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igious space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영화 <이다>에 나타난 의미적 맥락의 시각화 (A The Visualization of Semantic Context in the Film )

  • 김태규;김규남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45-159
    • /
    • 2021
  • 영화 <이다>(Ida, 2013)는 서사와 인물의 심리적 동기를 모호하게 하고, 선형적 시간성을 파괴하며, 다양한 기법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조작 가능성을 상기시키는 현대의 실험적 영화라 볼 수 있다. 인간의 주체와 자아인식 변화 과정이 사회적 트라우마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나 사회의 역사적 맥락을 대비시켜 추론할 수 있다. 영화 <이다>는 화면 밖의 공간, 부재하는 공간, 여백과 프레임 안에 내포된 의미를 중심으로, 보이는 공간의 정보와 화면 밖 공간과의 정보를 나눔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제시되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 추론하게 하는 능동적 인지과정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시대적 배경을 자세히 기술하지 않으면서도 역사적 의미를 시각화했고, 초월적 존재인 신과 한계적 존재인 인간 사이의 갈등과 고민의 문제를 인간과 인간의 갈등 구조 안에서 표현하고자 했다. 아울러 상실과 부재의 슬픔을 공간적 미학으로 풀어내고자 시도했으며 인물의 대비와 대조, 빛과 어둠의 대비를 통해 상황의 전개를 나타냈다. 본고에서는 영화 <이다>가 함축하고 있는 개인(인물)의 이야기와 사회, 역사적 배경과 종교적 영역을 아우르는 해석을 시도하고, 의미적 맥락의 시각화를 다루고자 한다. 또한 정체성과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종교적 가치를 다룬 영화 <이다>의 시퀀스 장면 분석을 통해 그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고, 영화가 추구한 총체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는 영화 <이다>가 내포하고 있는 트라우마의 재현과 해석 차원으로 개인과 지역, 국가적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문제를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한국적 상황에 주는 함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나아가 과하게 표현하지 않으면서도 인간과 사회적 성장, 고민을 잔잔하게 다루는 모습을 통해 새로운 영상기술과 독창적 시각화 기법의 영화를 창조하려는 흐름에 또 다른 영감을 주는 연구가 될 것이다.

한국전통주거(韓國傳統住居)에 나타난 가택신앙(家宅信仰)과 공간구성(空間構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hamanistic House Sprits and Spatial Orga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 천득염;나경수;손희하;나하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4호
    • /
    • pp.43-55
    • /
    • 2001
  • Living spaces are the results of social environment and also the reflection of the viewpoints by their residents toward human culture and society. Therefore, in studying living spaces, the true essence of the spaces could be easily distorted when cultural and symbolic motives and values are disregarded and only their apparent characteristics are looked into. Hence, it'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understand both physical dwelling spaces from architecture's view points and social ideas, simultaneously, of people who form and interact with the spaces. Hence, this paper tries to study housing religion which is one of shamanistic religions which, in turn, have been the fundamental element of ancient religions and came into existence on the basis of dwelling spaces. This study presumes that house religion may have been permeated with its creators' ideas about living and those ideas could be one of those factors which plays a role in organizing of dwelling spaces. As such, with these prior analyses, this thesis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various dwelling spaces via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various house spirits which are mentioned in a local house religion and also will find out spatial harmony of Korean traditional living spaces by way of corelations among living spaces, people, and personalized house spirits. Almost all traditional Korean houses have assigned a house spirit to their individual dwelling space. This means a traditional house was considered as a scared space in a secular world called human society and the space was actually intended to protect sacredness of dwelling places from earthliness outside. So when the hierarchy of house spirits in housing religion is projected to a Korean traditional house, it can be shown that a dwelling house as a building was personified to a respectable human status.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that each space was synonymous with a dwelling place for each house spirit and was considered a sacred godly place. In a nutshell, not only each space in a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a physical and functional space, but also it formed a scared spatial place along with the concept of house spirits intending to ward off disasters and enjoy a comfortable life through those religious symbols and meanings. Housing shamanistic religion which has long been existing with residents and their lives is seeped with the viewpoints of the residents toward life, and hence understanding the meanings and organ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can reveal commonly practiced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Therefore an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on the basis of humanistic social ideas will help learn Korea's traditional houses which need to be understood in various methods.

  • PDF

한국 전통사찰 경내 식재실태 및 식재정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Planting Status and Maintenance Plans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 이선희;진혜영;이현채;문애라;최우경;송유진;송정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70
    • /
    • 2016
  • 한국의 사찰정원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추구하는 조상들의 지혜가 반영되어 있는 전통정원 중의 하나로, 전통사찰은 종교적 공간으로도 그 가치가 높지만 지리적 이점으로 주변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입지해 있기 때문에 종교적 공간으로써 사찰뿐만 아니라 경관감상을 위해 국내 외적으로 관심과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사찰정원은 전통적 공간과 어울리지 않는 식물들의 무분별한 식재로 전통적 공간으로써 본래의 가치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역사 문화를 간직한 사찰이 세계화에 앞서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국 전통사찰 51개소를 대상으로 사찰 경내 식재현황을 조사하였다. 식재현황 조사 결과, 사찰에 식재된 식물은 총 207종으로 그 중 자생식물은 128종(61.84%), 재배식물은 76종(36.71), 귀화식물은 2종(0.97%), 도입식물은 1종(0.48)으로 자생식물의 식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전국 사찰에 가장 많이 식재된 상위 3종으로는 소나무(46개소), 느티나무(38개소), 은행나무(36개소)였다. 희귀식물로는 검팽나무, 구상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전체식물 중 5.3%에 해당되며, 한국의 특산식물로는 병꽃나무, 오동나무 등이 조사되었으며 이는 3.4%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연꽃, 파초, 불두화와 같이 불교와 관련이 있는 수종의 비율은 적었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전통 사찰정원에는 불교적 의미가 있는 식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적 의미를 가지는 식물의 식재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역사적인 공간으로써의 특징이 더 크게 보였다. 위와 같은 식재현황을 바탕으로 사찰정원의 의미와 특징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찰의 진입로 영역, 경내 마당, 배경림과의 경계 및 화계 등 사찰 내부공간의 성격에 따라 식재 정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한국사찰정원을 조성함에 있어 종교적,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등 상징성 있는 식물의 식재 및 장소에 알맞은 수종을 식재할 것을 제안한다.

문화재 보존에 나타난 과거인식에 대한 고찰 - 19세기 영국의 교회 건축복원의 사상적 배경과 보존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Perspectives on the Past in Heritage Conservation - Focusing on the 19th Century Restoration of Religious Buildings in England -)

  • 이수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188-207
    • /
    • 2014
  • 홈스봄의 '만들어진 전통'은 최근에 등장한 역사인식의 한 방법론이다. 그에 따르면 만들어진 전통의 특수성은 과거와의 연속성을 인위적으로 내세우려 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전통들을 구성하는 데 낡은 재료들을 이용한다. 또한 그는 만들어진 전통은 사회화나 신념, 가치체계, 행위규범을 주입하는 데에 그 목표가 있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그러한 인식틀을 가지고 19세기의 문화재 보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단순히 이를 적용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한 단계 더 발전적으로 나아가 그러한 현상들의 사상적 배경은 무엇이며, 그러한 현상을 만들어내는 데 있어서 과거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19세기 중반에 카톨릭의 교리와 의례를 새로운 신념과 가치체계로 주입하여 영국 국교의 종교적인 부활을 이루고자 했던 옥스퍼드 운동과 이를 실천하기 위한 행위규범으로 고딕양식을 종교적 공간에 재현하고자 한 캠브리지캄덴협회의 활동은 홈스봄이 제시한 전통을 만드는 행위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리고 그것이 종교건축의 보존에 있어서 그대로 적용되고 실천되었다는 점에서 전통과 보존은 같은 축 선상에 존재한다. 당시에 과거는 종교적 목적을 실천하기에 적합한 특정시대와 특정한 건축양식으로만 이해하는 단층적인 재료였으며, 과거를 인식하는 틀 역시 종교적인 목적이나 사회적, 정치적인 이념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19세기 후반의 반복원 운동은 전대의 무분별한 양식적 복원을 막고자 했던 행위이다. 그리고 그 사상적 배경에는 변화된 과거 인식의 틀이 존재한다. 복원이라는 행위에 대한 개념정의가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면서, 행위의 속성을 인식하는 관점에서 전대의 과거에 대한 인식이 수정되었다. 전통은, 혹은 과거는 현재에 되살려야 하는 대상이 아니고 현재에도 살아있는 생명체이며, 복원은 그러한 생명력을 오히려 빼앗는 행위라는 관점으로 과거에 대한 인식이 변화된 것이다. 즉, 있는 그대로의 과거, 다양한 가치가 존재하는 과거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태도가 문화재 보수에 적용되기 시작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향후, 국내에서도 보다 다면적인 관점과 충분한 자료를 축적하여 우리의 문화재 보존사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장백산 신성한 활동의 시대별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Sacred Activity of Changbai Mountain by Era)

  • 허종화;김석주;성종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0-52
    • /
    • 2021
  • 장백산은 시대마다 다양한 민족이 생활하였고, 시대별 민족들은 자신들만의 신앙문화로 장백산을 신성시 하였다. 기존의 장백산 문화에 대한 연구들은 특정 시대 사건에 관한 연구만 이루어지고 있는데, 정작 장백산의 신성성이 시대별로 어떻게 변천하고, 시대별 민족들의 신앙문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고,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장백산 신성성을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시대적으로 변천해 온 의미를 고찰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시대별 민족들의 신앙문화와 장백산 공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현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성현으로 드러난 신성한 공간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고찰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장백산 신성한 활동은 시대별로 다음과 같이 변천하였다. 청나라 이전 시대 민간들은 생계와 생존을 위한 화신제사, 성신제사, 산신제사, 버드나무신제사를 하였고, 금나라 왕은 악진(嶽鎭)과 같은 제사의례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청나라 시대 황제는 망제전을 조성하고 직접가거나 관원을 파견하여 국가를 상징하는 최고의 제사의례로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근대는 장백산 정상에 팔괘묘를 조성하고, 장백산신에게 제사를 드리거나 팔괘의 술수를 통하여 장백산 자연과 장백산에서 생활하는 인간들의 길흉을 판단하였다. 또한 이 시기 민간들은 생활과 생산을 위하여 인격화 된 신 산신노파두를 중심으로 제사활동을 하였다. 정리하면, 장백산의 신성한 활동은 청나라 이전 시기는 애니미즘의 사상을 기본으로 한 샤머니즘 제사활동, 청나라 시기는 황실의 성산으로서 신성성을 받들기 위한 최고의 황실 제사의례, 근대시기는 이주민들의 도교사상을 기본으로 한 제사활동으로 변천하였다. 그리고 신성한 활동으로 바라 본 장백산의 의미는 청나라 이전 시대 생계의 산에서 청나라 시대 국가의 산으로 위상이 승격하였다가 근대 생산의 산으로 변화하였다.

재미한인 노인들을 위한 너싱홈의 물리적 주거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 재미한인 노인 거주자 관점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Regarding Physical Environments of Nursing Homes for Frail Korean American Elders - Focused on Korean American Elderly Residents' Views -)

  • 이은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3-2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overall physical environment's features of nursing homes for Korean American elders in the United States.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in Korean American nursing homes on the East Coast and in the Midwest with multipl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interviews, observations, document review, and field no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though almost all respondents were unable to speak and understand English at all, most written materials in nursing homes were in only English; 2) The nursing homes were placed near or within the Korean communities; thus, it contributed to close ties with religious Korean American groups and other groups in the ethnic communities; 3) Whether the facility's physical features looked like those of a hospital or a home, many residents did not consider a nursing homes as a real home; 4) A fenced garden in the nursing home in the Midwest was the residents' favorite public space; 5) Due to being forced to room with residents who had dementia and were bedridden, they were more likely to have conflicts with their roommates and feel uncomfortable living in their room; and 6) The facilities seemed to be designed without consideration to protect residents' privacy.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패션에 나타난 혼성모방 (Pastiche in the late Capitalism Fashion)

  • 김민자
    • 복식
    • /
    • 제50권
    • /
    • pp.69-84
    • /
    • 2000
  • Th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 folds: to analyze postmodern fashion through the notion of pastiche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uncertain and confused situation in the late 1990s and to suggest a way of approach to creativity and originality in recent fashion desig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astiche is an art work that borrows some parts of other artists authentic works and recombines them thus imitating their style technique or motifs selfconciously. 2. Pastiche is based onthe Deconstruction theory: the end of art as a result of deconstruction of the subject the collapse of the meaning the loss of history: the late Capitalism in which reality becomes chage into images or simulacre. 3. Pastiche represented by the death of author which means the exhaustion of creativity is shown in the fashion borrowing subculture styles and art works or religious images. Pastiche fashion which is equal to the play of signifiers floated as image is shown as graffiti and objects Time and space pastiche fashion can be explained by historical eclectism and ethnic looks, Finally pastiche means not the fixed aspect but the open concept of indeterminate condition which includes " anything goes" through the coesistence of various style in pastiche fashion.

  • PDF

고대인도의학(古代印度醫學)(AYURVEDA)의 형성(形成)과 체계(體系) (Formation and System of the Ancient Indian Medicine(AYURVEDA))

  • 박종운;박찬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6-674
    • /
    • 1998
  • Ancient Indian medicine, Ayulveda that had been developed during the period from 1500B.C. to 1000A.D. was a part of Atharva Veda in Vedas, ancient religious literature. Ayurveda accumulated wisdom of life from time immemorial presents that an individual entity is required to live in harmony with nature or universe according to its constitution. Ayurveda is the medical science that grasps individual constitution through Tridosha, a combination of five primary elements(space, wind, fire, water, and earth), and systemetically explain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henomena which reveal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In Ayurveda, diseases are classfied by various diagnostic methods, and the state of sound body, mind and spirit is maintained by several unique theraphies and regimens. Ayurveda has (once)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monk medicine since it was transmitted as the buddistic medicine in China and Korea. It has a lot of similarities to the oriental medicine that systematizes the theory of holistic idea on the basis that the human body is a small universe corresponding to nature. The oriental medicine and Ayurveda, two main axes of the oriental medicine arouse western medical schools' interest by their perculiar views of the disease and the system of their medical theories. And they are expected to render services to human health.

  • PDF

현대 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iental Spirit Detectable in Modern Fashion Style)

  • 채혜숙;채금석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0-72
    • /
    • 2008
  • A midst the tendency in an attempt to rehabilitate the coexistence of values in Oriental and Western cultures, along with centripetal attention through reincarnation of the Oriental culture, the modem fashion trend is also inclusive of such Oriental flavors even in the opposite Western fashion icons with an outlook for futuristic alternative. In this regard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ient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in a more profound and right manner by evaluating its spirituality and formativeness through analytical survey on preliminary literatures, whose key words are as follows; Fist, heterogeneity inclusive of the Oriental comprehensiveness through non-periodic chaos; second, imperfection in pursue of perfection through non-perfection; third, asymmetry caused by polarized historicity together with agility in the Oriental costumes; fourth, simplicity bridging into religious naught, and; fifth, spatial comfortablity shrouded by loose design. As a result, the study demonstrates that Oriental sensitivity implicative at the modem fashion, prior to its formativeness, shed out a clue of the Oriental profound spirits in its fashion style.

  • PDF

SF 영화 세트 디자인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Style of the Sci-Fi Movie Set Design)

  • 김태은;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3호
    • /
    • pp.122-128
    • /
    • 2002
  • In the Sci-Fi movie, with future scene in its setting, how images are shown in the film is very important. Sci-Fi movie is supposed to be expressed In different way of its set design. This study suggests various types of expression in Sci-Fi movies. Sci-Fi movies construct the narrative upon the binary opposition of nature vs. culture, human vs. nonhuman. Sci-Fi movie is a contested terrain where conservative, liberal and radical ideologies are competing. While liberal Sci-Fi movies consider the opposition compatible, conservative texts show the paranoid towards science and nonhumans. And, Sci-Fi movies are expressed as utopian and dystopian. Utopian and dystopian elements are found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Utopian element is often found in the religious architecture, and those buildings are geometric, orderly, and gorgeous. Dystopian element is often found in modern architecture, and those are asymmetric, distorted, and incompleted. Conservative movie, which developing of science is expressed negatively, retains both utopian and dystopian elements evenly. Liberal movie, such as Space Opera which science is expressed positively, is changed from futurist and mechanical type into more simple, geometric and orderly shrine type. Radical movie, which the boundary of human and science is expressed darkly, retains dark, complex, and incomplete dystopian expression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