurface caries enamel. The NaF and BS+NaF groups showed that the enamel rods near the surface were destructed, and innumerable round small particles were deposited near the surface of enamel. The BS+NaF group showed more minerals attachment between enamel rods than the cases of other groups. The differences in subsurface microhardness (${\Delta}VHN$) increased all of three groups in total by $80{\mu}m$. The ${\Delta}VHN$ of the BS+NaF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NaF and BS groups in depth of $50{\mu}m$, $80{\mu}m$. Conclusions: The 3% bamboo salt with 2% NaF solution was found to increase subsurface hardness of incipient caries enamel. Thus, bamboo salt will be use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n dental c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