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ve adsorption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31초

임피던스를 이용한 흑연재료의 전극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electrode at graphite materials by impedance spectroscopy)

  • 오한준;김인기;이종호;이영훈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71-583
    • /
    • 1996
  • 1 mM의 $[Fe(CN)_{6}]^{3-}/[Fe(CN)_{6}]^{4-}$ 이온이 첨가된 0.5 M $K_{2}SO_{4}$용액에서 Impedance spectroscopy를 통하여 비교적 porous한 표면조직을 갖는 흑연재료인 electrographite와 graphite foil의 계면의 전기화학적 거동을 조사하였다. 이들 두 흑연재료의 변전위 전류 전압곡선의 경우 전극표면의 구조로 인하여 비교적 높은 전류가 나타났으며, graphite foil의 경우 높은 이중층 용량이 나타났다. 또한 두 재료 모두 field transport의 작용에 의해 분극증가에 따른 임피던스 스펙트럼의 변화와 Faraday-임피던스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electrographite의 경우 전극계면에서 흡착현상이 나타났으며, 양극분극의 증가에 의해 흡착현상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 PDF

마이크로셀룰라 경량 조습타일의 특성 고찰 (Investigation on the Properties of a Microcellular Light-Weighted Humidity Controlling Tile)

  • 송인혁;이은정;김해두;김영욱;윤달웅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04-411
    • /
    • 2011
  • The humidity controlling ceramic materials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phenomena of dew condensation in the capillary. It is said that the humidity range which human feels comfortable is from 40 to 70% in relative humidity. In this study, the ceramic tile using natural soils such as diatomite for interior wall was investigated. In particular, we had introduced novel processing routes for fabricating microcellular ceramics tile using hollow microsphere as a pore former. The microcellular pores in the humidity controlling ceramic materials showed the superior properties such as light-weight, heat insulation. The cell density was ${\sim}1.0{\times}10^9$ cells/$cm^3$ and density of sample was 0.65 g/$cm^3$ in the case of 1.71 wt% hollow microsphere content. Also, it is observed that the BET surface area and the pore volume of the sintered diatomite tile have the values of 40.92 $m^2$/g and 0.173 $cm^3$/g.

Nature and Fate of Dioxin in Soil Environment

  • Park, Moon-Hyun;Kim, Hye-Jin;Lee, Min-Gi;Park, Sook-Hyun;Lee, Yoon-Chul;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57-661
    • /
    • 2011
  • The chlorinated dioxins and furan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scientific and public concern because of their environmental persistence and super-toxicity through the foodchain. Recent dioxin scandals in several military bases have also contributed to a higher awareness on the side of food consumers as well as foodwaste combustion. However, there is continuing uncertainty over the relative importance of different sources of dioxins and furans to the soil environment. In difference to those awareness there is a main influence of potential soil contamination on the dioxin contents in groundwater.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provide a sound scientific framework and basis by which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ce of dioxin in soils. Consequently, we hav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dioxin released into the soil environment, especially in agricultural aspect.

Effect of Potassium Promoter on the Adsorption of Carbon Monoxide on Silica Supported Ruthenium

  • Lee, Jo-Woong;Chang, Sei-Hun;Pak, Hyung-Suk;Shin, Kook-Joe;Kim, Myung-Kun;Chung, Won-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3호
    • /
    • pp.137-143
    • /
    • 1988
  • We have investigated the infrared spectra for carbon monoxide chemisorbed on silica supported ruthenium with and without potassium coating within the frequency range of 1800-2200 $cm^{-1}$ at various ruthenium concentrations and CO pressures. For the system without potassium coating, three bands were observed in the infrared spectra when CO was adsorbed on both the reduced and oxidized form of supported ruthenium. However, the relative intensities of these three bands were found to have no interdependence. Therefore, we have assigned each of these bands as arising from the CO stretching vibration for carbon monoxide molecules adsorbed on the Ru sites of different nature. On coating with potassium, the 2030 $cm^{-1}$ band observed for the system without potassium coating was found to suffer red shift by 10-30 $cm^{-1}$ and we conclude that this bathochromic shift is caused by enhancement in the capability of back donation of electrons from the metal atom to the antibonding ${\pi}{\ast}$ orbitals of CO due to the presence of potassium.

모양이 조절된 팔라듐 나노입자의 합성과 4-나이트로벤젠 사이올의 광환원 반응 (Synthesis of Shape Controlled Pd Nanoparticles and Surface-Induced Photoreduction of 4-Nitrobenzenethiol on Pd)

  • 이영욱;신태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458-461
    • /
    • 2019
  • The facile synthesis of shape-controlled Pd nanoparticles (PdNPs) with ascorbic acid as a reducing agent and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as a capping agent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synthesized PdNPs were characterized by UV-vis spectroscop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X-ray diffraction (XRD), and Raman Spectroscopy. The prepared PdNPs show efficient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properties. SERS studies on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1,4-phenylene diisocyanide (1,4-PDI) on colloidal PdNPs have revealed that the relative peak intensity of the $(NC)_{free}$ and $(NC)_{bound}$ modes distinctly depends on the 1,4-PDI concentration as well as the shape of the PdNPs.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PdNPs are also efficient photoelectron emitters such that the SERS spectrum of 4-nitrobenzenethiol (4-NBT) on PdNPs is readily converted to that of 4-aminobenzenethiol (4-ABT) under 632.8 nm radiation.

춘계 한국 동해남부 연안해역에서 해수중 $^{210}Po$$^{234}Th$의 제거 (Removal of $^{210}Po$ and $^{234}Th$ from Seawater at the East-southern Coastal Region of Korea Peninsula in Spring)

  • 이행필;양한섭;김기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2-344
    • /
    • 1996
  • 본 연구는 대마난류의 주류역인 동해 남부해역의 포항 연안의 6개 정점에서 1994년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수층별로 채수하고, 이 해역에서 $^{210}Po$$^{234}Th$의 제거속도 혹은 체류시간과 제거과정을 알아보았다. $^{210}Po$는 대체적으로 연안쪽 정점들에서는 표면혼합층에서 낮고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 다소 높지만, 바깥쪽 정점들에서는 표면혼합층에서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10}Pb$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표면 혼합층에서는 대체적으로 $^{210}Po$가 어미핵종보다 부족량을 보이나,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는 어미핵종과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이거나 약간의 과잉량을 보였다. $^{210}Pb$는 표면혼합층에서는 어미핵종인 $^{226}Ra$보다 과잉량을 보이나, 수온약층을 포함한 하부층에서는 약간 부족량을 보이거나 혹은 거의 방사평형된 농도를 보인다. $^{234}Th$는 표면혼합층과 수온약층이 그 하부층보다 현저히 낮다. $^{210}Po$의 체류시간은 $1\~4$년의 범위로 비교적 연안쪽의 정점들 (E3, E4, E5)이 바깥쪽에 위치한 정점들(E6, E7)보다 짧았다. 그러나 정점 E8에서는 약 10년으로 매우 길었으며, 이는 다른 정점들에 비해 표면혼합층이 두꺼운 관계로 하부 표면혼합층에서 재순환된 $^{210}Po$가 수직혼합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234}Th$의 체류시간은 $52\~74$일의 범위로 정점별 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210}Po$의 체류시간에 비해서 훨씬 짧았다. 표면혼합층 내에서 해수중 $^{234}Th$는 용존태의 수층별 제거속도상수가 총부유물질과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주로 비생물기원의 무기입자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있는 반면에, $^{210}Po$는 용존태의 제거 속도상수가 클로로필 $^{210}Po$와 정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주로 생물체 (주로 동${\cdot}$식물플랑크톤)에 흡수되어 제거되고 입자물질 농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 같다.

  • PDF

UV/$TiO_2$/HAP 시스템에서 Sulfamethoxazole의 흡착과 광촉매반응에 대한 동역학적 및 통계적 해석 (Kinetic and Statistical Analysis of Adsorption and Photocatalysis on Sulfamethoxazole Degradation by UV/$TiO_2$/HAP System)

  • 천석영;장순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5-12
    • /
    • 2012
  • 항생제는 환경에 지속적인 노출과 저항성으로 인해 우려물질로 간주되고 있다. 항생제의 제한적인 생분해능에 따른 하수처리장에서의 불완전한 제거와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환경에 방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촉매(Titanium dioxide; $TiO_2$, Hydroxyapatite; HAP)를 통해 항생제의 하나인 sulfamethoxazole의 동역학적 흡착과 광촉매반응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부가적으로 통계적 분석방법인 반응표면법(RSM)을 이용하여 UV/$TiO_2$/HAP 시스템에서의 운전인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동역학적 연구결과로 $TiO_2$/HAP의 흡착반응은 유사 2차 반응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자내 확산 모델의 적용 결과, 반응속도 상수는 각각 $TiO_2$=$0.064min^{-1}$, HAP=$0.2866min^{-1}$$TiO_2$/HAP=$0.3708min^{-1}$으로 나타났다. RSM의 결과로는 ANOVA에서의 회귀항의 유의성이 나타났으며(P-value<0.05) 높은 결정계수 값($R^2$=96.2%, $R^2_{Adj}$=89.3%)이 나타나 이차 회귀모델의 예측이 만족스러운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Y(SMX 제거율, %)에 대해 예측된 최적 조건들은 코드화된 인자 기준으로 각각 $x_1$(SMX의 초기농도)=-0.7828, $x_2$(촉매의 양)=0.9974 그리고 $x_3$(반응시간)=0.5738로 나타났다. 입자내 확산 모델과 광촉매 산화 반응의 결과에 따르면 $TiO_2$/HAP 공정이 일반적인 고도산화공정에 비해 효율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설재배 토양의 유효인산 측정방법 비교 (Comparison of Determination Methods for Available-P in Soil of Plastic Film House)

  • 양원석;강성수;김기인;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3-172
    • /
    • 2006
  • 충북지역 시설재배지로부터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토마토 재배시험에 25개 토양, 오이 재배시험에 8개 토양을 채취하여 작물의 인 흡수량에 대한 유효인산 검정방법들의 효율성이 평가되었다. 또한 이들 공시토양 이외에 시설재배 토양 38개를 추가한 71개 토양에 대하여 유효인산 침출방법들의 상호관계가 토양의 인흡수량 이외에 수용성, Lancaster, Olsen, Bray No 1과 No 2, Mehlich I과 III 등 8가지로 비교 평가되었다. 침출방법별 유효인산의 상호관계에 대한 평가에서 토양의 인산흡수량은 모든 침출방법의 유효인산 함량과 유의성 있는 부의 상관 (-0.57~-0.80)을 보였으며 그 이외 유효인산 침출방법들 간에는 고도로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 (r=0.81~0.96)을 보였다. 무비구 토마토 식물체에 의한 인 흡수량은 인산흡수량을 제외한 모든 유효인산 침출방법들과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 (1999년 4월 시험, r=0.49~0.76; 2000년 4월 시험, r=0.53~0.71; 2000년 10월 시험, r=0.59~0.68)을 보였으며 년차간 시험을 종합한 토마토 인 흡수량의 상대값은 모든 유효인산 검정법들과 매우 고도로 유의성 (p<0.0000001)있는 정의 상관관계 (r=0.64~0.73)를 보였으며 특히 Mehlich I 법과 III법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그리고 Lancaster 법이 다음이었다. Cate and Nelson 분할방법으로 무비구 토마토의 상대적인 인 흡수량의 최대값에 해당되는 유효인산의 한계농도는 Mehlich III 법이 약 $1700mg\;kg^{-1}$, Lancaster 법이 약 $1,050mg\;kg^{-1}$, 그리고 수용성은 약 $95mg\;kg^{-1}$으로 추정되었다. 오이 식물체에 의한 인 흡수량은 Olsen 법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 (r=0.62)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수용성 (r=0.59) 및 Bray No 2법 (r=0.51)의 순이었다.

Responses of Rice (Oryza sativa L.) Yield and Percolation Water Qualities to Alternative Irrigation Waters

  • Shin, Joung-Du;Han, Min-Su;Kim, Jin-Ho;Jung, Goo-Bok;Yun, Sun-Gang;Eom, Ki-Cheol;Lee, Myoung-Su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2-196
    • /
    • 2003
  •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harvest index and percolation water quality as irrigated the discharge waters from an industrial and a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seawater (1:5 seawater: tap water) as alternative water resources during tillering stage for drought stress. There were four different treatments such as the discharge water from an industrial (textile dyeing manufacture plant) wastewater treatment plant (DIWT), discharge water from the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DMWT), seawater (1:5) and groundwater as a control. For the initial chemical compositions of alternative waters, it appeared that higher concentrations of COD, $Mn^{2+}$, and $Ni^+$ in DIWT were observed than reused criteria of other country for irrigation, and concentrations of $EC_i$, Cl, and $SO_4$ in seawater were higher than that for irrigation. Harvest index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WT and DMWT with different irrigation periods in two soil types, but that of seawater (1:5) is decreased with irrigation periods in clay loam soil and not different between 10 days and 20 days of irrigation periods in sandy loam soil. For percolation water qualities, values of sodium adsorption ratio (SAR) are increased with prolonging the irrigation periods of seawater (1:5) and DIWT, but those of DMWT were almost constant through the cultivation periods regardless of the irrigation period in both soil types. EG of percolation waters is eventually increased with prolonging days after irrigation regardless of irrigation periods in both soil types. Therefore, it might be concluded that there was potentially safe to irrigate the discharge water from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relative to harvest index, SAR and $EC_i$ values of the ground water through the rice cultivation period at tillering stage for drought period.

Influence of Solution pH on Pyrene Binding to Sorption-Fractionated and Kaolinite-Bound Humic Substance

  • Hur Jin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5호
    • /
    • pp.61-69
    • /
    • 2005
  • 다양한 pH 조건하에서 휴믹물질 흡착적 분획현상에 의해 변화하는 용존 및 kaolinite에 흡착된 휴믹물질(Aldrich 휴믹산)과의 pyrene의 결합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흡착효과를 배제한 흡착 전 상태에서 bulk 휴믹산은, pH에 따른 분배(partitioning)과 크기별 배제효과 영향 차이에 의해 유기탄소 결합계수의 변화를 보였다. 모든 용액 pH 조건에 서 Aldrich 휴믹산은 kaolinite에 흡착하는 과정에서 분자량별 분획이 일어났으며 용존 휴믹산의 분자량은 흡착전의 분자량과는 달랐다. 그에 따라 흡착 후 남은 휴믹산과의 pyrene 결합계수는 흡착 전의 경우와 달랐다. pH 7과 9 조건에서 흡착 후 남은 휴믹산은 그 분자량과 pyrene 결합계수 사이에 양성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그러한 상관관계가 pH 4의 조건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는 흡착적 분획과정에서 pH 4인 경우 고분자에 대한 독점적 분획현상이 없었고 분자량에 대해 다소 균일한 분획이 일어났다는 점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관찰되는 분획현상 차이는 pH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흡착포화 정도 차이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흡착된 PAHA의 경우, 형태변화 (conformational changes) pyrene 결합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H 7과 9 조건 하에서, 흡착전의 휴믹산의 경우 더 낮은 pyrene 결합계수를 보였고 이러한 형태변화효과는 pH가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다.