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he Visualization of Semantic Context in the Film

영화 <이다>에 나타난 의미적 맥락의 시각화

  • Kim, Tae-Kyue (Media Art, So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Media) ;
  • Kim, Kyu-Nam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Warsaw University)
  • 김태규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영상예술전공) ;
  • 김규남 (바르샤바 국립대학교 국제관계연구원)
  • Received : 2021.11.22
  • Accepted : 2021.12.2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is a contemporary experimental film that forms ambiguity in the narrative and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of the characters, destroys linear temporality, and reminds of manipulation possibilities in digital images through varied techniques, and it carries implication by the fact tha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human subjects and self-awareness are connected to social trauma and makes way to infer by comparing it to the historical contexts of other nations or societies. centers on the space outside the screen, absent space, and the intrinsic meaning within the space and the frame and shares the information in the visible space and the space outside the screen and arouses an active perceptual process so that the audience can deduce the information that is not presented. The film visualized the historical meaning without describ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s in detail and aimed to express the conflicts and worries between the god, a transcendental existence, with humans, which are marginal beings, within the conflicting structure among humans. Moreover, attempted to resolve the sadness of loss and absence through the spatial aesthetics and the film presented the progression of the situation through the contrast of the characters and also the comparison between light and darkness. This study intends to make an attempt of interpreting the realm involving personal (characters) stories and the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together with the religious sphere and discuss the visualization of the semantic context.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equence of the scenes in , which reconstructs identity and historical cases and religious values to observ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and closely analyze the general meaning pursued by the film. discussed the issues of trauma that individuals, regions, and nations confront as a re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rauma connoted in the film, and consideration can be provided about the implication concerning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e film placidly discusses the growth and agony in humans and the society without expressing it excessively, so it will be a valuable research result to inspire the trend of creating films that incorporate new imaging technology and original visualization techniques.

영화 <이다>(Ida, 2013)는 서사와 인물의 심리적 동기를 모호하게 하고, 선형적 시간성을 파괴하며, 다양한 기법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조작 가능성을 상기시키는 현대의 실험적 영화라 볼 수 있다. 인간의 주체와 자아인식 변화 과정이 사회적 트라우마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나 사회의 역사적 맥락을 대비시켜 추론할 수 있다. 영화 <이다>는 화면 밖의 공간, 부재하는 공간, 여백과 프레임 안에 내포된 의미를 중심으로, 보이는 공간의 정보와 화면 밖 공간과의 정보를 나눔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제시되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 추론하게 하는 능동적 인지과정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시대적 배경을 자세히 기술하지 않으면서도 역사적 의미를 시각화했고, 초월적 존재인 신과 한계적 존재인 인간 사이의 갈등과 고민의 문제를 인간과 인간의 갈등 구조 안에서 표현하고자 했다. 아울러 상실과 부재의 슬픔을 공간적 미학으로 풀어내고자 시도했으며 인물의 대비와 대조, 빛과 어둠의 대비를 통해 상황의 전개를 나타냈다. 본고에서는 영화 <이다>가 함축하고 있는 개인(인물)의 이야기와 사회, 역사적 배경과 종교적 영역을 아우르는 해석을 시도하고, 의미적 맥락의 시각화를 다루고자 한다. 또한 정체성과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종교적 가치를 다룬 영화 <이다>의 시퀀스 장면 분석을 통해 그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고, 영화가 추구한 총체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는 영화 <이다>가 내포하고 있는 트라우마의 재현과 해석 차원으로 개인과 지역, 국가적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문제를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한국적 상황에 주는 함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나아가 과하게 표현하지 않으면서도 인간과 사회적 성장, 고민을 잔잔하게 다루는 모습을 통해 새로운 영상기술과 독창적 시각화 기법의 영화를 창조하려는 흐름에 또 다른 영감을 주는 연구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준엽, 정태수(2021). 파베우 파블리코프스키 감독의 작품세계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씨네포럼 논문지, 38: 65-105.
  2. 박지훈(2015). 영화 이다에 나타난 구도의 내재적 의미 연구.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논문지, 23: 141-165.
  3. Wistrich, Robert, 송충기 역(2011). 히틀러와 홀로코스트, 을유문화사, 90-104.
  4. Film Comment http://www.filmcomment.com/blog/interview-pawel-pawlikowski/ 2021.11.05.
  5. Vredenburgh, Steven(2016). Finding God in Pawlikowski's Ida, MDPI Religions, 7(72): 1-17, 2.
  6. 김종국(2020). 영화색채 하양의 활용 양상과 문화적 의미.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 논문지, 14(4): 187-198, 188.
  7. C&D Institute(2012). 색채론, (주)한국색채디자인개발원, 69.
  8. 정흠문(2016). 제의적 미장센 연구-영화<토리노의 말>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0(6): 11-28, 18.
  9. Film Polski http://filmpolski.pl/fp/index.php?osoba=1141224/ 2021.11.07.
  10. Film Polski https://filmpolski.pl/fp/index.php?osoba=1141224/ 2021.11.07.
  11. 김진숙(2015). 역사적 트라우마의 영화적 재현과 윤리의 문제: 미하엘 하네케의 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02, 55.
  12. Maka-Malatynska, Katarzyna(2015). Opowiedziec niewidzialne Proba analizy filmu Ida Pawla Pawlikowskiego, Narracje o Zagladzie, 1: 225-246, 234.
  13. Maka-Malatynska, Katarzyna(2015). Opowiedziec niewidzialne Proba analizy filmu Ida Pawla Pawlikowskiego, Narracje o Zagladzie, 1: 225-246, 235.
  14. Melchior-Bonnet, Sabine, 윤진 역(2001). 거울의 역사, 에코리브르, 264.
  15. Kozlowski, Krzysztof(2014). Jerzy Wojcik-estetyka Swiatl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uropean Film, 14(23): 249-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